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복지서비스경영학과 우 영 숙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10722
화성 :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 복지서비스경영 사회복지학 , 2024. 2
2024
한국어
경기도
145 ; 26 cm
지도교수: 김익균
I804:41052-20000072867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복지서비스경영학과 우 영 숙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복지서비스경영학과 우 영 숙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의 삶 의 질과 행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실증연구이다. 우리나라는 2025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예상되어 초고 령사회에 진입을 앞두고 있다(통계청, 2023).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 가는 정부의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의 추구를 위한 노후보장을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노인복지정책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지역 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 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노인에 대 한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영향을 주기 위한 매 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실증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과 분석방법으로 경기도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287부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목적 에 부합하도록 SPSS 26.0 Package를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함께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 석(Multiple Regression)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세부요인인 직원 요인 과 시설환경 요인, 프로그램 요인 모두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구체적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도구적), 평가적 지지 모두에게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삶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 은 삶에 대한 질의 향상과 행복감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 에서 부분채택 되었다. 이것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삶 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노인복지관의 직원 요인과 시설, 환 경요인. 프로그램 요인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평 가적 지지의 정서적인 안정감과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등이 매우 중 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와 노인의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의 가설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요소인 평가적 지지의 요소에서 부분채택 되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노인들 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평 가적 지지에서 정서적인 안정감, 정보제공과 지식, 경험의 공유, 경 제적 지지와 상대방으로부터의 인정 등의 필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즉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자신의 행위를 받아 들여주고 스스로 평가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인 정받고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노인들이 훨씬 더 삶의 질이 향상되고 행복을 누리게 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여서 노인 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여서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 을 높이는 방향으로 노인복지관 인적요인과 시설 및 환경, 프로그램 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노인복지관 운영을 노인의 삶과 행복에 기준하여 직원 관리, 시설 및 환경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즉 노인들이 원하는 삶의 질을 철저히 파악 분석하여 맞춤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노인복지관 운영 및 관 리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 구축과 개발 및 강화가 요구된다. 특히, 노인복지 관 운영의 목표를 이용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의 추구에 두어야 하며 각종 정보와 지식, 경험의 제공, 경제적 지지, 노인들 자신의 인정욕 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지관의 운영 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사회적 지지 기반시스템의 구축과 적절한 물질적인 사회적 지 지의 지속적인 제공, 노인을 인정하는 취지의 각종 노인의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 다. 넷째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요인 에서 노인들이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는 자기평가 즉 인정과 긍 정적 평가 등이 이루어지도록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개편하여야 할 것이다. 손용진(2004)은 사회적 지지가 미비한 것이 노인들에게 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라고 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향후 노인복지관 운영프로그램을 이용노인의 인정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프로그램의 다양성 의 추구, 프로그램 만족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노인들의 삶의 질 제고와 행복감의 추구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도입과 실천 등이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 삶의 질, 행복감, 사회적 지지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