본 연구는 Reality를 추구하는 극 예술에서 배우의 Real 한 연기를 위하여 우타 하겐의 Method‘대체(Substitution)’ 요소를 활용 특히 매체 연기에서 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편 영화를 제작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76357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 공연예술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792.028 판사항(22)
서울
120p. : 삽도 ; 26cm
I804:11042-2000008464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Reality를 추구하는 극 예술에서 배우의 Real 한 연기를 위하여 우타 하겐의 Method‘대체(Substitution)’ 요소를 활용 특히 매체 연기에서 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편 영화를 제작하...
본 연구는 Reality를 추구하는 극 예술에서 배우의 Real 한 연기를 위하여 우타 하겐의 Method‘대체(Substitution)’ 요소를 활용 특히 매체 연기에서 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편 영화를 제작하고 실험한 사례 연구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의 성행과 다양한 극 예술의 미디어 환경에서 배 우의 연기는 더욱 사실성이 요구된다. 매체 연기 현장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고찰이 본 연구의 시발점이자 목적이다. 우타 하겐의 저서 『Respect for acting 산 연기』 중 배우 훈련과 인물 창조 그리고 구현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단독의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대체'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대체’는 대신하는 사람(것), 대리자, 대 용물(품), 대체물을 말하며 즉, 배우의 경험과 기억에서 대체할 것들을 찾아 내어 등장인물과의 동일시와 자기화를 꾀하는 작업이다. 우타 하겐은 ‘대체'를 개인의 작업으로 규정하고 ‘대체'한 것에 실체를 발설하지 않기를 권고하였기 때문에 그동안 ‘대체’의 방법을 많은 이들 이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주제로 삼지 않았다는 것을 선행 연구 결과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는‘대체’ 요소를 단독 주제로 선정하고 연 구하여 여타 Method 연구와 차별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Reality 구현 방법으로 선택한 Method 연기법의 근거로 그 시 초와 발달 과정 등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실제 단편 영화 제작 현장에서 ‘대체’ 활용을 실험하여 그 효용의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구성한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Method의 전신인 스타니슬랍스키‘System’의 핵심 이론과 의미를 점검하고 Method의 형성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Method의 대표 3인의 이론에서 Reality의 요소를 발견하며 그 연장선 상에서 우타 하겐의 연기 방법론을 탐색한다. 이후 단편 영화 <오타>의 제작 전반에 우타 하겐의 ‘대체'를 활용한 후 촬영의 영상 결과와 참가자 인터뷰를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역할 창조 과정에서부터‘대체’할 Manual을 제시함으로써 등장인물을 다 각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하고 구체적으로 인물을 형상화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주어진 상황에서 공간의 실체와 사람과 물건 등의 관계를 사실적인 것으로 만들며 자연스러운 행동을 유발한다. 그리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살아가는 인물의 정당성이 부여된 연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견인한 다. 배우가 체감하는 시간의 분위기를 더하면 장면 속 등장인물들이 더욱 살아있는 인물로 그 시간에 현존할 수 있게 돕는다. 또한 일상적인 장면에서 뿐만 아니라 극적인 장면에서도 그 효용성을 입증한다. ‘대체’의 활용은 어떠한 한 부분에 그 감정을 유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등장인물을 창조하고 등장인물의 세계를 체감하기 위하여 배우에 경험에서 ‘대체’할 것을 찾아내고 채집하여 실제적인 행동을 자연스럽게 구현해냄으로 등장인물을 극 속에 현존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본 고의 주제가 단편 영화라는 매체 작업 현장에서 유용 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초보 배우에게 ‘대 체’의 효용성이 증명되었다면 프로 배우에게는 그 과정이 불필요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고의 한계를 보완하며 다양한 Reality 극 의 구현에 적합하고 유용한 여러 연기 방법론의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의 주제로 잘 사용되지 않던 Method 중 ‘대체’ 를 단독 요소 연구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사실적이고 진실한 등장인물 구현에 긍정적인 하나의 발걸음이 되길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