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기기의 보급화로 일상의 환경이 모바일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O2O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달, 숙박 등의 O2O서비스가 급성장하였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기기의 보급화로 일상의 환경이 모바일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O2O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달, 숙박 등의 O2O서비스가 급성장하였지�...
스마트기기의 보급화로 일상의 환경이 모바일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O2O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달, 숙박 등의 O2O서비스가 급성장하였지만, 과도한 경쟁과 낮은 서비스품질로 인해 일회성 이용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지만, 주로 기술수용모델의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추가적인 고려 요인을 확인하여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O2O서비스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영화관 티켓 발권서비스를 대상으로 뉴미디어 채택 이론과 가치기반수용모형을 활용하여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채택 이론에서 기술특성, 혁신특성, 개인특성 요인을 추출하였고, 가치기반모형의 지각된 가치의 개념을 추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인 기술특성은 유용성, 사용용이성, 서비스편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혁신특성은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으로 구성되었고, 개인특성은 무력감, 기술불안감, 상호작용 욕구, 이전 경험으로 구성하였다. 매개변수인 지각된 가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는 지속이용의도로 단일차원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영화관 온라인(모바일포함) 티켓 발권서비스를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00부의 응답을 받았으며 그 중 응답이 부실하거나 오류가 발견된 96부를 제외하고 총 404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특성의 사용용이성, 서비스편재성이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지각된 감정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은 지각된 기능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혁신특성은 적합성과 시험가능성이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개인특성은 이전경험이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지각된 감정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무력감은 지각된 기능적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각된 감정적 가치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기능적 가치는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을 위해 고려하여야할 특성요인을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O2O서비스 발전을 위한 이론적인 의의를 가진다. 국내의 부족한 O2O서비스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뉴미디어 채택 요인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새로운 기술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제언하고, O2O서비스 분야의 활성화를 돕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2O service that connects the on-line and off-line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life style changes to mobil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mart devices. O2O services such as delivery and accommodation have grown rapidly, but they are only one-ti...
O2O service that connects the on-line and off-line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life style changes to mobil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mart devices. O2O services such as delivery and accommodation have grown rapidly, but they are only one-time use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and poor service quality. Although research was conducted to increase continuous use of O2O services, it has been conducted mainly in term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o this paper will exp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O2O services by identifying additional consid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O2O service by referring new media adoption theory an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for movie ticketing services which hold continuous O2O service user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new media adoption theory are extracted, the concept of perceived value are extracted by value- based acceptance model, and then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llowing previous research.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consist of usability, ease of use, and service ubiquity.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compatibil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sist of inertia, technology anxiety, need for interaction, and previous experience. The perceived value of parameter variable is composed of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Finally, continuous use intention of dependent variable is setting as a single dimens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tickets ticketing service of the cinema online (including mobile) within the last 6 months. A total of 500 copies was collected and 404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96 copies because of err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ase of use and service ubiqu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perceived emotional value, and us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Compatibility and trialability both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Previous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perceived emotional value, and inertia has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Finally, the perceived emotional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but perceived functional value appeared to have no effect.
This study shows a theoretical implication for O2O servi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continuous use of O2O service structurally. This research conducted on O2O services lacking in Korea, and construct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new technology services by integrating factors of adopting new media.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and help to activate the O2O service field.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주, "<스마트 시대의 미디어 소비>",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 권수갑, "“Ubiquitous Computing: 개념과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전 자정보센터, 3월, 2003
3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AMOS 18.0”", 한나래출판사, 2010
4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nm", 서강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1
5 오상현, 김상현, "고객재구매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 연구, Vol. 17, No. 2, pp. 25–55, 2002
6 황지현, "“O2O, 커머스를 넘어 On-Demand Economy 로,”", 디지에코 보고서, No. 9, 2015
7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아카데미, 한나래출판 사, 2013
8 조철호,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 모형 논문 통계분석", 청람, 청람, 2014
9 정성용, "O2O서비스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 이근호, "“유비쿼터스 무선기술 개요 및 개발전략 방향”", 한국전파 진흥협회, 2월, 2003
1 김영주, "<스마트 시대의 미디어 소비>",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 권수갑, "“Ubiquitous Computing: 개념과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전 자정보센터, 3월, 2003
3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AMOS 18.0”", 한나래출판사, 2010
4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nm", 서강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1
5 오상현, 김상현, "고객재구매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 연구, Vol. 17, No. 2, pp. 25–55, 2002
6 황지현, "“O2O, 커머스를 넘어 On-Demand Economy 로,”", 디지에코 보고서, No. 9, 2015
7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아카데미, 한나래출판 사, 2013
8 조철호,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 모형 논문 통계분석", 청람, 청람, 2014
9 정성용, "O2O서비스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 이근호, "“유비쿼터스 무선기술 개요 및 개발전략 방향”", 한국전파 진흥협회, 2월, 2003
11 김나경, 김종대, "온오프라인 연결하는 O2O 혁신의 가능성 열려있다.", LG Business Insight, pp. 15–21, 2015
12 김희진(Heejin Kim), 최병주(Byoungju Choi), "구전효과를 위한 O2O 기반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방법", 대한수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5, No. 7, pp. 403–413, 2015
13 허용훈, "무선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한 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배병렬, "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 개효과분석", 청람, 2016
15 박성수, "“마켓플레이스에서 마케팅인큐베이터로 진화하는 O2O”",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No. 4. pp. 1–6, 2016
16 정유진, "“O2O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 이진숙 ( Jin Sook Lee ), 최정일 ( Jeong Il Choi ), 임성은 ( Sung Eun Lim ), "웨딩홀의 인적 서비스 및 Servicescape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Vol. 31, No. 2, pp. 427– 444, 2016
18 김주승, "항공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 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9 박수민, 한상린, "“기술준비도가 self-servicetechnology의 사 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2, pp. 51–63, 2009
20 송영미 , 김상현, "“모바일 웹 2.0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Vol. 59, pp. 365–389, 2010
21 송래헌, 윤유식, 양정임, "“항공사의 셀프서비스기술에 대한 만족과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 Vol. 23, No. 2, pp. 345–359, 2009
22 유응준,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혁신특성과 품질이 채택의도에 미 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3 강윤정, 이원준, 김태웅, "“가치사슬 관점에서 본 모바일 서비스 활 성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정책, Vol. 13, No. 3, pp. 87– 101, 2006
24 김갑열, 이경아, "“부동산중개 모바일 앱의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환경학회,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 13, No. 3, pp. 281–298, 2015
25 양희진, "기술기반셀프서비스 편의성과 영향요인 및 기술기반셀프 서비스 품질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6 김성호, 조성빈, 유원상, "“전자정부의 Self Service Technology(SST) 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한국품질경영학회보, Vol. 38, No. 4, pp. 549–560, 2010
27 손증군, "O2O 특성이 매력도, 신뢰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 중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8 강소라, 한수진, 김유정, "“온라인 와인매장 사이트 품질, 지각된 가 치, 온라인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대한경영학회지, Vol. 14, No. 12, pp. 6133–6145, 2013
29 김영미,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에서 상호작용 속성과 사용자 경 험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0 이준교, 최병돈, "셀프서비스테크놀로지에서 고객사전준비도가 서비스품질과 고객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경영학회지, Vol. 5, No. 5, pp. 1347–1373, 2011
31 송평, "“O2O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여가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2 항임, 최수정, 고일상, "모바일 메신저 기반 O2O 서비스의 재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텐센트사의 웨이신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인터 넷전자상거래연구, Vol. 16, No. 1, pp. 57–78, 2016
33 고진, 김승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영화 예매 시스템 비교 -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 연구, Vol. 14, No. 8, pp. 453–460, 2016
34 한용재, "소셜커머스 캠핑패키지 가격할인수준에 따른 지각된 가격 공정성, 지각된 가치 및 구매의도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5
35 김영기, 장병희, "“트리플 플레이 서비스 채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 보, Vol. 21, No. 5, pp. 165-203, 2007
36 강문영, 최정일, 지영수, "“가치기반수용모델에 기반한 O2O 커머스 소비자의 구전의도에 관한 연구: 한 중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 로”", 정보통신정책연구, Vol. 23, No. 4, pp. 81–116, 2016
37 김용식, 박윤서, "“개인사용자 중심의 클라우드서비스의 수용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형(TAM)과 저항을 중 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 12, No. 4, pp. 1–23, 2013
38 이지원,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특성요인이 태도, 만족을 매개로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Fall-back option의 조절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9 나종연, 이진명, "“인지된 동의가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와 위 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 20대, 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 12, No. 4, pp. 1– 24, 2016
40 유인목, "지능형 홈네트워크의 확산과정에서 혁신특성이 사용자의 저항 및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사용자의 지식수준 및 수용단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