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2 "한국의 옛지도" 영남대학교출판부 1998
3 "한국의 봉수" 눈빛 2003
4 "한국의 발견 / 한반도와 한국사람-경상북도." 뿌리깊은나무 1983
5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1991
6 "한국산성의 특징과 안동의 산성" 8 : 187-222, 1994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ㆍ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8 "지지 및 지도의 표현요소와 환경인식, 한국의 옛 지도(자료편)" 영남대학교박물관 128-136, 1998
9 "유교적 촌락경관의 이해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1991191-214.
10 "영남지방지명에 관한 연구" 5 (5): 1-24, 1999
1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2 "한국의 옛지도" 영남대학교출판부 1998
3 "한국의 봉수" 눈빛 2003
4 "한국의 발견 / 한반도와 한국사람-경상북도." 뿌리깊은나무 1983
5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1991
6 "한국산성의 특징과 안동의 산성" 8 : 187-222, 1994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ㆍ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8 "지지 및 지도의 표현요소와 환경인식, 한국의 옛 지도(자료편)" 영남대학교박물관 128-136, 1998
9 "유교적 촌락경관의 이해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1991191-214.
10 "영남지방지명에 관한 연구" 5 (5): 1-24, 1999
11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9 (9): 413-423, 2003
12 "안동지방산성의 특징" 3 : 1-29, 1998
13 "안동지방 제사건축에 관한 연구" 147-156, 1988
14 "안동의 풍수경관" 38 : 70-86, 2003
15 "안동선비의 서원창설운동에 대하여" 8 : 263-283, 1996
16 "안동문화의 재인식" 1986
17 "안동문화연구소 경북북부지역의 전통문화." 안동대학교 1988
18 "서원 : 한국사상의 숨결을 찾아서" 예문서원 2000
19 "부산지역 고지도 연구" 18 : 392-456, 2002
20 "부산ㆍ울산ㆍ경상남도 시군별 고지도 1" 2004
21 "부산 동래부 군현지도의 유형과 내용분석" 19ㆍ20 : 333-375, 2002
22 "민족문화연구소" 경북대학교 1991
23 "고지도와 한국문화" 7 : 39-63, 1995
24 "高麗時代 安東都護府의 設置와 安東의 地名 定着" 8 : 131-149, 1994
25 "韓國古地名事典" 1993
26 "郡縣地圖의 발달과 海東地圖" 奎章閣 60-74, 1995
27 "海東地圖(영인)" 서울대학교규장각 1995
28 "朝鮮後期地方地圖(영인)" 1999
29 "映湖樓에 關한 小考" 11 : 3-45, 1997
30 "安東의 樓亭" 8 : 5-24, 1994
31 "安東鄕校史." 安東鄕校 1992
32 "安東地方의 廢寺址에 관한 考察" 1 : 9-41, 1986
33 "安東地域 山城의 新資料" 9 : 91-133, 1996
34 "安東史蹟要覽." 류일곤 1983
35 "安東 臨淸閣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0 : 601-604, 2000
36 "國譯永嘉誌." 安東府 1991
37 "國土와 地名" 22 : 64-74, 1987
38 "三國時代의 城郭과 地名" 8 : 57-80, 1987
39 "Places-names(geographical names) on and off the coast of Norway : names of oil fields compared to traditional place-names" 44 : 62-71, 2000
40 "18세기 비변사지도의 고찰-규장각 소장 도별 군현지도집을 중심으로" 93-122,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