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자기개념 구획화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rtment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7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nville(1985) insisted on “Stress Buffering Hypothesis of Self-complexity.” The succeeding studies, however, have not supported Linville's hypothesis consistently. In this study, self-compartmentalization is accounted of a variable which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otal of 158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angwon-do, South Korea participated the study and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aries including self-complexity, self-compartmentalizati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Even if self-complexity is high but self-compartmentalization is hig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negatively affected. However, if self-compartmentalization is low,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positively affected. That is, the self-complexity is verified to be positive psychological source with the support of self-compartmentaliz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Linville(1985) insisted on “Stress Buffering Hypothesis of Self-complexity.” The succeeding studies, however, have not supported Linville's hypothesis consistently. In this study, self-compartmentalization is accounted of a variable which moderate...

      Linville(1985) insisted on “Stress Buffering Hypothesis of Self-complexity.” The succeeding studies, however, have not supported Linville's hypothesis consistently. In this study, self-compartmentalization is accounted of a variable which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otal of 158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angwon-do, South Korea participated the study and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aries including self-complexity, self-compartmentalizati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Even if self-complexity is high but self-compartmentalization is hig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negatively affected. However, if self-compartmentalization is low,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positively affected. That is, the self-complexity is verified to be positive psychological source with the support of self-compartmentaliz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Linville(1985)은 자기개념 복잡성의 스트레스 완충가설에서 자기개념이 다양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을 적게 경험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후속되는 연구들에서 이러한 가설이 일관성 있게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건강을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로 측정하였으며,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간의 관계를 자기개념 구획화가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복잡성, 자기개념 구획화, 우울척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자기개념 구획화가 높고 낮으냐에 따라 심리적 건강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으면서 자기개념 구획화가 높은 경우 가장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을 돕기 위해서는 자기개념 복잡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자기개념 구획화를 낮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번역하기

      Linville(1985)은 자기개념 복잡성의 스트레스 완충가설에서 자기개념이 다양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을 적게 경험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후속되는 연...

      Linville(1985)은 자기개념 복잡성의 스트레스 완충가설에서 자기개념이 다양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을 적게 경험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후속되는 연구들에서 이러한 가설이 일관성 있게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건강을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로 측정하였으며,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간의 관계를 자기개념 구획화가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복잡성, 자기개념 구획화, 우울척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자기개념 구획화가 높고 낮으냐에 따라 심리적 건강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으면서 자기개념 구획화가 높은 경우 가장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을 돕기 위해서는 자기개념 복잡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자기개념 구획화를 낮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진, "편집증적 성향, 자기 개념, 자의식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277-290, 1995

      2 정선영, "취업주부의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정서경험 : 자기구획화 및 자기조망의 조절 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8

      3 김완일, "자기평가와 자기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4 박성현, "자기에 대한 조망과 정서의 변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 33-49, 2003

      5 김완일, "자기복잡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715-734, 2008

      6 송보라,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적응 관계에서의 인지적 유연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73-88, 2009

      7 김완일, "자기-태도 차원구조와 차별적 중요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9 (9): 29-43, 2008

      8 이수현, "자기 복잡성과 자기 개념 명료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9 이상순, "신경증적 경향성, 투사 및 지각된 부부갈등 간 관계 :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완일, "대학생의 자기 긍정감, 자기 복잡성 및 우울 성향과의 관계" 10 : 249-270, 1992

      1 이훈진, "편집증적 성향, 자기 개념, 자의식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277-290, 1995

      2 정선영, "취업주부의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정서경험 : 자기구획화 및 자기조망의 조절 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8

      3 김완일, "자기평가와 자기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4 박성현, "자기에 대한 조망과 정서의 변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 33-49, 2003

      5 김완일, "자기복잡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715-734, 2008

      6 송보라,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적응 관계에서의 인지적 유연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73-88, 2009

      7 김완일, "자기-태도 차원구조와 차별적 중요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9 (9): 29-43, 2008

      8 이수현, "자기 복잡성과 자기 개념 명료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9 이상순, "신경증적 경향성, 투사 및 지각된 부부갈등 간 관계 :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완일, "대학생의 자기 긍정감, 자기 복잡성 및 우울 성향과의 관계" 10 : 249-270, 1992

      11 McConnell, A. R., "Whose self is it anyway? self-aspect control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well-being" 41 : 1-18, 2005

      12 Campbell, J. D., "The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and its relation to psychological adjustment" 71 : 115-140, 2003

      13 Martens, W. H., "The role of self-complexity in reducing harmful insight among persons with schizophrenia" 63 : 89-102, 2009

      14 Burke, P. J., "The measurement of role-identity" 55 : 881-897, 1977

      15 Showers, C. J., "The dynamic self : How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selfoconcept change with mood" 75 : 478-493, 1998

      16 Donahue, E. M., "The divided Self : Concurrent and longitudinal effect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al roles on self-concept differentiation" 64 : 834-846, 1993

      17 Conatantino, M, J., "The direct and stress-buffering effects of self-organiz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25 : 333-360, 2006

      18 Linville, P. W., "The complexity-extremity effect and age-based stereotyping" 42 : 193-211, 1982

      19 Schleicher, D. J., "The complexity of self-complexity : An associated systems theory approach" 23 : 387-416, 2005

      20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1 Showers, C. J., "Self-structure and childhood maltreatment : Successful compartmentalization and the struggle of integration" 25 : 473-507, 2006

      22 Taylor, J. L., "Self-organization in bipolar disorder : Compartmentalization and self-complexity" 31 : 83-96, 2007

      23 Woolfolk, R. L., "Self-complexity, self-evaluation and depression : An examination of form and content within the self-schema" 68 : 1108-1120, 1995

      24 Linville, P. W., "Self-complexity as a cognitive buffer against stress-related illness and depression" 52 : 663-676, 1987

      25 Hershberge, P., "Self-complexity and health promotion : Promising but premature" 66 : 1207-1216, 1990

      26 Linville, P. W., "Self-complexity and affective extremity : Don't put all of your eggs in one cognitive basket" 3 : 94-120, 1985

      27 Rafaeli-Mor, E., "Self-Complexity and well-being : A review and research synthesis" 38 : 79-86, 2002

      28 Alatiq, Y., "Seif-organization in Bipolar Disorder : Replication of Compartmentalization and Self-complexity" 34 : 1197-1213, 2010

      29 Markus, H., "Possible selves" 41 : 954-969, 1986

      30 Sande, G. N., "Perceiving one's own traits and others; The multifaceted self" 54 : 13-20, 1988

      31 Renaud, J. M., "Organization of the self-concept and the suppression of self-relevant thoughts" 38 : 79-86, 2002

      32 Showers, C. J., "Organization of self-knowledge : Implication for recovery from sad mood" 70 : 578-590, 1996

      33 Helson, R., "Number and quality of roles : A longitudinal personality view" 14 : 83-101, 1990

      34 Cramer, H., "Matbematical models of statis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4

      35 Paulhus, D. S., "Functional Flexibility : Anew Conception of interpersonal flexibility" 55 : 88-101, 1988

      36 Kawahito, J., "Effects of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self-complexity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81 : 178-193, 2010

      37 Beck, A. T.,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38 Showers, C., "Compartmentaliz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self-knowledge: Keeping bad apples out of bunch" 62 : 1036-1049, 1992

      39 Scott, W. A., "Cognitive structur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V. H. Winston & Sons 1979

      40 Campbell, J. D.,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s :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lexity" 59 : 473-505, 1991

      41 이영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10): 98-113, 1991

      42 Shapiro, D., "Autonomy and rigid character" Basic Books 1982

      43 Carlston, D. E., "Associated systems theory : A systematic approach to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persons" 7 : 1-78, 1994

      44 Beck, A. T.,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4 : 561-571, 1961

      45 Cohen, S.,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24 : 358-396,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