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 A Characteristic Analysi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Tombs in Seou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87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 중앙지역의 고대유리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중에 하나인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리제품은 완형 구슬 35점, 형태를 알 수 없는 반제품 44점 그리고 판상형 17점이다. 이중...

      백제 중앙지역의 고대유리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중에 하나인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리제품은 완형 구슬 35점, 형태를 알 수 없는 반제품 44점 그리고 판상형 17점이다. 이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완형 유리구슬 35점에 대하여 비파괴분석법을 활용하여 외형적 특성과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색상은 일부 감청색과 함께 벽색과 녹색이 주류이다. 형태는 둥근형 2점, 코일형 1점, 도넛형 32점으로 외경과 직경 비율이 같은 둥근형은 금박구슬인 중층구슬이고 외경보다 직경이 긴 코일형은 1점으로 지표에서 수습된 벽색 구슬이다. 이에 비하여 주류인 도넛형은 대부분 외경이 5㎜ 미만의 소형으로 늘린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구슬 단면의 열처리는 색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는데, 감청색과 적갈색은 열처리 Ⅰ형이고 벽색, 녹청색, 녹색, 금박구슬 등 대부분은 Ⅲ형으로 나타난다. 화학 조성은 융제 구분에서 납유리군 1점, 포타쉬유리군 3점, 소다유리군 28점 그리고 미분류 3점으로 소다유리군이 우세한 편이다. 안정제 구분에서 납유리군으로 확인된 벽색 코일유리 1점은 고알루미나계, 포타쉬유리군으로 확인되는 감청색 도넛형 구슬 3점은 산화칼슘(CaO)과 산화알루미나(Al<sub>2</sub>O<sub>3</sub>)이 모두 5% 미만이다. 금박구슬 1점(sc-003)과 적갈색 1점(sc-009)을 제외한 소다유리군은 26점은 모두 고알루미나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다양한 색상의 유리구슬이 출토되는 백제에서 주로 확인되는 조성으로 청색계가 많이 확인되는 신라·가야와 화학 조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lass artifact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Tomb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lics of Baekje's central area, are consisted in 35 complete glass beads, 44 semi-finished glass products, and 17 glass sheet pieces. Among them, This study have been analy...

      Glass artifacts Excavated from Seokchon-dong Tomb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lics of Baekje's central area, are consisted in 35 complete glass beads, 44 semi-finished glass products, and 17 glass sheet pieces. Among them, This study have been analyzed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35 complete glass beads using non-destructive analysis. As the results, the colors are mostly cu-blue and green with some co-blue. The shape is round type 2 pieces, coil type 1 piece, and dount type 32 pieces. The round type with the same ratios of outer and length is a middle layer glass bead(gold foil glass bead) and the coil type with a longer length than the outer is a cu-blue colored excavated at surface layer. On the other hand, dount type is made the small size of less than 5 mm with drawing technique. The heat treatment of the bead cross-se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lor. Co-blue and red brown glass beads are Ⅰ type of the heat treatment and almost colored glass beads of cu-blue, green, and gold beads are Ⅲ type. The chemical composition is one piece of lead glass group, three pieces of potash glass group 28 pieces of soda glass group and three pieces of non-classification and so is dominated by the soda glass group. In the stabilizer classification, one cu-blue coil type identified as a lead glass group is high alumina and three co-blue donut type identified as a potash glass group are below 5% both lime(CaO) and alumina(Al<sub>2</sub>O<sub>3</sub>). Except for one of middle layer glass bead(sc-003) and one of red brown(sc-009), 26 piece of soda glass gorup are all high alumina in the stabilizer. Thes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s is identified mainly in Baekje but is differed in Silla and Gaya where the blue glass beads are excav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나영, "한반도에서 출토된 적갈색 유리구슬의 특성 및 유형 분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279-286, 2013

      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규호, "유리구슬의 제작 기법과 화학 조성, 華城 旺林里 노리재골Ⅱ 百濟遺蹟" 한신대학교박물관 2011

      4 김규호, "연천 학곡리 적석총 출토 구슬의 과학적 연구 보고서, 漣川 鶴谷里 積石塚" 2004

      5 김은아, "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6 (36): 405-420, 2020

      6 James W. Lankton, "석촌동 고분군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 및 풍납토성 출토 유리에 대한 화학 조성 분석, 서울 석촌동 고분군 Ⅰ" 한성백제박물관 160-171, 2019

      7 김은아,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고찰" 공주대학교대학원 2019

      8 김규호,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발굴조사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서울 석촌동 고분군Ⅰ" 한성백제박물관 103-141, 2019

      9 한성백제박물관,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3차 학술자문회의 자료"

      10 김나영, "삼국시대 알칼리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1 김나영, "한반도에서 출토된 적갈색 유리구슬의 특성 및 유형 분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279-286, 2013

      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규호, "유리구슬의 제작 기법과 화학 조성, 華城 旺林里 노리재골Ⅱ 百濟遺蹟" 한신대학교박물관 2011

      4 김규호, "연천 학곡리 적석총 출토 구슬의 과학적 연구 보고서, 漣川 鶴谷里 積石塚" 2004

      5 김은아, "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6 (36): 405-420, 2020

      6 James W. Lankton, "석촌동 고분군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 및 풍납토성 출토 유리에 대한 화학 조성 분석, 서울 석촌동 고분군 Ⅰ" 한성백제박물관 160-171, 2019

      7 김은아,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고찰" 공주대학교대학원 2019

      8 김규호,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발굴조사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서울 석촌동 고분군Ⅰ" 한성백제박물관 103-141, 2019

      9 한성백제박물관,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3차 학술자문회의 자료"

      10 김나영, "삼국시대 알칼리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11 김규호, "부산-경남지역 유리구슬의 특성, 가야지역 출토 유리Ⅱ" 국립김해박물관 238-363, 2020

      12 권오영, "백제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조성을 통해 본 수입과 유통" 중부고고학회 16 (16): 39-70, 2017

      13 김규호, "김해 양동리 고분군 출토 유리로 본 가야 문화, In 금관가야 출토 옥을 통해 본 대외교류" 국립김해박물관·동의대학교박물관 49-69, 2019

      14 김은아, "금관가야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I)"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7 (37): 232-244, 2021

      15 Insook Lee, "風納土城Ⅶ" 한신대학교 박물관 2006

      16 李仁淑, "韓國 古代 유리의 考古學的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1

      17 김규호, "烏山 水淸洞 百濟 墳墓群Ⅴ" 京畿文化財硏究院·韓國土地住宅公社 2012

      18 Kyriaki P., "XRF analysis of glass beads from the Mycenaean palace of Nestor at Pylos, Peloponnesus, Greece: new insight into the LBA glass trade" 38 (38): 2889-2896, 2011

      19 Saminpanya, S., "Shedding New Light on Ancient Glass Beads by Synchrotron, SEMEDS, and Raman Spectroscopy Techniques" 9 : 1-12, 2019

      20 유혜선, "A Study on the Provenance of an Opacifying Agent(PbSnO3) in Yellow and Green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4 (34): 305-31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3 1.54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