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분변오염 기저귀에서 분리한 플라스틱과 펄프의 미생물 저감화 = Reduction of the bacteria from fecal contaminated diapers through washing and hea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47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분변이 오염된 기저귀의 플라스틱과 펄프를 재활용하기 위해서 기저귀에서 분리된 플라스틱과 펄프의 세척, 기저귀의 직접 가열 살균 후 세척, 분리된 플라스틱과 펄프의 세척 후 가열 살균...

      분변이 오염된 기저귀의 플라스틱과 펄프를 재활용하기 위해서 기저귀에서 분리된 플라스틱과 펄프의 세척, 기저귀의 직접 가열 살균 후 세척, 분리된 플라스틱과 펄프의 세척 후 가열 살균의 3가지 방법으로 플라스틱, 펄프 중의 대장균군과 일반세균의 저감화를 시도하였다. 기저귀를 10% $CaCl_2$과 4% 해수염 용액에 반응시킨 뒤 1,000 ml의 희석액을 투입한 후 체에 걸러 플라스틱과 펄프 시료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플라스틱, 펄프의 미생물의 저감화에는 3회 세척이 가장 적당하였으며 3회 세척 시 플라스틱과 펄프에 잔존하는 대장균군은 92.8%과 99.8%가 감소하였고 일반세균은 97.3%과 98.5%가 감소하였다. 사용된 기저귀에서 플라스틱과 펄프를 분리하지 않고 직접 기저귀를 살균한 후 플라스틱과 펄프를 분리하여 잔존 미생물수를 측정한 결과, $60^{\circ}C$, $80^{\circ}C$, $100^{\circ}C$에서 12시간 동안 살균한 후 3회 세척 및 분리 과정을 거쳐 회수한 플라스틱과 펄프에서는 12시간 가열 후에도 $60^{\circ}C$, $80^{\circ}C$, $100^{\circ}C$에서 각각 2-3 log CFU/g, 1-2 log CFU/g으로 일반세균이 검출되어 완전 사멸이 되지 않았다. 한편 분변 오염된 기저귀로부터 얻어진 플라스틱과 펄프를 3회 세척한 후 가열하는 경우 $80^{\circ}C$에서 4시간으로 완전 살균이 되었으며, 이 방법이 분리된 플라스틱과 펄프 중의 미생물의 저감화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ee different methods (simple washing of plastic and pulp sample, washing after direct heating of the diapers, and the heating after washing of plastic and pulp sample) were carried out to decrease total coliforms and heterotrophic plate count (HPC)...

      Three different methods (simple washing of plastic and pulp sample, washing after direct heating of the diapers, and the heating after washing of plastic and pulp sample) were carried out to decrease total coliforms and heterotrophic plate count (HPC) in the diaper's plastic and pulp. Plastic and pulp samples were obtained from diaper by treatment with 10% $CaCl_2$ and 4% sea salt water, dilution with 1,000 ml tap water, and draining by using sieves. Three times washing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in plastic and pulp. By three times washing, the number of total coliforms in the plastic and pulp samples showed 92.8% and 99.8% of decrease,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HPC showed 97.3% of decrease in the plastic and 98.5% of decrease in the pulp. The washing after direct heating of the fecal contaminated diapers was not effective because HPC in the plastic and pulp samples were still detected about 2-3 log CFU/g in the plastic and 1-2 log CFU/g in the pulp, respectively, even after heating at $60^{\circ}C$, $80^{\circ}C$, $100^{\circ}C$ for 12 h. Meanwhile, total coliforms and HPC were completely sterilized at $80^{\circ}C$ for 4 h by heating after washing of plastic and pulp samples, suggesting that this method w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in plastic and pulp obtained from fecal contaminated diap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신, "재활용 행동 영향요인을 고려한 기저귀 재활용 정책 설계: 서울시민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101-130, 2014

      2 배영민, "재질 표면에 오염된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건열살균 및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265-1270, 2009

      3 정민영, "인체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의 생균제 특성 연구" 한국미생물학회 45 (45): 177-184, 2009

      4 Torrijos, M, "Treatment of the biodegradable fraction of used disposable diapers by so-digestion with waste activated sludge" 34 : 669-675, 2014

      5 Conway, M. E, "Treatment of absorbent sanitary paper products. Brampton, CANADA assigned to Knowaste Technologies Inc"

      6 Patricia, M. H, "The gut microflora of the developing infant: Microbiology and metabolism" 11 : 75-83, 1999

      7 Colon, J, "Possibilities of compo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municipal solid waste" 29 : 249-259, 2010

      8 Colon, J, "Performance of compostable baby used diapers in the composting process with the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33 : 1097-1103, 2013

      9 KRDA, "Microbe experimental method"

      10 Nadia, M, "Life cycle assessment of bio-based products: a disposable diaper case study" 18 : 1036-1047, 2013

      1 김경신, "재활용 행동 영향요인을 고려한 기저귀 재활용 정책 설계: 서울시민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101-130, 2014

      2 배영민, "재질 표면에 오염된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건열살균 및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265-1270, 2009

      3 정민영, "인체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의 생균제 특성 연구" 한국미생물학회 45 (45): 177-184, 2009

      4 Torrijos, M, "Treatment of the biodegradable fraction of used disposable diapers by so-digestion with waste activated sludge" 34 : 669-675, 2014

      5 Conway, M. E, "Treatment of absorbent sanitary paper products. Brampton, CANADA assigned to Knowaste Technologies Inc"

      6 Patricia, M. H, "The gut microflora of the developing infant: Microbiology and metabolism" 11 : 75-83, 1999

      7 Colon, J, "Possibilities of compo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municipal solid waste" 29 : 249-259, 2010

      8 Colon, J, "Performance of compostable baby used diapers in the composting process with the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33 : 1097-1103, 2013

      9 KRDA, "Microbe experimental method"

      10 Nadia, M, "Life cycle assessment of bio-based products: a disposable diaper case study" 18 : 1036-1047, 2013

      11 Byun, J. W, "In vitro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obiotic use in pigs" 40 : 701-706, 2000

      12 Lee, S. G, "Fecal microflora of Korean neonates" 27 : 1-6, 2009

      13 Keswick, B. H, "Evaluation of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on diaper absorbent materials" 3 : 21-28, 1988

      14 Rosa, M, "Biological recycling of used baby diapers in a small-scale composting system" 87 : 153-157, 2014

      15 Yi, Y. K, "A study on the recycling policy for effective citizen participation: focused on the promoting factors of recycling behavior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8 : 133-15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48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