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주 삼현육각의 전승 양상과 특징 = Transmission patterns and features of Naju samhyeon-yugga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ra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Naju samhyeon-yuggag based on the sound source data obtain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focusing on those who can testify about the tradition patterns of Naju samhyeon-yuggag. Naju samhyeo...

      This paper examines the tra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Naju samhyeon-yuggag based on the sound source data obtain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focusing on those who can testify about the tradition patterns of Naju samhyeon-yuggag.
      Naju samhyeon-yuggag started from Park Pan-seok, a member of Naju’s coalition of shamans and 1st Piri runner. His musical were handed to Naju’s Lim Sam-bong and his son Lim Dong-sun. Naju samhyeon-yuggag, owned by LIm Dong-sun, was designated as the Jeon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3 in 1986, and Lim Dong-sun was recognized as the holder. Later, Kim Ki-jong, the founder of the Naju City Samhyeon-yuggag Concert Group, restored three of Naju samhyeon-yuggag’s music pieces, but among them, <Bornyeongsan> was found to be incomplete.
      Lim Dong-seon left Naju samhyeon-yuggag’s Piri melody as a sound source when he could not play an instrument in his old age. Among the Naju samhyeon-yuggag sound sources left by Lim Dong-sun, the following results were examined.
      Samhyeon-yuggag is derived from Seoul, Gyeonggi area, but the number of movements is the same as that of Honam samhyeon-yuggag passed down in Jeonju and Goheung area. Can b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ju samhyeon-yuggag are as follows. First, it is used in the form of cyclic repetition of the melody and A-B-Aˊ. Secondly, It is the point that there are three scale configurations, namely, <Bornyeongsan>․<Gusgeoli> scale (sol­la­doˊ­reˊ­faˊ), <Junglyeongsan>․<Jan-yeongsan>․<Yeombul>․<Talyeong> scale (sol­la­doˊ­reˊ­miˊ), <Heoteuntalyeong> scale (mi­sol­la­doˊ­reˊ). Third, it is the progress of the various melodies that appear in the fast-paced music <Talyeong> and <Heoteuntalyeong>. <Talyeong> is a convex melody, a taegeuk melody, and a water melody. He uses various rhythmic forms of Earthy, and Heoteuntalyeong is a Daegu melodic type that brings the melody to life.
      The sound source data used in this paper is not repor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restoration of Naju samhyeon-yugga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나주 삼현육각 전승자 및 전승에 관하여 증언이 가능한 이들을 중심으로 인터뷰 한 내용과 조사를 통하여 확보한 음원자료를 토대로 나주 삼현육각의 전승 양상과 특징을 고찰한 것...

      본고는 나주 삼현육각 전승자 및 전승에 관하여 증언이 가능한 이들을 중심으로 인터뷰 한 내용과 조사를 통하여 확보한 음원자료를 토대로 나주 삼현육각의 전승 양상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주 삼현육각은 나주 신청소속의 대방이자 목피리 주자 박판석으로부터 시작되며, 그의 피리가락은 나주출신의 악사 임삼봉과 그의 아들 임동선에게 전해졌다. 임동선이 보유한 나주 삼현육각은 1986년 전남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고 임동선은 보유자로 인정받았지만, 이듬해 노환으로 별세하면서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며 전승은 끊어졌다. 이후 전승자 김기종은 나주시립삼현육각연주단을 창립하며 나주 삼현육각 중 3곡을 복원했지만 그 중 <본령산>은 임동선의 가락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임동선은 노년에 악기를 부를 수 없게 되자 나주 삼현육각의 피리가락 구음을 음원으로 남겨두었다. 임동선이 남긴 나주 삼현육각 음원 중 <본령산>․<중영산>․<잔영산>․<염불>․<타령>․<군악>․<굿거리> 등을 고찰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주 삼현육각은 서울․경기 삼현육각에서 유래하였으나 악장의 수가 전주․고흥지역에서 전승하는 호남 삼현육각의 구성과 같은 점과 장단의 박이 유동적이며 변형 된 것으로 보아 호남에서 행하는 의식에 맞도록 재배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주 삼현육각의 음악적 특징은 첫째, 선율을 반복하는 환두환입형식과 A-B-Aˊ형식으로 구사한 점이며, 둘째 <본령산>․<굿거리> 음계(e♭­f­a♭­b♭­d♭ˊ), <중령산>․<잔영산>․<염불>․<타령> 음계(e♭­f­a♭­b♭­cˊ), <군악> 음계(c­e♭­f­a♭­b♭)의 세 가지 음계 구성이 나타나는 점이다. 그 중 <굿거리> 구성음 중 최고음을 반음 올려서 연주하는 것은 호남 삼현육각의 특징이라 하겠다. 셋째 속도가 빠른 악곡인 <타령>과 <군악>에서 나타나는 다채로운 선율 진행이다. <타령>은 ‘볼록선율형’, ‘태극선율형’, ‘물결선율형’ 등으로 선율선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소박의 리듬형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군악>은 ‘댓구 선율형’으로 선율에 생동감을 불어 넣는 특징을 갖는다.
      본고에 활용된 음원 자료는 학계에 보고되지 않는 자료로 나주 삼현육각의 연구와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起慫, "羅州 三絃六角에 關한 硏究 : 본령산·군악·굿거리의 대금 선율을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6

      2 임수정, "호남검무의 공연양식 비교" 우리춤연구소 8 (8): 9-42, 2012

      3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음향자료선집(22) “1960년대, 고창의 소리를 녹음하다” CD 해설집"

      4 권도희, "풍류방의 명인들(3) CD 해설집"

      5 성금연,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 민속원 2000

      6 무라야마 지쥰, "조선의 무격" 민속원 2014

      7 이창선, "전주 민삼현육각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8 전라남도 전남대호남문화연구소,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태학사 2002

      9 이보형,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4)" 삼현육각 1984

      10 이진원, "대금산조" 민속원 2008

      1 金起慫, "羅州 三絃六角에 關한 硏究 : 본령산·군악·굿거리의 대금 선율을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6

      2 임수정, "호남검무의 공연양식 비교" 우리춤연구소 8 (8): 9-42, 2012

      3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음향자료선집(22) “1960년대, 고창의 소리를 녹음하다” CD 해설집"

      4 권도희, "풍류방의 명인들(3) CD 해설집"

      5 성금연,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 민속원 2000

      6 무라야마 지쥰, "조선의 무격" 민속원 2014

      7 이창선, "전주 민삼현육각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8 전라남도 전남대호남문화연구소,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태학사 2002

      9 이보형,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4)" 삼현육각 1984

      10 이진원, "대금산조" 민속원 2008

      11 정홍수, "나주삼현육각조사보고서, 86도지정문화재조사보고서" 전라남도 18-, 1986

      12 나주군, "나주군지"

      13 송지윤, "경기 삼현육각과 나주 삼현육각 비교연구 : 대영산과 본령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보형, "鄕제 三絃六角小考" 국립문화재연구소 (15) : 31-39,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8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