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5033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4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9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76-8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view on the school environment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Under the trends toward 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view on the school environment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Under the trends toward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from a highly standardized curriculum,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began to receive attention as an important principl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o decrease the level of uniformity and inflexibility on school curriculum system and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s: (1) to observe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eachers make a difference (2)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teacher's view on the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 Total of 347 teachers answered to the online-survey questions, and after excluding missing values, 332 responses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i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using statistic tool SPSS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ers showed the high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but the low level of teacher's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Especially, the section of the evaluation had the most discrepancy between the need and actual implementation level. Also, teachers showed the highest scores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eaching Method and the lowest scores in Objectiv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ccording to graduate experience, status and school district. On the other hand, teacher experience, main subject one teaches, graduate experience, school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s'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rd, two stag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e effect of school climate turn out to be relatively weaker than that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influenced by utilizing method of textbook,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facility. Furthermore, teacher's knowledge, utilizing method of textbook,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teacher's collaboration and teacher's autonomy variables influence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n this case, teacher’s knowledg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eacher's ability and manner are crucial to promotes teachers's curriculum reconstruction. Also, more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enhance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을 분석하고 교사 개인 변인과 학교 환경 변인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을 분석하고 교사 개인 변인과 학교 환경 변인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중앙 집중형 교육과정 체제의 획일성과 경직성을 극복하고, 교육과정 내용의 적합성 확보, 교사와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중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을 살펴보고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밝히며, 둘째, 교사가 지각한 교사 개인 변인과 학교 환경 변인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이며,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47명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하고 332명의 응답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및 분산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교육목표 요소의 재구성 필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재구성 수준 역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교육방법 요소의 재구성 필요성 인식 재구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재구성 필요성과 실제 재구성 수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성별, 교직경력, 교과영역, 대학원 재학 경험, 직위, 학교급, 소재지)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교육과정 필요성 인식은 대학원 재학 경험, 직위, 학교 소재지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는 교직경력, 주 담당 교과, 대학원 재학경험,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개인 변인(교사의 지식, 교과서 활용방식, 교사효능감, 교사만족도)과 학교 환경 변인(교사 간 협동, 교장의 지도성, 교사의 자율성, 학교 시설에 대한 만족도)을 포함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 개인 변인이 상대적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교과서 활용방식, 교사효능감, 교사만족도는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교사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는 모든 교사 개인 변인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교사의 지식이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 환경 변인 중 학교 시설에 대한 만족도만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자율성만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활성화를 위해 교사의 능력과 태도 등 교사 개인 특성이 중요함을 밝히고 있으며, 단위 학교의 환경 조성 역시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단위학교와 시·도교육청은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과 양상을 진단하고, 교사 개인의 특성과 학교 환경 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