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출목 초익공 공포의 기원과 변천 = The Origins and Changes of One Chulmok-One Ikgong Bracket-Sets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91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Gong-po style is divided into the Jusimpo, Dapo and Ikgong. Jusimpo and Chulmok-Ikong, where only Gong-po is placed on the column, differ in form of Gong-po depending on the viewpoint. Since ‘Chulmok-Ikgong’...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Gong-po style is divided into the Jusimpo, Dapo and Ikgong. Jusimpo and Chulmok-Ikong, where only Gong-po is placed on the column, differ in form of Gong-po depending on the viewpoint. Since ‘Chulmok-Ikgong’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One Chulmok-Two Ikgong’, the precede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One Chulmok-Two Ikgong’ in the Gong-po style classific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One Chulmok’, the style of Ikgong can be organized from the one to three steps and this study is particularly for examining the occurrence and transformation of ‘One Chulmok-One Ikgong’. One of the case study sites, Bonghwa Cheongamjeong was originally built in the 16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repaired from ‘Non Chulmok-One Ikgong’ to ‘One Chulmok-One Ikgong’. Since the beam linked directly to the upper part of a capital, it does not connect the eave trave(architrave) in between. Also, Soro which supports Jangyeo(the architrave strip) has been placed and linked in comparatively lower position. It is confirmed by the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hierarchy of Gong-po forms in one architecture. The Jeonju-Hyanggyo Daeseongjeon, which was built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subjects, was similar with ‘One Chulmok-One Ikgong’, but it was found to be the type of Jusimpo form because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top of the Ikong are apart. And Gongan is confirmed at Cheomcha.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Heot-Cheomcha disappeared and Ikgong was started to use as a constant figur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changed into a ornament added on Haeng-gong, being seen in the case of Hwaseong Dongjangda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One Chulmok-One Ikgong’ were developed in both the Jusimpo and Ikong style. The transformation into ‘One Chulmok-One Ikgong’ was inevitable consequence related with a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ve trave and the column tra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출목익공 이라고 하면 일출목 이익공만을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출목이 하나 있을 때 익공이 한개 사용되는 건축부터 세개 사용되는 건축까지 다양하게 확인된다. 그 중 일출목...

      출목익공 이라고 하면 일출목 이익공만을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출목이 하나 있을 때 익공이 한개 사용되는 건축부터 세개 사용되는 건축까지 다양하게 확인된다. 그 중 일출목 초익공은 무출목 초익공과 공포의 기본 단수는 같고, 처마도리가 추가되면서 일출목 초익공 형태가 되는 것에 착안하여 일출목 초익공 건축의 발생과 변화양상에 주안점을 두었다.
      봉화 청암정은 16세기 창건된 건물로 본래 무출목 초익공형식에서 일출목 초익공으로 보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보뺄목이 주두 상부에서 직절되어 처마도리를 받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처마도리장여 하부의 소로가 주두 결구 높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점, 하나의 건축 내 공포 형식의 위계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17세기 초반에 건축된 전주향교 대성전은 주심포 형식으로 살미가 상부의 보뺄목과 떨어져 있는 형태이다. 17세기에는 헛첨차가 사라진 일정한 모습이 널리 사용됨을 알 수 있으며 18세기 말에는 수원화성 동장대와 같이 행공을 추가한 의장적인 형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출목 초익공 건축은 헛첨차의 주심포 공포 중 전주향교 대성전과 같은 형식에서 발전하였다. 무출목 초익공에서 일출목 초익공으로의 변화는 처마도리의 위치 및 주심도리 하부 부재의 높이 차이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국역증보판(하·부록)" 2015

      2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국역증보판(상)" 2015

      3 기문당, "한국건축의 역사" 2015

      4 류성룡, "출목익공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 13 (13): 111-220, 1997

      5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용어연구–조선후기 영건의궤서에 기록된 부재명칭의 변천에 대하여" 6 (6): 3-11, 1990

      6 문화재청, "전주향교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7 전해완, "일출목 초익공과 무출목 초익공 비교연구" 163-170, 2016

      8 전해완, "일출목 초익공 양식의 건축 형식에 관한 연구" 299-303, 2015

      9 문화재청, "영천향교 대성전 수리공사 보고서" 2001

      10 문화재청, "영주부석사보수정화준공보고서" 1980

      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국역증보판(하·부록)" 2015

      2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국역증보판(상)" 2015

      3 기문당, "한국건축의 역사" 2015

      4 류성룡, "출목익공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 13 (13): 111-220, 1997

      5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용어연구–조선후기 영건의궤서에 기록된 부재명칭의 변천에 대하여" 6 (6): 3-11, 1990

      6 문화재청, "전주향교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7 전해완, "일출목 초익공과 무출목 초익공 비교연구" 163-170, 2016

      8 전해완, "일출목 초익공 양식의 건축 형식에 관한 연구" 299-303, 2015

      9 문화재청, "영천향교 대성전 수리공사 보고서" 2001

      10 문화재청, "영주부석사보수정화준공보고서" 1980

      11 문화재청, "수원 화서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12 이상명, "산릉의궤를 통한 공포부재 용어 연구 –익공과 행공을 중심으로-" 109-117, 2016

      13 문화재청, "사직단 정문 정밀실측보고서" 2005

      14 강원도청, "강원도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 춘천향교"

      15 대한건축사협회, "韓國傳統建築; 樓亭建築3"

      16 水原文化財保全會, "華城城役儀軌"

      17 전봉희, "朝鮮時代 木造建築 공包形式의 變遷에 關한 硏究: 갖은 三包系를 中心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18 국립문화재연구소, "小川敬吉調査文化財資料"

      19 신동관, "'간' 개념에 의한 정자공간의 연구: 주거건축 내 정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