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촌교회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96585

      • 저자
      • 발행사항

        평택 : 평택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 판사항(6)

      • DDC

        25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1, 2, 84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류원렬
        권말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 기본 질문지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평택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materials concerning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before my research begins. Although there are some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the rural church pastors, it
      seems to be a new area of the research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the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s. The researcher is convinced tha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two rural pastors’ job stresses will be helpful
      and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rural pastoral ministry.
      The researcher will also explore the journey of the lives of the rural
      pastors. The use of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or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he rural pastors as well as the job stresses of the pastoral
      ministry is considered as ann appropriate way of the research in many
      ways. The researcher wishes the issues of the job stresses of the rural
      pastors to be resolved as the initial research plan of this projec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indicate the resolving
      ways of the job stresses of the rural pastor in which the rural pastors in
      general will be helpful to face up their pastoral issues as well as the
      subsequent researchers will continue to study on this similar topic of the
      pastoral ministry.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will mention on the
      summary, significance, and suggestion in relation to this paper, hoping
      that the issue of the job stress of the rural pastors can be resolved or at
      least lessened and is the issue of the church ministry in general while
      facing up the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of pluralism and relativism.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materials concerning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before my research begins. Although there are some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

      This study deals with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materials concerning the job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 before my research begins. Although there are some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the rural church pastors, it
      seems to be a new area of the research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the
      stress of the rural church pastors. The researcher is convinced tha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two rural pastors’ job stresses will be helpful
      and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rural pastoral ministry.
      The researcher will also explore the journey of the lives of the rural
      pastors. The use of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or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he rural pastors as well as the job stresses of the pastoral
      ministry is considered as ann appropriate way of the research in many
      ways. The researcher wishes the issues of the job stresses of the rural
      pastors to be resolved as the initial research plan of this projec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indicate the resolving
      ways of the job stresses of the rural pastor in which the rural pastors in
      general will be helpful to face up their pastoral issues as well as the
      subsequent researchers will continue to study on this similar topic of the
      pastoral ministry.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will mention on the
      summary, significance, and suggestion in relation to this paper, hoping
      that the issue of the job stress of the rural pastors can be resolved or at
      least lessened and is the issue of the church ministry in general while
      facing up the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of pluralism and relativ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교회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 스트레스
      에 대해서 심층분석하고 농촌교회 목회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서 농촌
      교회 목회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서 드러내고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농촌교회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위기 요인, 위기 극복,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
      으로 드러내기 위해 클래디닌과 코넬리의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농촌교회 목회자들로 50대 초반과 60대 초반의 남성들
      을 연구 대상자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연구 참여자의 면담 시간
      으로 2018년 10월 대상자를 선정한 이후 2019년 3월까지였고 자료 수집은
      주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의 이야기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분석·
      해석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농촌교회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의 위기 요인은 네 가지 정도에 대
      해서 살펴 볼 수 있었다. 첫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영성관리에 대한 문
      제가 있었고, 둘째, 교인들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이고 습관적인 삶의 언행
      들과 혹은 바르지 못한 신앙관에서 오는 갈등 그리고 무지함으로 생기는
      어려움 등이 있었다. 셋째,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농촌교회 목회자의
      사례 및 처우의 열악함과 농촌교회 목회자의 삶에 대해서 무관심적인 부
      분에 대해서 위기와 갈등이 있었다. 넷째, 목회자 가정에서의 관계에서는
      농촌교회 목회자 자녀들이 잦은 이동으로 생기는 학교에서 겪는 친구관계
      에서의 어려움이나 아버지가 교회에서 존중 받지 못함을 보면서 받는 신
      앙의 갈들이 위기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의 위기 극복 요인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깊은 기도의 시간이나 또한 세미나에서 얻는 영적 만족들이었고
      교인들과의 관계에서는 사명감으로 인내하며 소망하는 것이었고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하나님의 도우심과 혹은 자비량과 같이 세상에서의 직업
      을 갖는 부분들이었고 목회자 가정에서의 위기극복은 가족 간에 서로를
      위해주고 서로를 격려해 주는 가족적 유대감에서 오는 사랑과 지지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교회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 스트레스 에 대해서 심층분석하고 농촌교회 목회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서 농촌 교회 목회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서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교회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 스트레스
      에 대해서 심층분석하고 농촌교회 목회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서 농촌
      교회 목회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서 드러내고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농촌교회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위기 요인, 위기 극복,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
      으로 드러내기 위해 클래디닌과 코넬리의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농촌교회 목회자들로 50대 초반과 60대 초반의 남성들
      을 연구 대상자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연구 참여자의 면담 시간
      으로 2018년 10월 대상자를 선정한 이후 2019년 3월까지였고 자료 수집은
      주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의 이야기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분석·
      해석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농촌교회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의 위기 요인은 네 가지 정도에 대
      해서 살펴 볼 수 있었다. 첫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영성관리에 대한 문
      제가 있었고, 둘째, 교인들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이고 습관적인 삶의 언행
      들과 혹은 바르지 못한 신앙관에서 오는 갈등 그리고 무지함으로 생기는
      어려움 등이 있었다. 셋째,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농촌교회 목회자의
      사례 및 처우의 열악함과 농촌교회 목회자의 삶에 대해서 무관심적인 부
      분에 대해서 위기와 갈등이 있었다. 넷째, 목회자 가정에서의 관계에서는
      농촌교회 목회자 자녀들이 잦은 이동으로 생기는 학교에서 겪는 친구관계
      에서의 어려움이나 아버지가 교회에서 존중 받지 못함을 보면서 받는 신
      앙의 갈들이 위기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의 위기 극복 요인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깊은 기도의 시간이나 또한 세미나에서 얻는 영적 만족들이었고
      교인들과의 관계에서는 사명감으로 인내하며 소망하는 것이었고 경제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하나님의 도우심과 혹은 자비량과 같이 세상에서의 직업
      을 갖는 부분들이었고 목회자 가정에서의 위기극복은 가족 간에 서로를
      위해주고 서로를 격려해 주는 가족적 유대감에서 오는 사랑과 지지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