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역량의 의미와 적용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Competencies-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8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essential meaning and application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has been spreading in Korean universi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essential meaning and application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has been spreading in Korean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past 10 year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first reviewed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Second, this study conducted case analyse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notion of competency has been utilized both in two governmental university evaluation systems as well as strategic plans of two major universities. An analysis of the issues of competency education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revealed that ambiguity of the concept of competency, conflicts between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and excessive expectations for learnability, can lead to confusion on the definition or usage of the concept of competency among various actors in higher education.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core competency’ and ‘major skills and the ineffective methods of evaluation were concerned to increase conflict and inefficiency in practice due to logical contradiction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commended that universities establish a systematic process that can plan, operate, and evaluate their own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government needs to allow universities autonomy and diversity to use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strategy to maximize their strength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확산되어 온 역량기반교육의 본질적 의미와 적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역량기반 대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확산되어 온 역량기반교육의 본질적 의미와 적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역량기반 대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량’이라는 개념이 심리학, 인적자원개발학 등 인접 학문에서 발생, 사용되어온 과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최근 10년간의 대학평가제도와 주요 대학들의 중장기 발전계획에서 역량 개념이 사용된 현황을 사례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역량의 주요 특징들과 관련한 역량교육의 쟁점을 분석한 결과, 역량 개념의 모호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갈등, 학습가능성에 대한 과도한 기대 등이 고등교육의 여러 주체들 사이에 역량의 개념 정의나 용법에서의 혼란을 초래하고, 역량을 더욱 더 불분명한 개념으로 만들고 있었다. 또한 정부 주도 하에 대다수 대학들이 채택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전공능력’을 양분하는 구조와 소극적인 성과평가방식은 논리적 모순으로 인해 교육과정 운영 상의 갈등과 비효율성을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은 이론적 토대 위에서 설정한 역량의 개념 정의를 구성원들과 적극 공유하고, 그 공감대 위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성과 평가의 과정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정부 역시 대학들이 정부의 획일적 주문에 순응하기보다는 자신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서 독자적인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마련하도록 다양성과 자율성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진미석,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1 (1): 1-24, 2016

      2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3 신현석, "한국의 대학평가" 학지사 2020

      4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연구(Ⅱ): 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최헌철 ; 김수동 ; 김경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 연구: D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423-443, 2020

      6 이경숙 ; 이상욱 ; 박민아, "인문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03-1223, 2020

      7 윤정일 ; 김민성 ; 윤순경 ; 박민정,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8 소경희, "영국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것과 구현한 것: 의의와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9-220, 2015

      9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10 유인영 ; 강현석, "역량중심 대학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의 문제 비판 - D 대학 사례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09-216, 2019

      1 진미석,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1 (1): 1-24, 2016

      2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3 신현석, "한국의 대학평가" 학지사 2020

      4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연구(Ⅱ): 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최헌철 ; 김수동 ; 김경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 연구: D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423-443, 2020

      6 이경숙 ; 이상욱 ; 박민아, "인문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03-1223, 2020

      7 윤정일 ; 김민성 ; 윤순경 ; 박민정,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8 소경희, "영국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것과 구현한 것: 의의와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9-220, 2015

      9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10 유인영 ; 강현석, "역량중심 대학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의 문제 비판 - D 대학 사례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09-216, 2019

      11 박용호, "역량이란 무엇인가?: 서로 다른 세 가지 시선. 발표자료" 교육의 봄 2021

      12 유성상 ; 이재준 ; 남유진, "역량기반 대학교육 담론의 한계 및 대안적 논의 탐색"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1 (11): 21-52, 2015

      13 이윤복 ; 강현석,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1047-1074, 2016

      14 송경오 ;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4 (34): 155-182, 2007

      15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9-379, 2012

      16 배상훈 ; 전수빈 ; 홍지인, "대학생의 심층 학습(deep learning)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개 대학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9-176, 2017

      17 박가열,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81-198, 2009

      18 김지원 ; 박영신 ; 김경이 ; 양길석,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2 (22): 447-472, 2021

      19 홍성기, "대학구조조정과 연계한 창의적 인문학 교육모형 개발과 융복합 생태계 형성"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20 김대중 ; 김소영,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 (2): 23-45, 2017

      21 교육부, "대학 기본역량 진단 및 재정지원사업 개편 시안 발표 보도자료 및 참고자료"

      22 김동일 ; 오헌석 ; 송영숙 ; 고은영 ; 박상민 ; 정은혜,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95-214, 2009

      23 이애화 ; 최명숙,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 (30): 561-588, 2014

      24 이현영 ; 김영수 ; 허희옥,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439-469, 2012

      25 손승남 ; 김인영 ; 송하석 ; 이재성 ; 최예정,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1-30, 2021

      26 문용린 ; 유경재 ; 전종희 ; 엄채윤,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83-309, 2007

      27 이찬승, "‘학교교육의 목표=핵심역량 함양’에 대한 긴급 문제제기"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2018

      28 김민정, "‘역량담론’의 헤게모니와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321-348, 2019

      29 Delamare Le Deist, F., "What is competence?" 8 (8): 27-46, 2005

      30 DiMaggio, P. J., "The iron cage revisited :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48 (48): 147-160, 1983

      31 Stoof, A., "The boundary approach of competence : A constructivist aid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concept of competence" 1 (1): 345-365, 2002

      32 Méhaut, P., "The European qualification framework : Skills, competences or knowledge?" 11 (11): 369-381, 2012

      33 Boyatzis, R. E.,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John Wiley &Sons 1982

      34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35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Learning Compass 2030. A Series of Concept Notes"

      36 Gardner, H., "Multiple Intelligences" Basic Books 1993

      37 White, R. W.,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66 (66): 297-333, 1959

      38 Ellström, P. E., "Key Qualifications in Work and Education" Springer 39-50, 1998

      39 McClelland, D. C., "Identifying competencies with behavioral-event interviews" 9 (9): 331-339, 1998

      40 Becker, G. S.,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44, 1975

      41 Moore, D. R., "Competence, competency and competencies :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sations" 51 (51): 314-319, 2002

      42 Spencer, L. M. Jr,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1993

      43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College Learning for the New Global Century"

      44 B대학교, "B대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요약" 2019

      45 Young, M., "Bringing Knowledge Back in, from Social Constructivism to Social Realism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Routledge 2008

      46 Altbach, P. G., "AHELO: The myth of measurement and comparability" (82) : 2-3, 2015

      47 이민정, "ACE사업 참여 대학의 핵심역량 및 실천전략에서의 교육적 함의" 교육연구소 18 (18): 339-364, 2017

      48 황민정 ; 이규녀 ; 박기문 ; 최지은, "4년제 대학 교육목표에 기초한 전공영역에서의 공통 핵심역량(전공역량) 도출 - C대학교의 사례 중심으로 -" 대한공업교육학회 46 (46): 208-228, 2021

      49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hn Wiley & Sons 2009

      50 한국대학평가원, "2022년 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 2021

      51 B대학교, "2021학년도 B대학교 자체평가 보고서" 2021

      52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일반대학"

      53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 2019

      54 A대학교, "2021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위한 A대학교 자체진단평가보고서"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