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제주오현 교육사상 연구 = A Srudy On The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04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의 사액서원인 귤림서원에 배향된 제주오현(충암 김정·규암 송인수·청음 김상헌·동계 정온·우암 송시열)의 교육사상을 규명하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의 사액서원인 귤림서원에 배향된 제주오현(충암 김정·규암 송인수·청음 김상헌·동계 정온·우암 송시열)의 교육사상을 규명하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오현이 과연 어떠한 교육사상을 지닌 인물이며, 그들이 제주와의 관련성이라는 일차적 특성 외에 어떠한 측면 때문에 제주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교육사상과 삶을 이해할 수 있어야만 제주유림들이 200여 년 동안 이념적 푯대로 추숭(追崇)했던 제주오현의 모습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오현의 교육사상을 밝히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제주 귤림서원은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로 인해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1521년(중종 16) 사사(賜死)된 충암 김정을 기리기 위해, 1578년(선조 11) 조인후 판관이 충암묘(冲庵廟)를 건립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후 제주유림 김진용의 건의로 1660년(현종 1) 이괴 목사에 의해 장수당(藏修堂)이 건립되었고, 1667년(현종 8) 최진남 판관이 충암묘를 장수당으로 옮기면서 제향 공간과 강학 공간을 모두 갖춘 서원이 성립되었고, 귤림서원이라 현액하였다. 1669년(현종 10) 안무어사였던 청음 김상헌과 유배인 동계 정온을 추향하였으며, 1678년(숙종 4) 제주목사였던 규암 송인수를 추배하였고, 1682년(숙종 8) 사현(四賢) 서원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695년(숙종 21) 유배인이었던 우암 송시열을 배향함으로써 제주오현이 완성되었다.
      충암 김정은 조광조와 함께 지치주의(至治主意)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던 기묘사림이었다. 충암 김정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모든 공부의 본체적 의미로 ‘경(敬)’을 강조하였으며, 『소학』과 『근사록』을 중시하였다. 성균관의 개혁과 현량과의 설치, 향약의 실행 등 적극적인 교육개혁을 실시하였다. 제주에서는 김양필과 문세걸 등의 제주유림과 종유(從遊)하였으며, 제주인의 윤리·도덕적 교화를 위해 불교의 활용을 용인하는 등 현실주의적 교육담론을 제시하였다.
      규암 송인수는 제주목사로 약 3개월간 재임했으며, 제주목사의 체임(遞任)이 문제가 되어 경상도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규암 송인수의 제주오현 배향의 정당성과 배향 이유에 관해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료를 통해 규암의 제주목사 부임과 사임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짧은 제주목사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규암 송인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소학』과 『대학』을 중시하였으며, 충암 김정과는 달리 학문을 통한 배움을 강조하였다. 성균관 대사성 재임 때에는 유생들에게 도학(道學)과 의리(義理)를 강론하였고, 전라도 관찰사 재임 시 『소학』을 적극적으로 보급하였으며, 평생 중의경리(重義輕利)의 삶을 추구하였다. 규암은 조선 전기사림과 후기사림을 잇는 시기의 학자로서 제주오현과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충암 김정과는 은진송씨 삼현(三賢)으로, 청음 김상헌과는 임당 정유길, 상촌 신흠을 통해 영향 관계가 형성된다. 동계 정온과는 남명 조식을 매개로 영향 관계가 형성되며, 우암 송시열은 규암 송인수의 종증손(從曾孫)이다. 이러한 규암 송인수의 다양한 학적 네트워크로 인해 귤림서원 오현의 영향 연관이 설명될 수 있었다.
      청음 김상헌은 1601년(선조 34) 안무어사로 파견되어 제주와 인연을 맺었다. 청음 김상헌은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慾)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소학』과 『예기』를 통한 근본을 강조하였다. 청음 김상헌 역시 규암 송인수와 마찬가지로 거경(居敬)의 수양론보다는 학문을 통한 도문학(道問學)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청음 김상헌은 평생 의리적 삶을 살아온 선현(先賢)을 추숭하였으며, 시를 통한 함양과 고요함 속의 공부론을 추구하였다. 제주에서는 민본주의와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제주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을 통해 제주인에게 모범적인 스승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안무어사의 임무 중 하나인 별시시취(別試試取)를 통해 제주에서는 최초로 별시 문과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따라서 청음 김상헌이 제주에서 보여준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교육적 영향만으로도 귤림서원에 배향하기에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평가하였다.
      동계 정온은 1614년(광해 3) 영창대군을 살해한 강화부사 정항을 참수하고 영창대군을 대군의 예로 장례 지낼 것을 요청하는 「갑인봉사(甲寅封事)」로 인해 제주에 유배되었다. 인조반정으로 해배될 때까지 약 10년간 위리안치 생활을 하였다. 동계 정온은 명인륜(明人倫)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수양론으로서의 ‘지경(持敬)’을 매우 강조하였다. 『소학』과 『심경』을 중시하여 마음 다스림의 교과서로 활용하였다. 평생 독실하게 독서와 저술 활동에 힘썼으며, 제주유배 생활에서 이러한 모습이 더욱 두드러진다. 동계 정온은 제주오현 중 유일하게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의 영향을 모두 받은 영남 출신의 학자이다. 따라서 동계 정온의 귤림서원 배향은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후대에까지 영남학파의 학풍이 제주에 전파되는 역할을 하였다.
      우암 송시열은 1689년(숙종 15) 세자 책봉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에 유배되어 약 110일을 보내고, 서울로 압송되어 가던 중 정읍에서 후명(後命)을 받고 사사(賜死)되었다. 우암 송시열은 성심을 다하여 거짓이 없음을 뜻하는 직(直)을 평생의 신념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직’ 사상은 그의 교육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암은 거경(居敬)과 궁리(窮理)의 병진(竝進)을 강조하는데, 독서를 통해서도 치지(致知)와 존심(存心)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암 송시열도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과 같이 수양론의 경(敬)보다는 도문학(道問學)의 영역을 강조하였다. 우암은 『소학』과 『가례』를 학문의 입문처로 보고 중시하였으며, 이는 율곡 이이와 사계 김장생의 독서 차제(次第)를 수용한 것이었다. 우암은 평생 주자를 신봉하고, 벽이단(闢異端)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따라서 주자 성리학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벽이단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러한 우암의 철저한 분석적 학문 태도는 제주유배 생활에서도 한결같았으며, 우암의 이러한 학문적 태도에 제주 유림은 감발흥기(感發興起)하였을 것이라 판단된다.
      제주오현의 교육사상을 모두 살펴본 결과 큰 틀에서 성리학의 공부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가치론적 측면에서 ‘천인합일’의 교육목적을 지향하였으며, 심성론 또는 공부론의 측면에서 볼 때 ‘존천리거인욕’의 교육목적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제주오현은 공부론의 방법론에서는 강조점의 차이가 있었다. 충암 김정과 동계 정온은 수양론적 측면의 ‘경(敬)’을 매우 중시하였으며,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 우암 송시열은 상대적으로 학문을 통한 궁리(窮理)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제주오현 모두 일관되게 『소학』을 중시하였는데, 수신서(修身書)로서 『소학』을 내면화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한편 교화의 교육과정으로 『소학』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제주오현은 사변적 학문 탐구를 추구한 학자적 삶보다 수기치인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실천적 삶을 살았던 인물들이었다. 그들의 실천적 삶은 도학자(道學者)의 전형이었다. 특히 일상적 삶에서도 도학적 의리사상을 실천했지만, 죽음을 무릅쓰고 행했던 대의(大義)를 위한 의리사상의 실천은 그들을 제주오현에 배향하게 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들의 도학적 삶과 의리정신의 실현은 성리학을 통해 배운 내용을 실제의 행동으로 옮긴 것으로 지행병진(知行竝進)의 전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서원에 향사된다는 것은 ‘선생’으로 표시되는, 만인(萬人)이 수긍하는 교육적 인간상이라는 뜻과 같다. 따라서 제주 유림은 귤림서원에 가면, 엄연히 제주오현을 보는 듯하여 제주오현처럼 되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덕성과 학문의 함양 의지가 발현되었을 것이다[入其堂儼然若見其人]. 이로써 제주의 문풍(文風)이 진작되었으며, 그 결과 귤림서원을 기점으로 공부한 제주유림의 과거 합격자가 매우 증가하였다. 그리고 제주오현의 소학지도(小學之道) 중시 경향이 제주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주오현의 의리사상은 제주의 위정척사운동과 항일운동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오현의 교육사상과 특징, 그리고 제주에 끼친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제주오현이 오랫동안 제주의 사표로 추앙받아온 이유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주오현의 귤림서원 배향이 제주와 중앙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는 것이 충분히 드러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조선시대 제주교육사상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Dongye Jeongon and Wooam Songsiyol, who had been glorified in Gyulim Seoweon, one of the b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Dongye Jeongon and Wooam Songsiyol, who had been glorified in Gyulim Seoweon, one of the bestowed Seoweon schools,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idea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Jeju Ohyun with respect to their educational thoughts and the additional reason why they were glorified in Gyulim Seowon excluding their relation to Jeju as the primary fundamental feature. The reason is that only by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 thoughts and life can lead to the complete exhibition of Jeju Ohyun whom Confucian scholars in Jeju had worshiped(追崇) as ideological idea for 200 years. There in Jeju had worshiped(追崇) as ideological idea for 200 years. Therefore, this research reveale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m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ideas. The establishment of Gyulim Seowon in Jeju had started initially as Cho Inhoo who was a judge established Chungam shrine(冲庵廟) in 1578 (11th year of King Seonjo) to praise Chungam Kim Jeong who had been exiled to Jeju due to Gimyosahwa and been executed(賜死) in 1521 (16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this, Changsoo academy(藏修堂) was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or Igoat in 1660 (First year of King Hyeonjong) because of the proposal made by Jeju Confucian scholar Kim jinyong. In 1667 (8th year of King Hyeonjong) the judge Choi Jinnam relocated Chungam shrine to Changsoo academy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ith the ritual place and academic place lastly naming it as Gyulim Seowon. In 1669 (10th year of King Hyeonjong) Chugeum Kim Sangheon who was government official and Dongye Jeongon who was an exile were praised, Kyuam Song Insu who was the local governor of Jeju was praised in 1678 (4th year of King Sukjong, and it was lastly bestowed(賜額) in 1682 (8th year of KIng Sukjong). In 1695 (21th year of King sukjong), Wooam Songsiyol who was an exile was praised and Jeju Ohyun which means five sages in Jeju led to the completion. Chungam Kim Jeong was Gimyo sarim who struggled to realize the ideal of ultimate governance(至治主意) with Jo Gwangjo. On the basis of holism(天 人合一) as educational purpose, Chungam Kim Jeong emphasized ‘Kyeong’(敬) as fundamental aspect of all kinds of studies, and laid stress on Sohak and Geunsarok. He also executed active educational reforms such as reformation of Sungkyunkwan, instituion of the exam Hyunranggwa and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ion Hyangyak. In Jeju, he got acquainted with Kim Yangpil and Moon Syegeol who were Jeju Yulim, and proposed practical educational discourse such as approval of Buddhism for the purpose of ethical and moral edification for people in Jeju. Kyuam Song Insu served as local governor in Jeju for 3 months but he was soon to be exiled to Sacheon in Gyeongsang province for dismissal(遞 任). For this reason, meanwhile public opinion on the justification of praise on him and the reason for praise was dominantly negative. In this research, through analysis on various historical records, his appointment and dismissal as local governor in Jeju was investigated, which revealed that he was obliged to rule for such a brief time. On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and ordering of of society(修己治人) as educational purpose, Kyuam Song Insu put importance on Sohak and Daehak and on the contrary to Chungam Kim Jeong emphasized learning itself through studies. During his time as Sungkyunkwan Daesasung, he gave a lecture on Dohak(道學) and Uiri(義理) to students and during his service as local governor in Jeollado province actively disseminated Sohak while pursuing Joongikyungri(重義輕利) during his lifetime. As a scholar connecting Sarims in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solid networking between him and Jeju Ohyun could be established. Influencing relationship was formed with him and not only Chungam Kim Jeong through Eunjin Song Family relationship but also with Chungeum Kim Sangheon through Imdang Jeong Eugil and Sangchon Shin Heum. With Dongye Jeongon, relationship is formed via Nammyeong Cho shik. Wooam Songsiyol is a great-grandson of his brother. On this context, interconnection of influences of Ohyun of Gyulim Seowon can be elucidated. Chungeum Kim Sangheon started to have relation with Jeju since he was sent to Jeju as goverment official in 1601 (34th year of Seonjo). On the basis of Confucius Joncheonliguinyok(存天理去人慾) as educational purpose, he emphasized fundament through Sohak and Yegi. As with Kyuam Song Insu, he put importance on aspects of Domunhak through studies rather than self-cultivation. He worshiped precedent sages living life as Uiri during his whole life time and also pursued theory of study through poetics. In Jeju, he manifested himself as exemplary teacher to people in Jeju exhibiting positive attitudes on the basis of Minbon thought and Aemin spirit. In addition, through Byulsisichi(別試試取) he produced outstanding individual who was the first successful applicant to Byulsi, which was one of the duties given to government official. Therefore, he was appreciated as a respectful figure who could be glorified in Gyulim Seowon without any dispute even only with his educational and positive influence in Jeju. Dongye Jeongon was exiled to Jeju in 1614 (3th year of Gwanghae) for Gabinbonsa(甲寅封事) requesting execution of government official Jeong Hang in Gangwha who murdered Yeongchangdaegun and having a funeral with the rights that he deserved as Daegun. He lived suffering Wirianchi for 10 years until he was set free from that through Injobanjeong Dongye Jeogon emphasized Jigeong as theory of self-cultivation on the basis of Myunginrun (明人倫). He also utilized Sohak and Daehak as mind-calming material putting a lot of importance on those. During his whole life time, he put efforts on reading and writing, which were prominently exhibited during his exile in Jeju. He is the only scholar bearing Yeongnam as origin being influenced by both Nammyeong school and Toegye school. Thus, sanction on praise on him in Gyulim Seowon could lead to securement of diversity of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while functioning as intermediate propagating academic traditions of Yeongnam school to Jeju even to after ages. Wooam Songsiyol spent approximately 110 days in Jeju during his exile because of his proposal of the opposition on the installation of prince, later being executed(賜死) in Jeongeup on his transfer to Seoul. During his lifetime, Wooam Songsiyol pursed Jik(直), which means being sincerely truthful, and the thought of 'Jik' was his educational goal. Wooam emphasized Gurgyeong (居敬) and Byeongjin(竝進) while appreciating that through reading Chiji(致知) and Johnshim(存心) interacts. Therefore, as with Kyuam Song Insu and Chungeum Kim Sangheon, he emphasized the aspects of Domunhak rather than Kyung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Wooam appreciated Sohak and Garye as an introduction to study,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reading procedure of Yulgok Lee Yi and Sagye Kim Jangsaeng. Wooam worshiped Zhu Xi for his lifetime and regarded excluding heresy as his duty. Therefore, he analyzed vigorously Neo-Confucianism of Zhu Xi, from which he determined standards for excluding heresy. His vigorously analytical attitude on study was the same even in his exil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nspiration to Jeju Yurim. Taking an overview of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it was revealed that they were not largely deviating from idea of study in Neo-Confucianism. In axiological aspect, holism was pursued as educational aim. In aspect of mentality theory or theory of study, Joncheonliguinyok(存天理去人慾) was pursued as educational goal. However, methodological viewpoints on theory of study were different among those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and Dongye Jeongon largely emphasized 'Kyung' in self-cultivating viewpoint. On the other hand,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and Wooam Song Siyol relatively put an emphasis on pursing knowledge through study. Jeju Ohyun consistently emphasized Sohak regarding it as Sooshinseo(修身書) to be internalized and seeking for Wikijihak(爲己之學). Meanwhile, they also highlighted Sohak as curriculum for edification Jeju Ohyun were figures with practical acts on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and ordering of of society not like other sages who longed for speculative academic investigation. Their life is a model of scholars of Do. Particularly, not only for their practice of Uiri in daily life, their practice of Uiri on great cause on behalf of their lives is the primary reason why they were glorified in Jeju Ohyun. In this context, their life pursuing Do and their practice of Uiri can be appreciated as the exemplary model of Jihaengbyungjin(知行竝進) which means acting what one comes to know in Neo-Confucianism. Being praised in Seowon signifies that one is the educational figure everyone respects being called 'Seonsaeng'. Thus, Yulim in Jeju might have been inspired just to be like Jeju Ohyun when they went to Gyulim Seowon like they are facing them virtually(入其堂儼然若見其人). By this, academic fashion was motivated in Jeju, leading to production of many passers of the state examination since establishment of Gyulim Seowon. Also, trend on utilizing Sohak which Jeju Ohyun emphasized seemed to influence Jeju. On top of that, their idea of Uiri came to be ideological foundation for Wi eongchucksa movement and anti-Japanese movements in Jeju. Through this research, revealing education thoughts of Jeju Ohyun, thei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n Jeju, the reason why they were worshiped as sage in Jeju for a long time could be concretely idnetified. Also, it can be sufficiently justified that glorification of Jeju Ohyun in Gyulim Seowon is the interaction between Jeju and the central government. This research seemd to pave foundation for extension of understanding on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in Jeju in Joseo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시사점 6
      • 1) 선행연구 검토 6
      • 2) 선행연구 검토의 시사점 18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시사점 6
      • 1) 선행연구 검토 6
      • 2) 선행연구 검토의 시사점 18
      •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20
      • 1) 연구의 내용 20
      • 2) 연구의 방법 21
      • II.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적 연원과 귤림서원의 형성 28
      • 1.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적 연원 28
      • 1) 성리학 교육사상의 이해 28
      • 2) 성리학 교육사상의 조선조 전개와 특징 37
      • 2. 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전개 43
      • 1) 조선시대 서원의 성립 43
      • 2) 조선시대 서원의 전개 45
      • 3) 귤림서원의 성립 53
      • 4) 제주오현의 봉안 59
      • III.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 66
      • 1. 충암 김정 교육사상의 배경요인 67
      • 1) 충암 김정의 생애 67
      • 2) 충암 김정의 학문적 연원 69
      • 2. 충암 김정의 이기심성론 72
      • 3.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 81
      • 1) 천인합일의 교육목적론 81
      • 2) 교육방법과 내용 84
      • 4. 충암 김정의 교육실천 97
      • 1) 학교교육의 개혁 97
      • 2) 재덕겸비(才德兼備)의 스승관 99
      • 3) 과거제도의 개혁 현량과 설치 102
      • 4) 향약의 시행 105
      • 5.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 109
      • 1) 정신사적인 측면의 영향 109
      • 2) 제주유학자와의 교유 111
      • 3) 제주인을 위한 현실주의적 교육담론 113
      • IV. 규암 송인수의 교육사상 116
      • 1. 규암 송인수 교육사상의 배경요인 117
      • 1) 규암 송인수의 생애 117
      • 2) 제주목사 부임과 체임(遞任) 118
      • 3) 규암 송인수의 학문 연원 124
      • 2. 규암 송인수의 이기심성론 128
      • 3. 규암 송인수의 교육사상 133
      • 1) 수기치인의 교육목적론 133
      • 2) 사리지의(事理之宜)를 위한 공부론 136
      • 4. 규암 송인수의 교육실천 141
      • 1) 학교의 진흥과 사표로서의 송인수 141
      • 2) 교화를 중시한 치인(治人) 교육 146
      • 3) 애민정신과 중의경리(重義輕利)의 실천 150
      • 5. 규암 송인수의 추숭과 귤림서원 배향 155
      • 1) 규암 송인수의 추숭 과정 155
      • 2) 규암 송인수의 귤림서원 배향의 의미 162
      • V. 청음 김상헌의 교육사상 169
      • 1. 청음 김상헌 교육사상의 배경요인 170
      • 1) 청음 김상헌의 생애 170
      • 2) 청음 김상헌의 학문적 연원 171
      • 2. 청음 김상헌의 이기심성론 176
      • 3. 청음 김상헌의 교육사상 178
      • 1) 존천리거인욕의 교육목적론 178
      • 2) 교육내용과 방법 182
      • 4. 청음 김상헌의 제주에서의 교육실천 204
      • 1) 민본주의(民本主義)와 애민정신(愛民精神) 204
      • 2) 인재의 등용과 제주에서의 시재설행(試才設行) 210
      • VI. 동계 정온의 교육사상 215
      • 1. 동계 정온 교육사상의 배경요인 216
      • 1) 동계 정온의 생애 216
      • 2) 동계 정온의 학문적 연원 217
      • 2. 동계 정온의 이기심성론 220
      • 3. 동계 정온의 교육사상 228
      • 1) 명인륜(明人倫)의 교육목적론 228
      • 2) 교육방법과 내용 234
      • 4. 동계 정온의 귤림서원 배향의 의미 252
      • VII. 우암 송시열의 교육사상 258
      • 1. 우암 송시열 교육사상의 배경요인 258
      • 1) 우암 송시열의 생애 259
      • 2) 우암 송시열의 학문적 연원 260
      • 2. 우암 송시열의 이기심성론 264
      • 1) 이기론 264
      • 2) 심성론 267
      • 3. 우암 송시열의 교육사상 272
      • 1) 교육목적으로서의 '직(直)' 272
      • 2) 교육방법과 내용 276
      • 4.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 293
      • VIII.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특징과 교육사상사적 의미 296
      • 1. 제주오현의 영향연관 297
      • 2.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특징 303
      • 1) 제주오현의 주리론적 이기론 303
      • 2) '존덕성'과 '도문학' 강조의 차이 305
      • 3) 소학지도(小學之道) 중시 307
      • 4) 도학적 의리사상의 실천 311
      • 3.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 317
      • IX. 요약 및 결론 326
      • 1. 요약 326
      • 2. 결론 332
      • 참고문헌 337
      • ABSTARCT 35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종배, 조화태, "『교육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6

      2 김형찬, "역 『논어』", 서울 : 홍익출판사, 2012

      3 강문종, "『귤림서원』",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9

      4 정순우, "서원의 사회사", 경기: 태학사, 2013

      5 정순우, "『공부의 발견』", 서울: 현암사, 2007

      6 곽신환, "『우암 송시열』", 경기: 서광사, 2012

      7 이호일, "『조선의 서원』", 서울: 가람기획, 2006

      8 정원재, "조선 전기 수양론", 서울대학교 철학연구소, 2004

      9 허남진, "조선 전기 이기론",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10 윤사순, "『韓國儒學論究』", 서울: 현암사, 1980

      1 박종배, 조화태, "『교육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6

      2 김형찬, "역 『논어』", 서울 : 홍익출판사, 2012

      3 강문종, "『귤림서원』",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9

      4 정순우, "서원의 사회사", 경기: 태학사, 2013

      5 정순우, "『공부의 발견』", 서울: 현암사, 2007

      6 곽신환, "『우암 송시열』", 경기: 서광사, 2012

      7 이호일, "『조선의 서원』", 서울: 가람기획, 2006

      8 정원재, "조선 전기 수양론", 서울대학교 철학연구소, 2004

      9 허남진, "조선 전기 이기론",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10 윤사순, "『韓國儒學論究』", 서울: 현암사, 1980

      11 제주도연구원, "『제주교육통사』", 제주: 신일인쇄사, 1974

      12 김봉옥, "『증보 제주통사』", 제주: 도서출판 세림, 2001

      13 이승환, "유교 담론의 지형학", 경기: 푸른숲, 2004

      14 양진건, "『제주교육행정사』", 제주: 제주문화, 2001

      15 강봉수, "『유교 도덕교육론』", 서울: 원미사, 2001

      16 정순목, "『퇴계의 교육철학』", 서울: 지식산업사, 1986

      17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上』", 서울: 심산출판사, 2006

      18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中』", 서울: 심산출판사, 2006

      19 김학수, "「동계 정온의 학맥」", 『남명학보』4. 남명학회, 2005

      20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서울: 휴머니스트, 2005

      21 김경미, "「淸陰金尙憲詩硏究」", 『연세어문학』21. 연세대학교 국어국 문학과. 199-234, 1988

      22 이태진, "『朝鮮儒敎社會史論』", 서울: 一潮閣, 1989

      23 윤영선, "『朝鮮儒賢淵源圖乾』", 長水郡: 東文堂, 1941

      24 정만조, "『朝鮮時代書院硏究』", 경기: 集文堂, 1997

      25 양순필, "『濟州流配文學硏究』", 제주문화, 1992

      26 제주유림육백년사편찬위원회, "『제주유림육백년사』", 서울: 학문사, 1997

      27 윤희면, "조선 시대 서원과 양반", 경기: 집문당, 2004

      28 황금중, "「朱子의 工夫論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9 김낙진, "「성리학과 대학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편저. 『교육과 성리 학』. 서울: 학지사. 169-215, 2017

      30 박수천, "「충암 김정의 시문학」", 『한국한시작가연구』4. 한국한시학회. 303-326, 1999

      31 오인탁, "『교육학 연구의 논리』", 서울: 학지사, 2006

      32 신창호, "『유교의 교육학 체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2

      33 이향배, "「沖庵金淨의 散文硏究」", 『충청문화연구』21. 충남대학교 충 청문화연구소. 131-155, 2018

      34 김찬흡, "編 『제주항일인사실기』", 제주문화원, 2005

      35 이동순, "「冲庵時의 이미지 특성」", 『우리어문연구』37. 우리어문학회. 417-441, 2010

      36 김문준, "「우암 송시열의 계녀서」", 『한국사상과 문화』23. 한국사상문 화학회. 91-114, 2004

      37 김순이, 표성준, "『제주 유배인과 여인들』", 서울: 여름언덕, 2012

      38 금장태, "『조선 전기의 유학사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39 장성모, "주자와 왕양명의 교육이론", 경기: 교육과학사, 1998

      40 이해준, "『朝鮮後期門中書院硏究』", 서울: 경인문화사, 2008

      41 정순목, "『한국서원교육제도연구』", 경북: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0

      42 노인숙, "면암 최익현 한시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2002

      43 남명진, "「冲庵學問의 淵源的檢討」", 『충청문화연구』19.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45-81, 2017

      44 김기동, "「冲庵金淨의 流配文學考」",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45 강성능, "「冲庵金淨의 海島錄硏究」",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88

      46 손찬식, "「沖庵金淨의 詠物詩硏究」", 『충청문화연구』19.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07-150, 2017

      47 김하윤, "「淸陰金尙憲의 漢詩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8 김치홍, 원창애, "편 『제주삼읍교학사료집』", 전국문화원연합회 제주도지 회, 2003

      49 梁淳珌, "「沖庵의 濟州流配漢詩攷」.", 『겨레어문학』9 10. 건국대국어국 문학연구회. 517-536, 1985

      50 오석원, "「규암 송인수의 의리사상」", 『유교사상문화연구』29. 한국유교 학회. 337-362, 2007

      51 오석원, "「우암 송시열의 의리사상」", 『유교사상연구』33. 한국유교학회. 63-90, 2008

      52 송희경, "「청음 김상헌의 경세사상」", 『양명학』41. 한국양명학회. 253-280, 2015

      53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서울: 와우출판사, 2005

      54 정재훈,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경기: 신구문화사, 2008

      55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56 김인회, "『한국교육의 역사와 문제』", 서울: 文音社, 1994

      57 박수천, "「충암 김정의 삶과 시문학」", 『우암논총』2. 충북대학교 우암 연구소. 121-154, 2009

      58 김태영, "「충암 김정의 생애와 사상」", 『湖西文化硏究』13(1). 忠北大學 校湖西文化硏究所. 3-34, 1995

      59 李烘雨, "『[증보]성리학의 교육이론』", 경기: 교육과학사, 2014

      60 정일선, "「桐溪鄭蘊의 政治思想一考」",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1 양순필, "「金淨의 「濟州風土錄」攷」", 『어문연구』7(3). 한국어문교육 연구회. 335-346, 1979

      62 고정우, "「桐溪鄭蘊의 流配漢詩硏究」",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63 이경동, "「仁祖代經筵의 운영과 성격」", 『조선시대사학보』90. 조선시 대사학회. 97-144, 2019

      64 김석완, "「敎育思想의 학문적 정체성」", 『교육사상연구』27(1). 한국교육 사상연구회. 29-51, 2013

      65 하진규, "「淸陰金尙憲의 生涯와 文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66 양진건, "「齊州五賢의 敎學活動硏究」.", 『탐라문화』7. 제주대학교 탐 라문화연구소. 229-250, 1988

      67 김인회, "「한국교육사 서술의 제문제」", 『한국교육사학』3. 한국교육사 학회. 58-107, 1981

      68 윤인숙, "『조선전기 사림과 『소학』』", 경기: 역사비평사, 2016

      69 홍원식, "「포은 정몽주의 학문과 절의」", 『포은학연구』18. 포은학회. 5-29, 2016

      70 정시열, "『조선 서원을 움직인 사람들』", 경기: 글항아리, 2013

      71 진래, "안재호 역(1997). 『송명성리학』", 서울: 예문서원, 1992

      72 이을환, "「『戒女書』의 言語戒訓研究」", 『아시아여성연구』29. 숙명여 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7-39, 1990

      73 김만선, "「桐溪鄭蘊의 學問과 政治活動」", 한국교육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98

      74 송희준, "「桐溪鄭蘊의 학통과 학문사상」", 『영남학』26. 경북대학교 영 남문화원. 67-102, 2014

      75 김홍철, "「沖庵金淨先生의 生涯와 學問」", 『교육과학연구』8. 청주대 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3-26, 청주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4

      76 이영환, "「이이(李珥)의 시 교육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7 이정민, "「조선시대 『小學』이해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8 양진건, "「朝鮮時代濟州敎育思想史硏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79 유홍렬, "「朝鮮에 있어서의 書院의 成立」", 『韓國社會思想論考』. 서울: 一潮閣, 1980

      80 유용환, "「규암 송인수 선생과 배향서원」", 『유학연구』16. 충암대학교 유학연구소. 224-235, 2007

      81 윤치부, "「김정 「우도가」의 이본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40. 한 국시가문화학회. 153-179, 2017

      82 정순우, "「한국 유학교육의 특징과 성격」",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저.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경북: 한국국학진흥원. 15-64, 2006

      83 이송희, "「冲庵金淨의 金剛山紀行詩硏究」", 『語文硏究』94. 어문연구 학회. 131-155, 2017

      84 김형찬, "「理氣, 존재와 규범의 기본개념」",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 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 예문서원. 47-68, 2002

      85 한기범, "「충암 김정의 선비적 삶과 정신」", 『충청문화연구』17. 충남대 학교 충청문화연구소. 5-38, 2016

      86 홍한얼, "「‘직(直)’의 윤리적 의미 고찰」", 『온지논총』63. 온지학회. 145-166, 2020

      87 김덕수, "「「제주풍토록」의 텍스트 비평」", 『한국학』42(3). 한국학중 앙연구원. 7-44, 2019

      88 이선열, "「宋時烈과 우암학단의 心論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9 송양섭, "「朝鮮時代書院敎育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90 황금중,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比較硏究」", 『한국교육사학』25(1). 한 국교육사학회. 203-233, 2003

      91 강동호, "「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사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92 양진건, "『제주유배길에서 추사를 만나다』", 서울: 푸른역사, 2011

      93 진래, "이종란 외 역(2002). 『주희의 철학』", 서울: 예문서원, 1987

      94 오수창, "「桐溪鄭蘊의 정치활동과 그 이념」", 『남명학연구』11. 남명학 회. 327-352, 2001

      95 윤종빈, "「규암 송인수의 생애와 경세사상」", 『유학연구』13. 충남대학 교 유학연구소. 129-171, 2006

      96 배상현, "「송시열의 예학사상과 그 의리화」", 『한국사상과 문화』42. 한 국사상문화학회. 91-120, 2008

      97 정낙찬, "「조선 초기 관학파의 교육방법론」", 『교육철학』. 28. 한국교육 철학회. 19-48, 2005

      98 강봉수, "「조선전기 도학적 덕교육론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99 김경용, "「조선전기 서당교육에 대한 試論」", 『교육사학연구』27(2). 교 육사학회. 1-36, 2017

      100 이향배, "「他人의 詩文을 통해 본 冲庵金淨」", 『충청문화연구』19. 충 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51-176, 2017

      101 손병욱, "「涵養省察,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325-349, 2002

      102 이봉규, "「권근의 경전 이해와 후대의 반향」", 『한국실학연구』13. 한국 실학학회. 267-301, 2004

      103 김경수, "「중종대 유교화 추진과 충암 김정」", 『儒學硏究』44. 충남대학 교 유학연구소. 35-63, 2018

      104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선비』", 서울: 현암사, 2002

      105 김익수, "「尤庵宋時烈의 直哲學과 교육문화」", 한국사상과 문화 42. 한 국사상문화학회. 241-278, 2008

      106 황의동, "「冲庵金淨‘義理’ 의 현대적 의미」", 『충청문화연구』19. 충남 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83-105, 2017

      107 이승환, "「道統, 유학의 참 정신을 잇는 계보」",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460-484, 2002

      108 허권수, "「규암 송인수의 선비정신과 시세계」", 『유학연구』13. 충남대 학교 유학연구소. 109-127, 2006

      109 안병학, "「문학의 본질, 효용, 그리고 글쓰기」",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415-434, 2002

      110 최두진, "「정조대의 초계문신 교육제도 연구」", 『교육사상연구』23(1). 한국교육사상학회. 229-248, 2009

      111 유초하, "「관학파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정초」",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19-58, 1996

      112 황금중, "「성리학의 주요 공부 표어와 공부론」", 한국교육철학학회 편저. 『교육과 성리학』. 서울: 학지사. 93-130, 2017

      113 김용헌,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국학연구』19. 한국국학진흥원. 35-79, 2011

      114 김정, "『충암집』. 김종섭 譯 『국역 충암집』", 충암 문간공 宗中. 대전 : 향토문화사, 1998

      115 고은순, "「桐溪鄭蘊의 歷史認識과 詩世界硏究」",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5

      116 전송열, "「沖庵金淨의 詩觀과 詩의 唐風的特質」", 『연세어문학』 30-31.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81-308, 1999

      117 서범종, "「조선시대 사가독서제의 교육적 성격」", 『한국교육학연구』 9(2). 안암교육학회. 5-30, 2003

      118 신숙옥, "「冲庵金淨의 至治를 위한 노력과 挫折」",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119 이해준, "「규암 송인수의 사후 평가와 추숭활동」", 『유학연구』16. 충남 대학교 유학연구소. 111-139, 2007

      120 김문준, "「우암 송시열의 학맥 학풍과 화양서원」", 『충북학』4. 충북발 전연구원. 67-82, 2002

      121 신병주, "「정조의 규장각 설치와 초계문신 제도」", 『지방행정』61(702). 대한지방행정공제회. 71-72, 2012

      122 박종배, "「조선 전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한국국학진흥원 국학 연구실 편저.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경북: 한국국학진흥원. 279-352, 2006

      123 황금중, "「조선 중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한국국학진흥원 국학 연구실 편저.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경북: 한국국학진흥원. 353-452, 2006

      124 박종배, "「조선시대의 학령(學令) 및 학규(學規)」", 『한국교육사학』 28(2). 한국교육사학회. 213-237, 2006

      125 이미진, "「朝鮮中期雜體詩의 창작배경에 대하여」", 『대동한문학』39. 대동한문학회. 247-283, 2013

      126 정낙찬, "「조선 초기 관학파의 교육사상 및 정책」", 한국국학진흥원 국학 연구실 편저.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경북: 한국국학진흥원. 215-278, 2006

      127 장재천, "「조선시대 서원의 사회 교화 방법 고찰」", 『敎育學硏究』40(2). 한국교육학회. 1-16, 2002

      128 강동호, 양진건, "「면암 최익현 제주학통(濟州學統) 연구」.", 『탐라문화』 48.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13-142, 2015

      129 김재형, "「조선시대 제주유배인 실태분석과 특징」",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30 한기범, "「충암의 정치개혁운동과 후대인의 평가」", 『충청문화연구』19.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5-43, 2017

      131 정낙찬, "「송시열의 교육방법론」. 교육철학 43", 한국교육철학회. 247-286, 2011

      132 안동교, "「규암 송인수의 학문과 의리정신의 구현」", 『유학연구』45. 충 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28, 2018

      133 김성태, "「우암 송시열의 저술활동과 교육적 의의」", 제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134 이종태, "「전기 사림파‧도학적 실천 정신의 착근」", 한국사상사연구회 편 저.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60~61.), 1996

      135 황만기, "「청음 김상헌 시문학에 나타난 의리정신」", 성균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0

      136 남명진, "「충암 김정 사상의 도 불 유 회통적 특성」", 『충청문화연구』 21.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39-67, 2018

      137 황금중, "「한국교육사 철학 연구의 관점과 방법론」", 『교육학 연구의 논 리』. 서울: 학지사, 2006

      138 정영식, "「桐溪鄭蘊의 文學世界-直道를 중심으로 」", 안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39 정순목, "「韓國性理學의 人間觀과 現代敎育的意味」", 『韓國敎育思想硏 究』. 서울: 集文堂. 13-41, 1983

      140 김용헌, "「格物致知, 사물의 이치를 따져 보는 공부」",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350-373, 2002

      141 양진건, "「桐溪鄭蘊書院配享의 제주교육사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24(2).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29-147, 2010

      142 윤희면, "「담양 義巖書院의 설립, 사액 그리고 철폐」", 『역사학연구』57. 호남사학회. 103-134, 2015

      143 정재걸, "「조선시대 서원과 서당의 교육이념과 실제」", 한국국학진흥원 국 학연구실 편저.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경북: 한국국학진흥 원. 453-534, 2006

      144 우경섭, "「月汀學派의 형성과정 및 학풍에 관한 試論」", 『漢文學論集』 36. 근역한문학회. 9-30, 2013

      145 문종하, "「신유학의 생생(生生)의 인(仁)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44.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335-357, 2018

      146 김석익, "『耽羅紀年』. 홍기표 외 譯 『譯註耽羅紀年』", 제주문화원, 2015

      147 송인수, "『규암집』. 백규상 譯 『역주 규암선생문집』", 제주교육박물관, 2014

      148 홍원식,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한국학논집』45. 계 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7-24, 2011

      149 이종록, "「桐溪鄭蘊의 제주도 유배생활과 학문적 성숙」", 『해안 도서지 역 고문헌을 통해 본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사회 경제 문화적 양상』. 공동 학술대회 자료집(2014.11.14.). 139-163, 2014

      150 조명주, "「雪窖酬唱集을 통해 본 淸陰金尙憲의 詩硏究」", 부산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98

      151 조상식, "「교육사상(敎育思想) 연구방법으로서 해석학」", 『교육사상연 구』28(1).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97-317, 2014

      152 송희경, "「김상헌의 節義意識과 人文精神에 關한 硏究」", 공주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6

      153 차장섭, "『조선후기 서원의 위상-도산서원을 중심으로』", 서울: 새물결 출판사, 2015

      154 김성태, 양진건, "「우암 송시열의 유배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석당 논총』59.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353-380, 2014

      155 정순우, "「조선시대 제향 공간의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사회와 역 사』53. 한국사회사학회. 39-60, 1998

      156 채휘균, "「南冥敬義思想의 敎育的意味」. 敎育哲學 14", 한국교육철학회. 255-271, 1996

      157 정성식, "「17세기 초 김상헌과 최명길의 양면적 역사인식」", 『東洋古典硏 究』45. 동양고전학회. 277-306, 2011

      158 김갑기, "「沖庵金淨의 文學思想- 「十一箴」을 中心으로-」", 『儒學硏 究』13.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03-128, 2006

      159 추나진,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실천적 학문정신 고찰」", 『한국학연 구』54.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77-400, 2019

      160 박도균, "「우암 송시열의 문학에 나타난 춘추대의의 형상」",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61 김대식, "「조선 書院훼철 논의의 전개-인조부터 정조까지」", 『교육사학 연구』24(1). 교육사학회. 1-30, 2014

      162 안은수, "「尤庵心性論의 특징과 의의-未發論을 중심으로-」.", 『동서철학 연구』48. 한국동서철학회, 2008

      163 부영근, "「桐溪鄭蘊의 濟州流配詩考察」. 동아인문학 10", 동아인문학회. 46-67, 2006

      164 김덕수, "「제주 유배객 충암(冲庵)의 교유와 감춰진 이름들」", 『인문논 총』76(1).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45-182, 2019

      165 전지선, "「조선전기 冲庵金淨의 제주사회 인식과 교화활동」",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6 박종배, "「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 『한국학논 총』33.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3-73, 2010

      167 이규복,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운영과 급제자 실태 분석」",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68 이봉규, "「조선 성리학의 관점에서 본 송시열의 성리학 사상」", 『한국문 화』1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433-479, 1992

      169 지두환, "「청음 김상헌의 생애와 사상-춘추대의를 중심으로-」", 『한국학 논총』2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65-94, 2001

      170 김창욱, "「16세기 조선 성리학의 성격 변화와 서원의 교학이념」", 『교육 사상연구』9.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27, 2000

      171 노병성, "「주자의 독서관에 관한 고찰」. 韓國出版學硏究 51", 한국출판학 회. 131-172, 2006

      172 한명기, "「桐溪鄭蘊(1569∼1641)의 정치적 행적과 그 역사적 의의」", 『남명학연구』9. 남명학회. 469-503, 2001

      173 김종진, "「충암 김정의 문학세계: 16세기 사림파 문학의 일 단면」", 성균 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174 박세한, "「金尙憲과 崔鳴吉의 哲學思想과 歷史意識에 關한 硏究」",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175 이래용, "「조선시대 배움과 가르침 방법으로서의 토론활동 고찰」", 『교육 철학연구』41(4). 한국교육철학학회. 229-252, 2019

      176 이미종, "「조선시대 중종-선조대 문묘종사논의의 교육학적 해석」", 『도 덕교육연구』22(2). 한국도덕교육학회. 161-191, 2001

      177 이봉규, "「함양론(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퇴 계학보』, 128, 퇴계학연구원, 89-128, 2010

      178 양진건, "「秋史金正喜의 齊州流配敎學活動硏究」. 『濟州島硏究』9", 제주학회. 181-216, 1992

      179 이상필, "「한강 정구의 학문성향과 문학」. 남명학연구원총서 5", 남명학연 구원. 301-328, 2011

      180 김현수, "「宋時烈의 禮學思想考察-時宜的, 義理的思考를 中心으로」", 『동서철학연구』48. 한국동서철학회. 75-95, 2008

      181 유호진, "「沖庵詩의 道學的局面: 沖庵의 經世的道學詩를 중심으로」", 『韓國漢文學硏究』17. 한국한문학회. 41-65, 1994

      182 김성태, "「송시열의 제주유배 한시의 교육적 의미」. 『제주학연구」", 44. 제주학회. 1-28, 2015

      183 정온, ". 『동계집』. 민족문화추진회 譯 『국역 동계 정온 문집1〜4』", 경 기: 한국학술정보, 2006

      184 송시열, "『송자대전』. 민족문화추진위원회 譯 『국역 송자대전1〜17』", 1980

      185 김문준, "「우암 송시열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춘추의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186 강동호, 양진건,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과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철학연구』42(3). 한국교육철학학회. 1-32, 2020

      187 황의동, "「충암김정(沖庵金淨)의 도학정신(道學精神)과 경세론(經世論)」", 『儒學硏究』13.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42-58, 2006

      188 이선열, "『17세기 조선 마음의 철학 – 송시열 학단의 마음에 관한 연 구』", 경기: 글항아리, 2015

      189 서한석, "「月汀尹根壽의 散文에 關한 硏究: 擬古文風의 導入과 關聯하 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90 양진건, "「제주유배인의 독서활동이 제주 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 구」.", 『한국교육사학』25(1). 한국교육사학회. 81-104, 2003

      191 김경호, "「16세기 조선 지시인 사회의 『심경』수용과 철학적 담론의 형 성」", 『동약철학』19. 한국동양철학회. 55-82, 2003

      192 성광동, "「동계 정온의 성리학적 삶과 사유 - 제주도 유배시기를 중심으 로」", 『한국철학논집』65. 한국철학사연구회. 29-58, 2020

      193 강동호, 양진건, "「동계 정온의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학문태도와 선비 정신 고찰」.", 『교육사학연구』26(1). 교육사학회. 1-33, 2016

      194 우응순, "「月汀尹根壽와 明人陸光祖의 朱陸論爭- 『朱陸論難』을 중심 으로」", 『대동문화연구』3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9-232, 2000

      195 김유리, "「충암(沖庵) 김정(金淨)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의 교육적 의미」", 『탐라문화』40.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25-249, 2012

      196 尹泰厚, "「『계녀서(戒女書)』에 나타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효 사상」.", 『효학연구』25. 한국효학회. 57-86, 2017

      197 왕화영, "「유학의 예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17세기 송시열 예학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61. 한국철학사연구회. 9-32, 2019

      198 김상조, "「충암 김정의 「제주풍토록」과 규창 이건의 「제주풍토기」비 교 연구」", 『대동한문학』13. 대동한문학회. 265-287, 2000

      199 김기림, "「청음 김상헌의 시에 나타난 심양 체험과 그 인식 : 『설교집』 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37. 이화어문학회. 5-25, 2015

      200 오항녕, "「역사를 읽는다: 경험과 성찰」. 한국사상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394-414, 2011

      201 강동호, 양진건, "「『남사록(南槎錄)』에 나타난 청음 김상헌의 교육적 태 도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52.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 원. 257-290, 2016

      202 정시열, "「조선조 제주도 유배 문학의 위상 - 孤立無援의 絶域에서 구현 한 儒家之敎의 表象-」", 『한국고전연구』24. 한국고전연구학회. 259-291, 2011

      203 서명석, "「수양 치료의 관점으로 본 퇴계 심학 : 교육의 결락지를 찾아서」. 교육사상연구 30(1)",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01-117, 2016

      204 송병훈, "「우암 송시열의 『계녀서』에 나타난 효 사상에 관한 연구 : 『성경』의 효와 비교를 중심으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05 정시열, "「桐溪鄭蘊의 詩에 나타난 선비정신 -유배 및 좌천기의 시를 중 심으로」. 韓國思想과 文化 41", 한국사상문화학회. 95-128, 2008

      206 정시열, "「桐溪鄭蘊의 論三篇試探= 『張良不諫易太子論』, 『太公扶伯夷 論』, 『箕子受封朝鮮論』을 대상으로」", 『어문학』116. 한국어문학회. 211-235, 2012

      207 정일균, "「조선시대 거창지역(안음현)의 학통과 사상- 갈천 임훈과 동계 정온의 학문론을 중심으로」. 동방학문학 22", 동방학문학회. 261-299, 2002

      208 김학수,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 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 (濟州學風)’ : 주자학적 예교론(禮敎論)과 사림파 학풍의 유입을 중심으 로」", 『한국학』43(3). 한국학중앙연구원. 7-63,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