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울주군 사연댐 건설 전후의 퇴적지화학적 환경 변화 = A Comparison on the Changes in Sedimentary Geochemical Environments Before and After the Sayeon-dam Construction, Ulju-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3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deposits around the Sayeon-Dam in the scope of sedimentary geochemistry. The deposits are composed of sediments formed before/after the building of the Sayeon-dam. The sediments around the dam a...

      This study focuses 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deposits around the Sayeon-Dam in the scope of sedimentary geochemistry. The deposits are composed of sediments formed before/after the building of the Sayeon-dam. The sediments around the dam are reasonable for environmental changes influenced by industrialization in 1960’s.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one after another in the time of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Firstly, the mean grain size had a fining tendency of 2.93 to 4.95Ø in the sediments. Next, elements of Al, Fe, Mg, P, Co, Cr, Cu, Zn, Pb, Cd in the sediments increased in contents with rises of TOC and TC, and other organic components.
      Before the dam construction, in the sediments, C/N ratios of 0~13.50(avg. 5.50) indicated a hydrophyte dominated condition. However, the conditions were changed into a land plant dominated one as the ratio changes of 0.01~23.21(avg. 10.52) after the dam construction.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above 0.9 between the values of Al, Fe, Mg, Ca, P, Co, Cr, Cu, Zn, Pb, TC, and grain size fining before the dam’s construction, the relationships decreased after the building. In addition, enrichment factors(EF) of Cu, Zn, and Pb were enhanced after the building. Before the building, controlling factors of the sediments had a loading of 61.610 % by surrounding natural and geological settings in the factor analysis. However, after the building, the loading decrease of 41.811% and the factors were dispersed.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were influenced by grain size fining, a change into lacustrine environment, and artificial interpretations in geochemical behavi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연호 주변의 퇴적층 조사를 통한 지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지역은 1960년대 공업용수와 인근 지역 주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연댐을 건설하였다. 연구 지...

      이 연구는 사연호 주변의 퇴적층 조사를 통한 지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지역은 1960년대 공업용수와 인근 지역 주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연댐을 건설하였다. 연구 지역은 반구대 암각화가 있는 하천의 건너편 지역으로 주변 퇴적층은 사연댐이 건설되기 이전의 퇴적층과 이후의 퇴적층이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은 인간이 인위적 건설로 인한 퇴적층의 환경변화를 간직한 곳으로 산업화에 의한 1960년대 전후의 환경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곳이다. 이 연구는 사연댐 건설 전후의 하천환경 변화를 퇴적물의 지화학 분석을 통해 고찰한 것으로 하천환경의 변화와 함께 댐 건설과 같은 인위적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연댐 건설 전후의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은 건설 전과 후의 환경 변화가 인지된다.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평균 2.93Ø에서 4.95Ø로 세립화 되어진다. 지화학적 성분인 Al, Fe, Mg, P, Co, Cr, Cu, Zn, Pb, Cd 등의 평균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유기지화학 성분인 TOC, TC도 증가하고 있다. 사연댐 건설 이전 퇴적층에서 C/N 비는 0.00~13.50(평균 5.50)으로 수생식물과 육상식물 기원의 유기물들이 혼합된 것으로 보이며, 수생식물이 우세한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연댐 건설 이후의 퇴적층에서 C/N 비는 0.01~23.21(평균 10.52)로 수생식물과 육상식물 유기물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육상식물이 우세한 환경으로 추정된다.
      지화학적 원소들의 특성은 퇴적층 내에서 원소들 간의 상관성, 부화지수, 거동특성, 평균함량 비교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사연댐 건설 이전의 퇴적층에서 지화학적 원소들은 평균입도와 관련한 Al, Fe, Mg, Ca, P, Co, Cr, Cu, Zn, Pb TC 등이 0.9 이상의 정(+)의 상관관계로 입도가 세립해질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강하다. 사연댐 건설 이후의 퇴적층에서는 입도와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소들의 상대적인 농축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부화지수는 사연댐 건설 이후의 퇴적층에서 유해 중금속에 해당하는 Cu, Zn, Pb 등의 부화지수가 크게 변화하며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사연댐 건설 이전 퇴적물 내의 원소들의 거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주변 지질 및 자연환경적 영향에 의한 61.610% 적재량을 보이나, 건설 이후에는 41.811%로 떨어지고, 요인들이 분산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사연댐 건설 이전의 자연 환경과 달리, 건설 이후의 지화학적 환경은 주변 지질 영향 외에도 퇴적물의 세립화, 호소환경으로 변화, 인간의 인위적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이평구, "프랑스 A-71 고속도로변 Retention pond의 기능평가" 한국토양환경학회 2 (2): 73-81, 1997

      3 국립문화재연구소, "울주 반구대 암각화 일원 지형복원 및 고환경 변화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128-, 2014

      4 옥치상, "수질 및 수자원 관리" 도서출판 대학서림 606-, 1999

      5 김용태, "사연댐의 수위 변화에 따른 반구대암각화 지점의 침수영향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6 오강호, "광주광역시 하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한국지구과학회 24 (24): 346-360, 2003

      7 장기홍, "경상분지 상부중생계의 층서, 퇴적 및 지구조" 대한지질학회 13 (13): 76-90, 1977

      8 Berner, E. K., "The Global Water Cycle" Prentice-Hall 397-, 1987

      9 Chough, S. K.,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101 : 225-249, 2010

      10 Twichell, S. C., "Significance of High C/N Ratios in Organic-Carbon-Rich Neogene Sediments Under the Benguela Current Upwelling System" 33 : 715-722, 2002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이평구, "프랑스 A-71 고속도로변 Retention pond의 기능평가" 한국토양환경학회 2 (2): 73-81, 1997

      3 국립문화재연구소, "울주 반구대 암각화 일원 지형복원 및 고환경 변화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128-, 2014

      4 옥치상, "수질 및 수자원 관리" 도서출판 대학서림 606-, 1999

      5 김용태, "사연댐의 수위 변화에 따른 반구대암각화 지점의 침수영향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6 오강호, "광주광역시 하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한국지구과학회 24 (24): 346-360, 2003

      7 장기홍, "경상분지 상부중생계의 층서, 퇴적 및 지구조" 대한지질학회 13 (13): 76-90, 1977

      8 Berner, E. K., "The Global Water Cycle" Prentice-Hall 397-, 1987

      9 Chough, S. K.,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101 : 225-249, 2010

      10 Twichell, S. C., "Significance of High C/N Ratios in Organic-Carbon-Rich Neogene Sediments Under the Benguela Current Upwelling System" 33 : 715-722, 2002

      11 Müller, G., "Schwerm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Verderungen Seit" 79 : 778-783, 1979

      12 Mason, B.,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344-, 1982

      13 Meyers, P. A., "Preservation of Elemental and Isotopic Source Identification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144 : 289-302, 1994

      14 Salomons, W., "Metals in the Hydrocycle" Springer-Verlag 349-, 1984

      15 Förstner, U., "Metal Pollu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Springer-Verlag 486-, 1981

      16 Alloway, B. J., "Metal Availability" 75 (75): 41-69, 1988

      17 Krauskopf, K. B., "Introduction to Geochemistry" McGraw-Hill 617-, 1982

      18 Klemmenson, J. O., "Influence of Oak in Pine Forests of Central Arizona on Selected Nutrients of Forest Floor and Soil" 51 : 1623-1628, 1987

      19 Bruland, K. W., "History of Metal Pollution in Southern California Coastal Zone" 8 : 425-432, 1974

      20 Chang, K. H.,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11 (11): 1-23, 1975

      21 Bernier, N., "Comparative Study of Soil Organic Layers in Two Bilberry-spruce Forest Stands (Vaccinio Piceetea)" 59 : 89-108, 1993

      22 Folk, R. L.,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27 : 3-27, 1957

      23 Thornton, I., "Appli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Academic Press 501-, 1983

      24 Horowitz, A. J., "A Pri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 Lewis Publishers 136-,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