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개량형탄화로를 이용한 제탄과정 중 탄화로 내,외벽 온도변화 및 목탄 특성 = Charcoal Properties and Temperature Change of a Kiln`s Inner and Outer Walls in Carbonization Process Using an Improved Kil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38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량형 탄화로를 이용하여 제탄과정 중 탄화로 내 · 외벽체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제탄된 목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탄화로의 탄화과정은 8일정도 소요되었다. 탄재탄화�...

      본 연구는 개량형 탄화로를 이용하여 제탄과정 중 탄화로 내 · 외벽체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제탄된 목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탄화로의 탄화과정은 8일정도 소요되었다. 탄재탄화시 탄화로 내부온도는 720℃ 정도였고. 정련단계에 이르기까지 탄화로 내부온도는 점점 증가하여 정련단계에서는 l. 000℃ 이상의 고온에 달하였다. 연통부는 착화시 90℃였고. 서서히 증가되어 정련단계에서는750℃까지 상승하였다. 이 때 탄화로 벽체의 온도변화는 제탄과정 중의 탄화로 내부의 온도변화 경과곡선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제탄과정에서 나타난 탄화로 벽체의 최고 온도는 500℃ 정도였다. 적외선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체탄전 탄화로의 내 · 외벽체의 온도분포를 측정한 결과, 출탄 후 시간이 다소 경과되어도 상당한 양의 잠열이 탄화로 벽체와 천장에서 감지 되었다. 출탄된 목탄의 고정탄소은 85.9∼89,9% 였다, 점련도는 1, 경도는 12, 발열량은 7.047~7.456 kcal/kg. pH는 9.0∼9.9였다. 목탄의 수탄율은 13.8% 정도로 가존의 탄화로에 얻어진 수탄을 9.8∼12.3%에 비해 1.5% 정도 향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rcoal and temperature change of a kiln`s inner and outer walls in carbonization process using improved kiln. In this kiln system, carbonization process was completed in eight days In the...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rcoal and temperature change of a kiln`s inner and outer walls in carbonization process using improved kiln. In this kiln system, carbonization process was completed in eight days In the kiln, the ignition temperature was kept about 720°C And then the temperature were increased gradually prior to be refined. Finally, the temperature in refining process was reached to maximum point, 1,000°C In the chimney,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90°C at ignition to 750°C at refin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kiln wall resembles a temperature change progress curve during a carbonization process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kiln wall that appeared hy a carbonization process was around 500°C As a result of having measured an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kiln using an infrared thermography camera, it was judged with there being considerable latent heat on kiln wall and ceiling. Fixed carbon contented of charcoal was 85.9~89.9%. Refining degree of charcoal, hardness, calorific value and pH were I, 12, 7,047- 7,456 kcal/kg, 9.0~9.9, respectively. The yield of wood charcoal was 138% and compared to conventional kiln`s yield increased 1.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구, "폐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폐열 회수 열교환기에 관한 연구" 한국에너지공학회 14 (14): 248-258, 2005

      2 조태수, "탄화온도가 목탄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35 (35): 53-60, 2007

      3 김남훈, "제조 온도에 따른 굴참나무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4 (34): 1-8, 2006

      4 황원중, "전통식 탄화로에서 제탄된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21 (21): 49-55, 2002

      5 조 태 수, "신갈나무 목탄의 카드뮴(Cd)이온 흡착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6 (36): 93-100, 2008

      6 권구중, "숙련공에 의한 목탄제조과정 중 전통식 탄화로 내의 온도변화(I)" 27 (27): 30-35, 2008

      7 김병로, "미이용 목질폐잔재의 탄화 이용 개발(I) - 수종의 간벌재 탄화와 탄화물의 특성" 27 (27): 70-77, 1999

      8 국립산림과학원, "목탄의 규격과 품질. 국립산림과 학원 고시 제2007-8호"

      9 조남석, "목질계 폐바이오메스의 발효열이용 열교환기의 개발" 한국목재공학회 37 (37): 94-104, 2009

      10 권성민, "목재의 탄화기구 해석(Ⅱ)" 한국목재공학회 35 (35): 45-52, 2007

      1 이충구, "폐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폐열 회수 열교환기에 관한 연구" 한국에너지공학회 14 (14): 248-258, 2005

      2 조태수, "탄화온도가 목탄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35 (35): 53-60, 2007

      3 김남훈, "제조 온도에 따른 굴참나무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4 (34): 1-8, 2006

      4 황원중, "전통식 탄화로에서 제탄된 목탄의 해부학적 특성" 21 (21): 49-55, 2002

      5 조 태 수, "신갈나무 목탄의 카드뮴(Cd)이온 흡착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6 (36): 93-100, 2008

      6 권구중, "숙련공에 의한 목탄제조과정 중 전통식 탄화로 내의 온도변화(I)" 27 (27): 30-35, 2008

      7 김병로, "미이용 목질폐잔재의 탄화 이용 개발(I) - 수종의 간벌재 탄화와 탄화물의 특성" 27 (27): 70-77, 1999

      8 국립산림과학원, "목탄의 규격과 품질. 국립산림과 학원 고시 제2007-8호"

      9 조남석, "목질계 폐바이오메스의 발효열이용 열교환기의 개발" 한국목재공학회 37 (37): 94-104, 2009

      10 권성민, "목재의 탄화기구 해석(Ⅱ)" 한국목재공학회 35 (35): 45-52, 2007

      11 김병로, "국내 시판목탄의 흡착 특성 (I)" 한국목재공학회 38 (38): 27-35, 2010

      12 岸本定吉, "木炭と木酢液の新用途開發硏究成果集. -炭化技術" 木材炭化成分多用途利用技術硏究組合 9-26, 1990

      13 Brunner, P. H, "The significance of heating rate on char yield and char properties in the pyrolysis of cellulose" 18 : 217-224,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0.45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