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GCS(Ground Control Station) 인터페이스 설계에서 디자이너들이 겪는 맥락 이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GCS(Ground Control Station) 인터페이스 설계에서 디자이너들이 겪는 맥락 이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
본 연구는 GCS(Ground Control Station) 인터페이스 설계에서 디자이너들이 겪는 맥락 이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메인 특화 GPTs를 개발하여, 디자이너들이 방대한 기술 문서와 가이드라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평가 결과, 도메인 지식이 강화된 모델들(GPT-D1, D2, D3)이 기본 ChatGPT 모델보다 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전문가와 초심자 간에 AI 도구에 대한 기대와 활용 방식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는데, 전문가는 실무 프로세스 반영과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을 중시한 반면, 초심자는 체계적인 학습과 기본 개념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novel approach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address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challenges faced by designers in ground control station (GCS) interface design. We developed domain-specific generative pretrain...
This study proposes a novel approach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address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challenges faced by designers in ground control station (GCS) interface design. We developed domain-specific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s (GPTs) based on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technology, implementing a system to help designers effectively utilize extensive technical documents and guidelines. In evaluations using actual GCS designs, the system demonstrated potential for improving the design process efficiency and quality. The study revealed that domain knowledge-enhanced models (GPT-D1, D2, D3), providing more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compared to the basic ChatGPT model. Notably, we discover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novices in their expectations and utilization patterns of AI tools. Experts focused on practical process integration and design ideation, whereas novices emphasized systematic learning and basic concept understanding.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support based on designers' experience levels.
사주·운세에 계획된 우연이론의 실천동기를 반영한 생성형 AI 기반 글래스 AR 서비스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리수업의 효과성 연구
융복합 공연예술 발전 단계 및 유형 분석: ‘온·오프라인 공간 융합형’ 공연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