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산회상 상영산 4장 후반3각 선율형성 고찰 = Study on Formation of Melodies of Yeongsanhoesang Sangyeongsan Later Three Ga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how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measures) of Yeongsanghoesang Sangyeongsan was formulated.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newly understand how the melody of the later three gaks - that has be...

      For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how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measures) of Yeongsanghoesang Sangyeongsan was formulated.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newly understand how the melody of the later three gaks - that has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after the era of 『Eoeunbo』- was formed in relation to Jungyeongsan and to comprehend its nature. The contents reviewed and investigated by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of Sangyeongsan first appeared in 『Eoeunbo』. After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wo methods for playing Yeongsanghoesang in the era of 『Eoeunbo』. One was to repeatedly play Sangyeongsan and the other was to play Sangyeongsan and Jungyeongsan successively. There was a difference in melodies for the later three gaks while playing Yeongsanghoesang separately and for playing ‘Yeongsanghoesang’ and ‘Yeongsanghoesanggaptan’ successively. Let’s divide the melodies into A1 and A2 for convenience. A1 was a melody with the function of ‘doljang’ linked in order to give a feeling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elody while repeatedly playing Sangyeongsan on the basis of Juiboksi. In comparison, A2 was a melody with the function of ‘doljang’ needed in order to connect Sangyeongsan and then Jungyeongsan. Such a difference did exist. Melodies A1 and A2 separately existed due to differences in performance practices in the era of 『Eoeunbo』. A2 was discontinued and A1 was changed for 『Yuyeji』 and became established as the present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영산회상 상영산 후반3각(4장 4~6각) 선율의 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은보』 이후 현행에 이르는 후반3각 선율의 형성 과정을 중영산과 관련하여 새롭게 조망하...

      본고에서는 영산회상 상영산 후반3각(4장 4~6각) 선율의 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은보』 이후 현행에 이르는 후반3각 선율의 형성 과정을 중영산과 관련하여 새롭게 조망하고, 그 성격을 밝혔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영산 후반3각 선율은 『어은보』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후반3각 선율의 속성을 분석한 결과, 『어은보』 시절 영산회상 연주법에는 두 가지가 존재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 하나는 상영산을 계속 반복 연주하는 것, 다른 하나는 상영산과 중영산 두 곡을 접속 연주하는 것이었다. 영산회상(현 상영산) 만을 따로 반복해서 연주할 때와 ‘영산회상’과 ‘영산회상갑탄(현 중영산)’을 연이어 연주할 때의 연주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어은보』 4장 후반에 있는 선율을 주이복시를 기준으로 앞 부분을 A1, 뒷 부분을 A2로 구분하여 보면, A1은 주이복시 방법으로 상영산을 반복해서 연주할 때에 맨 처음의 선율과 다른 변화를 주기 위해 연결되는 돌장 기능이 있는 선율이었고, A2는 상영산 다음에 중영산을 연결할 때 필요한 돌장의 기능이 있는 선율이었다. 이처럼 A1과 A2의 선율은 『어은보』 당시 영산회상의 연주관행 차이로 인해 각각 별개로 존재한 것인데, A2는 단절되어 전하지 않고 A1은 『유예지』에서 새로운 선율로 대체되어 현행 후반3각 선율로 정착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구, "현존 거문고 연대고" 국립국악원 (창간) : 1989

      2 임병옥, "현악 영산회상 중 <상령산> 분장(分章)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국립국악원 (28) : 143-173, 2013

      3 남상숙, "향제줄풍류" 민속원 2006

      4 "한금신보"

      5 이혜구,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6 임미선, "조선후기 공연문화와 음악" 민속원 2012

      7 "이수삼산재본금보"

      8 "유예지"

      9 "어은보"

      10 오용록,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 논문집간행위원회 2000

      1 이혜구, "현존 거문고 연대고" 국립국악원 (창간) : 1989

      2 임병옥, "현악 영산회상 중 <상령산> 분장(分章)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국립국악원 (28) : 143-173, 2013

      3 남상숙, "향제줄풍류" 민속원 2006

      4 "한금신보"

      5 이혜구,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6 임미선, "조선후기 공연문화와 음악" 민속원 2012

      7 "이수삼산재본금보"

      8 "유예지"

      9 "어은보"

      10 오용록,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 논문집간행위원회 2000

      11 "삼죽금보"

      12 "대악후보"

      13 "금학절요"

      14 임미선, "계면조 선법의 변화와 탈계면조화-정악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62 : 163-184, 2017

      15 홍선례, "『어은보』의 영산회상갑탄" 한국국악학회 10 : 1980

      16 송방송, "『韓琴新譜』의 靈山會上․還入․除指에 대한 비교 고찰" 한국음악학회 6 : 1988

      17 임병옥, "『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과 『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립국악원 (25) : 219-25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8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