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몰입' 개념으로 본 3D 입체 영화의 미래 = The future of the Stereoscopic 3D Cinema - From the point of view of a notion “immer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6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실감과 몰입효과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몰입은 어떤 데에 ‘빠져듦’을 의미하는데 영화는 이런 효과를 여러 장치들을 통해 증강시키고 있다. 특히 3D 입체 영화는 입...

      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실감과 몰입효과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몰입은 어떤 데에 ‘빠져듦’을 의미하는데 영화는 이런 효과를 여러 장치들을 통해 증강시키고 있다. 특히 3D 입체 영화는 입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관객이 3D 이미지 속에 존재하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몰입효과는 최근의 3D 영상뿐만 아니라 예술사에서 모든 시각적 예술이 노렸던 효과인지 모른다. 더욱이 짧은 영화사만을 살펴본다고 하더라도 이 같은 사실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영화가 기술의 발달로 무성에서 유성으로, 흑백에서 천연색으로, 표준스크린에서 와이드스크린으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발전한 과정을 살펴보면 이 모두 몰입효과의 증대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몰입효과를 강화함으로써 관객은 더 영화관을 찾게 되고 이를 통해 영화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영화사는 몰입의 영화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몰입 개념은 지금까지 주로 게임과 관련하여 다루어졌고 영화이론에서는 매우 단순하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개념을 영화와 관련하여 세분할 필요성을 느끼고 영화사와 영화이론사를 통해 이 개념의 의미를 확장하고자 했다. 이에 그리피스의 연속 편집과 주제적 편집,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바쟁의 사실주의, 보드리의 장치이론, 캐롤의 인지주의이론 등이 몰입 개념을 중심으로 재고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영화에서의 몰입 개념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감각적 몰입, 지적 몰입, 내화면 몰입, 외화면 몰입이 그것이다.
      그런데 3D 입체 영화와 관련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감각적 몰입’ 효과만을 거론한 경향이 있다. 앞으로 3D 영화가 산업에만 매몰되지 않고 예술적 기능을 다하려면 앞서 언급한 다양한 몰입 효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explain what the Stereoscopic 3D Cinema looks like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n the near future it will get sensually more absorbing skills and images, so that it can be more successful in the film industry. However, its future...

      This paper tries to explain what the Stereoscopic 3D Cinema looks like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n the near future it will get sensually more absorbing skills and images, so that it can be more successful in the film industry. However, its future is not determinated only in this way, but there will be the other ways, to develop the artistic potentiality of the Stereoscopic 3D films. To make this, I think that we should understand well, what the concept of the immersive effect is. I have classified four sort of immersive crafts in the films: there are the sensual immersion, the intellectual immersion, the on-screen immersion, and the off-screen immersion. At first they have been defined, and then they have been found out and renamed in the film history.
      The film history and its theories tell us that they are none other than a history of the immersion. According to my research, in the classical film theory of editing, the continuity editing and the alternate editing of Griffith belong to the sensual immersion, and his thematic editing to the intellectual immersion. And the Soviet montage of Eisenstein belongs not only to the in-screen immersion but also to the intellectual immersion. In addition, the realism of André Bazin has to do with the off-screen immersion and also with the intellectual immersion.
      As we have seen, the films have basically the innate absorbing characters. A French film theorist Jean-Louis Baudry criticizes this characters with his apparatus theory. But in opposition to Baudry, the american philosopher of art Noël Caroll is critical of the apparatus theory and develops his cognitive film theory. However, it shows that the cognitive strategies of the film produces also inevitably the absorbing and immersive effect.
      It means that we must acknowledge unavoidably the immersive character of the films. Therefore, instead of that we criticize the commercial characters of the absorbing effect, we should to try to choice the best combination of the four categories suggested above, to make a good fil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3D 입체 영화의 가능성
      • Ⅲ. 몰입의 영화사
      • Ⅳ. 입체 영화의 미래- 결론을 대신하여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3D 입체 영화의 가능성
      • Ⅲ. 몰입의 영화사
      • Ⅳ. 입체 영화의 미래- 결론을 대신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복, "한국 영화가 시도해 볼만한 대안 - 디지털 3D 시네마"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23-132, 2010

      2 김베니, "입체영화 산업론: 영화의 미래는 3D입체로 통한다" MJ미디어 2009

      3 양민정, "인지주의 영화이론에 관한 연구-N. 캐롤의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3

      4 자네트 루이스,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6

      5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미술책방 2006

      6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이론과 비평" 한나래 1997

      7 영화진흥위원회, "디지털입체영화 이슈페이퍼 Vol. 1" 2010

      8 최봉현, "디지털 시네마 도입의 경제적 파급효과" 영화진흥위원회 2006

      9 현승훈, "국내 3차원 입체영상산업의 구조와 문제점" 한국디지털영상학회 7 (7): 173-190, 2010

      10 서요성, "가상현실 원리에 내재하는 관념론적 사유의 비물질적, 매개적 속성" 한국브레히트학회 23 (23): 179-202, 2010

      1 이찬복, "한국 영화가 시도해 볼만한 대안 - 디지털 3D 시네마"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23-132, 2010

      2 김베니, "입체영화 산업론: 영화의 미래는 3D입체로 통한다" MJ미디어 2009

      3 양민정, "인지주의 영화이론에 관한 연구-N. 캐롤의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3

      4 자네트 루이스,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6

      5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미술책방 2006

      6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이론과 비평" 한나래 1997

      7 영화진흥위원회, "디지털입체영화 이슈페이퍼 Vol. 1" 2010

      8 최봉현, "디지털 시네마 도입의 경제적 파급효과" 영화진흥위원회 2006

      9 현승훈, "국내 3차원 입체영상산업의 구조와 문제점" 한국디지털영상학회 7 (7): 173-190, 2010

      10 서요성, "가상현실 원리에 내재하는 관념론적 사유의 비물질적, 매개적 속성" 한국브레히트학회 23 (23): 179-202, 2010

      11 "http://medienwissenschaft.uni-bayreuth.de/displus/?p=1286"

      12 "http://en.wikipedia.org/wiki/Immersion_(virtual_reality)"

      13 Lipton, Lenny, "The Stereoscopic Cinema: From Film to Digital Projection" SMPTE SOCIETY OF MOTION PICTURE 110 (110): 2001

      14 Zone, Ray, "Stereoscpic cinema & the origins of 3-D film, 1838-1952"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7

      15 Adams, Ernest, "Postmodernism and the Three Types of Immersion"

      16 Björk, Staffan, "Patterns In Game Design" Charles River Media 2004

      17 Varney, Allen, "Immersion Unexplained"

      18 Baudry, Jean-Louis, "Ideological effects of the basic cinematographic apparatus, In Film Theory and Critic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19 Robertson, Patrick, "Das neue Guinnessbuch Film" Enfield(GB) 1993

      20 Baudry, Jean-Louis, "Das Dispositiv: Metapsychologische Betrachtungen des Realitätseindrucks, In Der kinematographische Apparat" 41-62,

      21 이용규, "3D입체 영상의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22 버나드 멘디부루, "3D 입체 영화 제작 기술" 진샘미디어 2010

      23 김경호, "3D 입체 에니메이션 영화에 있어서 시각적 연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9

      24 Zone, Ray, "3-D Filmmakers: Conversations with Creators of Stereoscopic Motion Pictures" The Scarecrow Pres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