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國 繪畫 관련 文獻 번역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n Translation of Special Classics Translation of Chinese Texts on Pa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3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extant paintings, written texts on Chinese painting which began to appear during the 5th century B.C. are in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history. Early texts and literary records help researchers understand the c...

      Along with the extant paintings, written texts on Chinese painting which began to appear during the 5th century B.C. are in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history. Early texts and literary records help researchers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the paintings were produced and various aspects of painting such as the history of painting, painting theory, technique, biography of painters, collecting, mounting and connoisseurship of paintings.
      This article introduces major early texts on painting produced from the Tang to the Qing dynasty and comments on their significance, which are frequently cited and referred to in academic writings. Although these texts are widely used in scholarly research and translated into various languages, Korean translated versions are still small in number.
      Some published Korean translations reveal lack of art historical knowledge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original texts thus mislead the readers who are not able to access Chinese sources. Moreover, texts on painting often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history, literature, religion, geography, custom, and so forth which make the task of translating is infinitely difficult, almost impossible to be accomplished by one individual translator.
      In order to reduced the mistake in translation,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translation method is strongly suggested, which begins with critical evaluation about the Chinese editions of the text. Collaborative translation among participants from different fields of study concerned with the textual content, could sharpened the accuracy of readings and vastly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through mutual discussions. The outcome of the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cess would be the fully annotated translation with critical commentaries which could render better service to the related academic circ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은 현존하는 작품이지만 관련된 문헌자료 역시 미술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다. 중국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회화전통을 바탕으로 회화창작...

      미술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은 현존하는 작품이지만 관련된 문헌자료 역시 미술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다. 중국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회화전통을 바탕으로 회화창작의 융성과 함께 회화이론도 발전하면서 문헌 기록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금까지 중국회화 관련 문헌은 1,542 여명의 저자, 편자 등에 의해 저술, 편집된 23,750 여종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자료들은 우리나라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회화 관련 문헌에도 자주 인용되어 한국회화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중국회화에 관한 문헌의 종류와 한글 번역의 현황을 소개하여 이 분야의 문헌에 대한 여러 학계의 관심을 제고하고 회화 관련 문헌을 한글로 번역하는 필요성과 번역의 문제점을 짚어봄으로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미술사 관련 문헌의 바람직한 번역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미술사 연구의 특성상 문헌자료는 현존하는 작품과 직접, 간접적으로 연관될 때 그 중요성과 번역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며 작품은 물론 작품 제작의 다양한 배경을 이해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그러나 모든 연구자들이 원전을 읽고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이러한 문헌을 정확하게 번역하는 데에는 높은 수준의 한문 해독 능력뿐 아니라 각 시기의 정치, 사회, 경제, 사상, 문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지식이 요구된다. 또한 회화 관련 문헌에 포함된 儀禮, 典章制度, 工藝, 技術, 天文, 地理, 醫學, 農業, 服飾, 音樂, 建築, 動植物, 宗敎, 神話와 傳說 등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은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각 분야의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지만 한 개인 연구자가 이들을 모두 번역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철저한 문헌고증을 토대로 완전한 주석을 곁들인 학술 번역으로 학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이 校勘을 통해 원문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관련 문헌을 두루 섭렵하여 典故와 出典을 밝히고 정확한 해설과 역자의 견해를 첨부한 역주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동번역이 가장 바람직하다.
      작품에 대한 면밀한 연구와 함께 문헌에 대한 완전한 이해 및 신중하고 정확한 번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헌자료에 대한 고찰은 향후 중국회화사 연구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회화 관련 문헌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더불어 다양한 독자를 위한 번역의 필요성과 학제간 공동번역을 통한 올바른 번역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정화, "한문고전의 번역 방식에 대한 일고 - 공동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학회 6 : 237-266, 2015

      2 장유승, "학술번역이란 무엇인가" 한국고전번역학회 3 : 165-190, 2012

      3 문진형, "장물지" 學古房 2017

      4 장언원, "역대명화기" 시공사 2008

      5 월간미술사, "번역, 오역과 창작의 유혹" 월간미술사 (418) : 94-115, 2019

      6 박은화,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55-92, 2008

      7 신영주, "곽희의 임천고치" 문자향 2003

      8 郭若虛, "곽약허의 도화견문지" 시공사 2005

      9 秦弘燮, "韓國美術史資料集成(I)" 一志社 1987

      10 大和文華館, "開館35周年記念特別展 對幅" 大和文華館 1995

      1 서정화, "한문고전의 번역 방식에 대한 일고 - 공동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학회 6 : 237-266, 2015

      2 장유승, "학술번역이란 무엇인가" 한국고전번역학회 3 : 165-190, 2012

      3 문진형, "장물지" 學古房 2017

      4 장언원, "역대명화기" 시공사 2008

      5 월간미술사, "번역, 오역과 창작의 유혹" 월간미술사 (418) : 94-115, 2019

      6 박은화,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55-92, 2008

      7 신영주, "곽희의 임천고치" 문자향 2003

      8 郭若虛, "곽약허의 도화견문지" 시공사 2005

      9 秦弘燮, "韓國美術史資料集成(I)" 一志社 1987

      10 大和文華館, "開館35周年記念特別展 對幅" 大和文華館 1995

      11 楊家駱, "藝術叢編" 世界書局 1977

      12 동기창, "董其昌의 화론 畫眼" 시공사 2003

      13 黃賓虹, "美術叢書" 藝文印書館 1975

      14 于安瀾, "畫史叢書" 文史哲出版社 1974

      15 穆益勤, "明代院体 浙派史料" 人民美術出版社 1985

      16 박은화, "文震亨의 長物志 중 ‘懸畵月令’과 明代 末期의 繪畵鑑賞"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9) : 229-250, 2017

      17 楊臣彬, "文物" 文物出版社 72-87,

      18 黃永泰, "小時代的日常 : 一個十七世紀的生活提案" 國立故宮博物院 2019

      19 박은화, "中國繪畵의 四時 畵題"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3) : 217-248, 2019

      20 中國古代書畫鑑定組, "中國繪畵全集 2" 文物出版社 1999

      21 兪劍華編, "中國畵論類編" 華正書局 1977

      22 謝巍, "中國畵學著作考錄" 上海書畫出版社 1998

      23 박은화, "『宣和畵譜』의 山水門에 나타난 北宋末의 山水畵觀" 중국사학회 (71) : 45-6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