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비만 저감화 식품을 개발하고자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도토리, 메밀 및 녹두의 항비만 효과를 규명한 후, 도토리분말(AP; acorn powder), 메밀분말(BP; buckwheat powder) 및 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38930
서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 대체의학과 , 2016. 2
2016
한국어
서울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ppressive Effects of Mook Prepared with Acorn, Buckwheat and Mung bean in 3T3-L1 preadipocytes
x, 89 p.: 삽도; 26 cm.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애정
참고문헌 : p.71-8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만 저감화 식품을 개발하고자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도토리, 메밀 및 녹두의 항비만 효과를 규명한 후, 도토리분말(AP; acorn powder), 메밀분말(BP; buckwheat powder) 및 녹...
본 연구에서는 비만 저감화 식품을 개발하고자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도토리, 메밀 및 녹두의 항비만 효과를 규명한 후, 도토리분말(AP; acorn powder), 메밀분말(BP; buckwheat powder) 및 녹두분말(MP; mung bean powder)을 최적 비율로 혼합한 묵을 제조하여 비만 저감화 효과와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도토리분말, 메밀분말 및 녹두분말의 일반성분을 분석 비교한 결과, 탄수화물과 조단백질 함량은 녹두분말, 조지방 함량은 메밀분말에 가장 많았다. 무기질함량은 도토리분말, 메밀분말 및 녹두분말 모두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이 많았다. 항산화물질의 경우 메밀분말 에탄올추출물, 녹두분말 에탄올추출물에 비해 도토리분말 에탄올추출물에서 총 flavonoid와 총 poly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도 도토리분말 에탄올추출물(APE; acorn powder ethanol extract)이 메밀분말 에탄올추출물(BPE; buckwheat powder ethanol extract)이나 녹두분말 에탄올추출물(MPE; mung bean powder ethanol extract)에 비해 우수하였다.
도토리분말, 메밀분말 및 녹두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3T3-L1 비만전구세포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세 가지 에탄올 추출물 시료 모두 고농도 처리 시에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도토리분말 에탄올추출물, 메밀분말 에탄올추출물 및 녹두분말 에탄올추출물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중성지방축적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도토리분말 에탄올추출물은 지방세포분화와 중성지방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메밀분말 에탄올추출물이나 녹두분말 에탄올추출물은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mRNA 내에서의 PPAR-γ와 aP2 발현의 경우도 도토리분말 에탄올추출물을 대조군과 비교 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을 억제하였다. C/EBP-β, C/EBP-α, PPAR-γ와 aP2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경우에도 도토리분말 에탄올추출물은 C/EBP-β, C/EBP-α, PPAR-γ와 aP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세포시험 결과를 토대로 도토리분말, 메밀분말 및 녹두분말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묵(A2B1M160C40)의 색도를 실시한 결과 청포전분만으로 제조한 대조군에 비해 적색도와 황색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능평가 결과, A2B1M160C40 시료의 색, 맛,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두 우수한 점수가 나타났다.
도토리분말, 메밀분말 및 녹두분말을 조합하여 만든 최적 혼합묵인 A2B1M160C40 시료를 에탄올 추출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본 결과 500 μg/mL의 고 농도에서도 94.97%의 생존율을 보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도토리분말, 메밀분말 및 녹두분말과 청포전분을 조합하여 제조한 혼합묵(A2B1M160C40)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에 관련된 여러 인자들의 발현과 지질축적을 억제함으로써 비만 저감화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손정규, "우리음식", 삼중당, 삼중당, 1948
2 서명응, "고사십이집",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원전은 1737년에 출판), 2012
3 이석만, "신영양요리법", 新舊書林, 신구서림, 1935
4 방신영, "조선요리제법", 廣益書館, 광익서원, 1921
5 이성우,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교문사, 1985
6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민음사, 1991
7 조은자, "한국전통식품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성신여자 대학교 출판부, 2008
8 박근용, "타화수정작물 육종의 이론과 실제",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1996
9 현화진, 최미경, 송경희, 손숙미, "쉽게 보는 식품 칼로리와 영양성분표", 교문사, 교문사, 2007
10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1924
1 손정규, "우리음식", 삼중당, 삼중당, 1948
2 서명응, "고사십이집",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원전은 1737년에 출판), 2012
3 이석만, "신영양요리법", 新舊書林, 신구서림, 1935
4 방신영, "조선요리제법", 廣益書館, 광익서원, 1921
5 이성우,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교문사, 1985
6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민음사, 1991
7 조은자, "한국전통식품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성신여자 대학교 출판부, 2008
8 박근용, "타화수정작물 육종의 이론과 실제",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1996
9 현화진, 최미경, 송경희, 손숙미, "쉽게 보는 식품 칼로리와 영양성분표", 교문사, 교문사, 2007
10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1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