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읍성의 변천과정은 문헌 및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자료로 볼 때 크게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1시기는 초축 시점에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여말선초인 고려 우왕 12년(1386), 왜구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0967
최보경 (강원대학교 사학과)
2025
Korean
여말선초 ; 읍성 ; 축성신도 ; 삼척읍성 ; 토성 ; 석성 ; 옹성 ; Late Goryeo ∼ Early Joseon ; Eupseong ; Chukseong Sindo ; Samcheok Eupseong ; Toseong ; Seokseong ; Ongseong
KCI등재
학술저널
85-124(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삼척읍성의 변천과정은 문헌 및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자료로 볼 때 크게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1시기는 초축 시점에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여말선초인 고려 우왕 12년(1386), 왜구의 ...
삼척읍성의 변천과정은 문헌 및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자료로 볼 때 크게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1시기는 초축 시점에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여말선초인 고려 우왕 12년(1386),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지군사로 파견된 남은(南誾)이 축조한 토성으로 추정된다. 2시기는 성종 23년(1492) 기존의 토성을 확장하여 일부구간을 석축으로 증축한 것이다. 한편 문종 1년(1451) 영동지역에 대한 읍성축조가 진행되었지만 이 때 삼척읍성은 축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성종 8년(1477) 관방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성종 20년(1489)∼성종 23년(1492) 남벽 일부구간에 대해 석축으로 증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 시기 축조된 석성은 문종 1년에 부분적으로 축성된 강원지역 읍성과 마찬가지로 본격적인 석성으로의 개축보다 수원확보를 위한 임시조치의 성격이 강하다. 3시기는 중종 5년(1510) 축조된 석성이다. 3시기 석성의 축조방법은 외면은 대형석재로 축조한 다음 내면은 소형의 석재로 뒷채움하고 경사내탁한 방식이다. 이 외에 문헌검토 및 발굴조사 자료를 통해 여장(女墻)과 옹성(甕城)이 있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시기에서 3시기까지 삼척읍성의 변천과정은 크게 군사적인 측면과 풍수지리적인 측면이 고려되었다. 군사적인 측면으로는 읍성 내에 수용하기 위한 인구를 늘리기 위함이고, 풍수지리적인 측면으로는 읍성 주변지형의 영향으로 오십천과 인접한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이 이뤄진 점이다.
이러한 변천과정은 1시기에 축조된 토성이 입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삼척읍성의 변천과정은 강원지역 읍성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강릉과 양양의 사례처럼 기존의 토성을 재활용하지 않았고, 토성과 석성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뉜다. 또한 사방에 성벽을 축조하여 거의 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띠는 강릉·양양읍성에 비해, 삼척읍성은 주변지형의 영향으로 동쪽·남쪽·북쪽에만 성벽을 축조한 주(舟)형의 평면형태를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amcheok Eupseong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excavation findings. The first period is somewhat controversial regarding the date of its initial construction, but it is presumed ...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amcheok Eupseong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excavation findings. The first period is somewhat controversial regarding the date of its initial construction, but it is presumed to be an earthen fortress built by Nam Eun, who was dispatched as a military commander to prepare for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in the 12th year of King U of Goryeo (1386),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The second period was in the 23rd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92), when the existing earthen wall was expanded and some sections were added with stone walls. Although Eupseong construc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in seven administrative towns in the Yeongdong region during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1451), Samcheok Eupseong was not included at that time. However, due to concerns about its inadequate defensive capabilities, it is presumed that a section of the southern wall near the Osipcheon River was reinforced with stone. Nevertheless, the stone fortifications of this period were not a full-scale reconstruction but rather a temporary measure to secure water sources, similar to other walles partially built in Gangwon Province in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 The third period marks the construction of a full-fledged stone wall in the 5th year of King Jungjong (1510).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phase involved using large stones for the outer surface, filling the inner layers with smaller stones, and employing a sloped backfill technique for the interior. Additionally, historical documents and excavation findings confirm that Samcheok Eupseong featured defensive structures such as yeojang and an ongseong. Notably, archaeological excavations provided the first evidence of an ongseong in a Eupseong wall within Gangwon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out the three periods of transformation, both military and geomantic consideration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amcheok Eupseong. From a military perspective, the changes aimed to accommodate a larger population within the wall. Geomantically, the wall expanded toward the south and east, areas adjacent to the Osipcheon River, due to the surrounding terrain.
This transformation process was meant to address the locational shortcomings of the initial earthen wall. The changes observed in Samcheok Eupseong exhibit similarities with other Eupseong walles in Gangwon Province. However, unlike the cases of Gangneung and Yangyang, where existing earthen fortifications were reused, Samcheok Eupseong distinctly separated its earthen and stone fortifications. Additionally, while the Eupseong walles of Gangneung and Yangyang were nearly square-shaped with walls constructed on all four sides, Samcheok Eupseong adopted a boat-shaped layout, with walls built only on the east, south, and north sid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topography.
조선 후기 강원 지역 회화 자료의 가치와 활용 방안- 산수화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山水遊記의 Database 구축을 위한 Directory 분류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