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유정신모형의 예측력 = The predictive power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shared mental model on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자기조절학습능력, 공유정신모형(과제관련, 팀원관련)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69명이 18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2015년 1학기 중 총 6주간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여 팀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순매개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이 만족도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자기조절학습능력, 공유정신모형(과제관련, 팀원관련)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를 검...

      본 연구는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자기조절학습능력, 공유정신모형(과제관련, 팀원관련)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69명이 18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2015년 1학기 중 총 6주간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여 팀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순매개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이 만족도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hared mental mode(Task-SSM, Team-SSM) were chosen as critical predi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18 groups and instructed to work on a team project using Naver Band for 6 week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SMM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econd, Team-SM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2)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hared mental mode(Task-SSM, Team-SSM) were chosen as critical predict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hared mental mode(Task-SSM, Team-SSM) were chosen as critical predi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18 groups and instructed to work on a team project using Naver Band for 6 week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SMM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econd, Team-SM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2)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협력 중심의 창의적 지식구성을 위한 융합형 학습환경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95-119, 2012

      2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3 주영주,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성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461-475, 2013

      4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5 김대현,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2001

      6 임병하,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16 (16): 191-214, 2014

      7 양영선, "팀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효능감과 스캐폴딩이 학습참여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495-519, 2014

      8 김민정, "팀기반 학습에서 평가대상과 평가주체가 학습자의 수업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73-392, 2014

      9 김혜경, "팀 프로젝트 학습의 학습자 역량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21-544, 2015

      10 강명희,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뢰, 지식공유 의도의 예측력" 교육공학연구소 9 (9): 22-46, 2015

      1 김영수, "협력 중심의 창의적 지식구성을 위한 융합형 학습환경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95-119, 2012

      2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3 주영주,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성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461-475, 2013

      4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5 김대현,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2001

      6 임병하,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16 (16): 191-214, 2014

      7 양영선, "팀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효능감과 스캐폴딩이 학습참여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495-519, 2014

      8 김민정, "팀기반 학습에서 평가대상과 평가주체가 학습자의 수업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73-392, 2014

      9 김혜경, "팀 프로젝트 학습의 학습자 역량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21-544, 2015

      10 강명희,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뢰, 지식공유 의도의 예측력" 교육공학연구소 9 (9): 22-46, 2015

      11 조양준, "토종 SNS, 글로벌 공룡에 판정승"

      12 박성희,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성취도와 만족도 예측"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20, 2010

      13 김문식,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 관계에 대한개인의 목표지향성과 조직 특성의 조절 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249-271, 2013

      14 강명희,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5요인 성격 특성이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97-223, 2008

      15 강명희, "웹기반 지식창출지원시스템의 개념적 모델" 16 (16): 3-21, 2000

      16 임규연, "온라인 팀 프로젝트에서 팀 리더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295-317, 2009

      17 이정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종합연구소 13 (13): 129-152, 2015

      18 이은환,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573-603, 2013

      19 이정권,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115-148, 2015

      20 이상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참여 동기 분석에 기초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 설계 원리"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729-754, 2011

      21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15-135, 2008

      22 이종연, "대학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학습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93-124, 2012

      23 정한호, "대학수준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선행변인과 팀 성과" 한국교육공학회 27 (27): 37-73, 2011

      24 유지원,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89-110, 2014

      25 조일현,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20, 2010

      26 이현응,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225-249, 2014

      27 강명희, "구글플러스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취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75-302, 2015

      28 Barron, S., "When smart group fail" 12 : 307-359, 2003

      29 Lee, M.,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eam cognition associated with complex engineering tasks : Dynamics of shared mental models, Task‐SMM, and Team‐SMM" 21 (21): 73-95, 2008

      30 Shin, 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24 (24): 69-86, 2003

      31 Corno, L.,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from instruction" 18 : 88-108, 1983

      3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3 Mathieu, J. E., "The influence of shared mental models on team process and performance" 85 (85): 273-283, 2000

      34 Kim, D. H., "The Link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35 (35): 37-50, 1993

      35 Johnson, T. E., "Team shared mental model as a contributing factor to team performance and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in blended courses" 27 (27): 2330-2338, 2011

      36 Lim, B. C., "Team mental models and team performance : a field study of the effects of team mental model similarity and accuracy" 27 (27): 403-418, 2006

      37 Ertmer P. A., "Students‘ confidence and perceived value for participating in cross-cultural wiki-based collaborations" 59 : 213-228, 2011

      38 Preacher, K. J.,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36 (36): 717-731, 2004

      39 이정민, "SNS기반 협력학습 성과에 대한 공유정신모형의 예측력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315-335, 2013

      40 강문숙, "SNS 활용 프로젝트 학습 사례 질적 연구: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0 (10): 85-112, 2014

      41 유병민, "SNS 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33-159, 2013

      42 Helle, L., "Project-based learning in post-secondary education–theory, practice and rubber sling shots" 51 (51): 287-314, 2006

      43 Judd, C. M., "Process analysis estimating mediation in treatment evaluations" 5 (5): 602-619, 1981

      44 Lee, H., "Peer Evaluation in Blended Team Project-Based Learning: What Do Students Find Important?" 15 (15): 214-224, 2012

      45 Jones, N., "Mental models : an interdisciplinary synthesis of theory and methods" 16 (16): 46-46, 2011

      46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55, 2002

      47 Cannon-Bowers, J. A., "Current issues in individual and group decision mak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1-246, 1993

      48 MacKinnon, D. P., "Current directions in mediation analysis" 18 (18): 16-2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