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현진, "재생 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특성 연구 -독일의 졸페라인 탄광 지구 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3 (23): 60-69, 2014
2 렐프, 에드워드,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출판사 2005
3 도시재생사업단,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이야기 : 세계의 역사·문화 도시재생 사례" 한울아카데미 2012
4 정진아,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유럽 도시재생 사례연구" 유럽문화예술학회 9 (9): 121-140, 2018
5 장용찬, "베르그송 지속이론으로 본 국내 산업시설재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7) : 207-218, 2019
6 이동화, "문화재생, 시민의 삶을 디자인하다화력발전소에서 문화발전소로, 영국 런던 테이트 모던미술관" 인천일보
7 박은비,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사례 비교 연구 : 뉴욕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 (55): 125-135, 2020
8 이호상,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안동문화권의 지역성을 살린 Community Furniture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3
9 린치, 케빈, "도시환경디자인" 광문각 2003
10 팔라즈마, 유하니, "건축과 감각" 시공문화사 2013
1 이현진, "재생 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특성 연구 -독일의 졸페라인 탄광 지구 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3 (23): 60-69, 2014
2 렐프, 에드워드,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출판사 2005
3 도시재생사업단,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이야기 : 세계의 역사·문화 도시재생 사례" 한울아카데미 2012
4 정진아,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유럽 도시재생 사례연구" 유럽문화예술학회 9 (9): 121-140, 2018
5 장용찬, "베르그송 지속이론으로 본 국내 산업시설재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7) : 207-218, 2019
6 이동화, "문화재생, 시민의 삶을 디자인하다화력발전소에서 문화발전소로, 영국 런던 테이트 모던미술관" 인천일보
7 박은비,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사례 비교 연구 : 뉴욕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 (55): 125-135, 2020
8 이호상,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안동문화권의 지역성을 살린 Community Furniture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3
9 린치, 케빈, "도시환경디자인" 광문각 2003
10 팔라즈마, 유하니, "건축과 감각" 시공문화사 2013
11 Woo, Shinkoo, "Urban Regeneration Through Arts and Culture" 58 (58): 39-42, 2014
12 Lee, Hyejoo,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of the Line Park in New York" 5 (5): 1-21, 2014
13 Choi, Jun,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Community through Cultural Rehabilitation of Urban Industrial Heritage"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