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본 논문은 복음주의를 규명하며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더불어 그 구조를 정리하며 나타나는 바람직한 두방향, 즉 성서중심의 교육이 계속 되어야 한다는 것과 앞...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37220
천안 :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2002
학위논문(석사) --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 신학과 , 2002. 2
2002
한국어
231 판사항(4)
충청남도
71 p. ; 26cm
참고문헌: p. 69-7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본 논문은 복음주의를 규명하며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더불어 그 구조를 정리하며 나타나는 바람직한 두방향, 즉 성서중심의 교육이 계속 되어야 한다는 것과 앞...
지금까지 본 논문은 복음주의를 규명하며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더불어 그 구조를 정리하며 나타나는 바람직한 두방향, 즉 성서중심의 교육이 계속 되어야 한다는 것과 앞으로는 타 학문과 보다 개방성을 갖고 교류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들은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복음주의는 다양한 입장을 지닌다. 하더라도 자유주의 초자연주의 거부, 신정통주의의 약화된 성서의 권위, 그리고 근본주위의 지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외면등과 비교해 볼 때 다양성 가운데 공통적인 특성을 발견하게 된다.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이성의 사용에 회피적인 근본주의적 복음주의이며, 두 번째는 지성을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복음주의, 그리고 지성을 최대한 수용하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는 신 복음주의이다. 복음주의 신학에서 기독교 교육을 연구한 학자들 가운데서 위의 각 입장을 대표하는 기독교 교육자는 교리문답과 설교를 중요시하는 진 에드워드 비스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교육을 내세우는 르바, 그리고 기독교 교육을 전인적 양육과 사회화로 설명하는 리챠드이다.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성서가 중심이 된다. 하나님의 영감에 의해 기록된 무오한 성서는 기독교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기준으로 작용한다. 또한 교육행위에 있어서는 신의 참여를 강조한다.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했으나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적 존재로 이해한다.
이러한 신학사상을 갖는 복음주의의 기독교 교육의 목적은 성서내용의 전달과 기독교적인 삶에 두고 있으며, 그 내용은 성서가 중심이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에는 유지되어야할 것들이 있는 반면에 변화될 필요가 있는 것들이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성서중심 방법”의 존속과 “타학문과의 적극적 교류”에로의 변화이다.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핵심은 뭐니뭐니해도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이다. 이는 그 어느것과도 비교할 수 없은 복음주의 신학이 내세울수 있는 유산이기도 하다. 이때 역사적으로 기록된 성서에 대한 역사적 비평방법의 이용은 성서의 의미를 더욱 명쾌하게 밝혀 주며. 반면에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은 교육이론의 미흡함을 여러 인접 학문들과의 적극적 교류에서 보완하며 독특한 사회과학으로서의 학문적 성격을 분명히 찾아야 한다.
미래를 설계해야하는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은 위의 제시된 두 방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다음의 몇 가지 제언은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의 발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해 주리라 믿는다.
첫째,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자들은 기독교 교육학을 보다 폭넓고 깊이 있게 연구해야 한다. 복음주의 교육자들은 자신들의 교육을 깊이 연구하지 않은체 다른 교육자들에 의해 연구,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무비판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복음주의자들 나름대로 추구해야 할 교육의 목적과 내용이 있다면 교육과정에 대한 심도 있
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자들은 역사적으로 기독교 교육이 지녔던 사회에 대한 입장을 회복하여야 한다. 오늘날 기독교 교육은 사회의 변혁에 관심을 갖고, 공공정책의 형성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가 제시했던 문제들-빈부격차, 구제, 선교, 복음전파 등-을 계속 제기하여야 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를 어떻게 의미 있게 나타낼 것인가를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복음주의의 기독교 교육은 기독교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여야 한다. 복음주의 교회에서 기독교 교육 지도자로 사역하도록 양성된 교육 전문가들은 드물다. 교육에 적합하게 준비가 되어있지 못하고 신앙적 열정만 지닌 자원자들로 명맥을 유지한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은 준비된 지도자들을 필요로 한다. 기독교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충분한 인식과 실천이 있는 전문가 양성에 실패한다면 기독교 교육에 대한 적은 관심이나마 단절되고 말 것이다.
복음주의자들은 지성을 향해 과감한 회의를 표현하는 기독교 전통의 후손들이다. 이제는 이러한 과거의 좋은 유산아래 복음주의 학자들은 일반 그리스도인들과 좀더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일반 그리스도인들의 관심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가 하고 있는 성서학과 역사학, 철학, 그리고 과학이 복음을 세상에 선포하고, 하나님의 백성들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성숙에 이르게 하는 목표에 참으로 부합하는 것이라는 점을 과거보다 더 명확하게 보여줌으로써 기독교 학자의 소명을 효과적으로 감당해야 한다. 이것이 앞으로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의 나아가야할 방향성들이라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