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지원이 지역경제 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전남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 The Ripple Effect of Credit Guaranty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on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 Focusing on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ll business owners serve an important function as the foundation of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additional values,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Korean economy. However, going through the currency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banks that are concerned about insolvency have been reluctant in giving loans to the small business owners, which resulted in causing direct and indirect damage to them due to lack of liquidity. As such,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enacted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ct in 2000, followed by founding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for each of 16 metropolitan councils.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re funding the small business owners to help them overcome economic cri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ole of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nd to investigate the ripple effect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on the economy. I hop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polici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s objective data,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5. 22 cities and districts of Jeonnam we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including East, Southwest, vicinity of Gwangju, and South Central. The time frame includes three years where there has been a rapid change in guarantee supply. Next, the trend of guarantee supply and economic effects are compa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identical amount of guarantee depending on regions and industries. Furthermore, I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 impact and trends based o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redit guarantee support by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and other credit guarantee servic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new guarantee supplies by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are related to relatively greater employment growth as they are focused on food and hospitality indust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w guarantee amount, the Eastern region has the highest increase rate in credit guarantee supply for small business owners among the four regions of Jeonnam. Third, the economic effects are not solely dependent on the increase rate of guarantee supply but they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ustries. Fourth, even within Jeonnam, different regions have different economic effects, and within the same region, economic effects differ by area.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credit guarantee supply provided by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has tremendous impact on local economy. However, the economic impac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ustries. Within the same metropolitan council,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leads to different types of ripple effects. That is, considering that 16 metropolitan councils have different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roles of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should be different as well. Also, as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re promoting the local econom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o ensure and sustainable and stable fund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each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 to identify the econom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onsible regions as well as the interconnection with other regions. As such, proper credit guarantee plans should be prepared and implemented in a way to positively impact local economy.
      번역하기

      Small business owners serve an important function as the foundation of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additional values,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Korean economy. However, going through the currency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

      Small business owners serve an important function as the foundation of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additional values,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Korean economy. However, going through the currency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banks that are concerned about insolvency have been reluctant in giving loans to the small business owners, which resulted in causing direct and indirect damage to them due to lack of liquidity. As such,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enacted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ct in 2000, followed by founding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for each of 16 metropolitan councils.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re funding the small business owners to help them overcome economic cri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ole of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nd to investigate the ripple effect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on the economy. I hop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polici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s objective data,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5. 22 cities and districts of Jeonnam we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including East, Southwest, vicinity of Gwangju, and South Central. The time frame includes three years where there has been a rapid change in guarantee supply. Next, the trend of guarantee supply and economic effects are compa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identical amount of guarantee depending on regions and industries. Furthermore, I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 impact and trends based o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redit guarantee support by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and other credit guarantee servic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new guarantee supplies by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are related to relatively greater employment growth as they are focused on food and hospitality indust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w guarantee amount, the Eastern region has the highest increase rate in credit guarantee supply for small business owners among the four regions of Jeonnam. Third, the economic effects are not solely dependent on the increase rate of guarantee supply but they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ustries. Fourth, even within Jeonnam, different regions have different economic effects, and within the same region, economic effects differ by area.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credit guarantee supply provided by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has tremendous impact on local economy. However, the economic impac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ustries. Within the same metropolitan council,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leads to different types of ripple effects. That is, considering that 16 metropolitan councils have different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roles of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should be different as well. Also, as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re promoting the local econom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o ensure and sustainable and stable fund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each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 to identify the econom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onsible regions as well as the interconnection with other regions. As such, proper credit guarantee plans should be prepared and implemented in a way to positively impact local econom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국가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상공인은 지역 경제의 근간을 이루며 일자리 제공과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의 외환위기와 2008년의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국내 은행들이 경기침체에 따른 부실화 등의 우려로 대출을 기피하자, 소상공인들은 유동성 부족으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게 되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2000년 지역신용보증재단법을 제정하고, 이에따라 16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지역신용보증재단을 설립하였으며,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하여 적극적인 소상공인 자금 지원으로 경제 위기를 극복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을 살펴본 후 전남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지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 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됨으로써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15년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남 22개 시·군을 4개 권역인 동부권, 서남권, 광주근교권, 중남부권으로 분류하고, 보증공급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3개년의 시점을 선정하였다. 이후 보증공급 추이와 경제유발효과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였을 때 권역별·업종별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전남신용보증재단과 타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지원 증감률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의 추이와 특이점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전남신용보증재단의 신규 보증공급은 도매 및 소매업과음식 및 숙박업에 집중되어 있어 비교적 취업유발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신규보증금액을 분석한 결과 전남 4개 권역 중 동부권에서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공급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증공급 증감률에 따라 모든 지역이 동일하게 경제적 유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지역의 어떤 업종에 자금을 투입하느냐에 따라 각각의 유발효과가 현저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남권 내에서도 권역에 따라 업종별 경제유발효과가 다르고, 해당권역에서도 지역 내와 지역 외에서 경제유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상공인에 대한 각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공급은 지역경제에 많은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파급효과는 지역별·업종별로 상이하며, 같은 광역자치단체 내에서도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산업별·경제적 특성에 따라 파급효과가 다르다는 것이다. 즉,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산업과 경제적 특성이 차이가 있는 만큼 이를 지원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도 상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금융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상호 협력하여 안정적인 재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지역신용보증재단은 관할지역의 경제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고, 타 지역과의 유발효과도 고려하여 해당 지역경제 발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신용보증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국가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상공인은 지역 경제의 근간을 이루며 일자리 제공과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의 외환위기와 2008년의 세계적...

      우리나라 국가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상공인은 지역 경제의 근간을 이루며 일자리 제공과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의 외환위기와 2008년의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국내 은행들이 경기침체에 따른 부실화 등의 우려로 대출을 기피하자, 소상공인들은 유동성 부족으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게 되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2000년 지역신용보증재단법을 제정하고, 이에따라 16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지역신용보증재단을 설립하였으며,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하여 적극적인 소상공인 자금 지원으로 경제 위기를 극복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을 살펴본 후 전남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지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 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됨으로써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15년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남 22개 시·군을 4개 권역인 동부권, 서남권, 광주근교권, 중남부권으로 분류하고, 보증공급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3개년의 시점을 선정하였다. 이후 보증공급 추이와 경제유발효과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였을 때 권역별·업종별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전남신용보증재단과 타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지원 증감률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의 추이와 특이점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전남신용보증재단의 신규 보증공급은 도매 및 소매업과음식 및 숙박업에 집중되어 있어 비교적 취업유발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신규보증금액을 분석한 결과 전남 4개 권역 중 동부권에서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공급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증공급 증감률에 따라 모든 지역이 동일하게 경제적 유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지역의 어떤 업종에 자금을 투입하느냐에 따라 각각의 유발효과가 현저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남권 내에서도 권역에 따라 업종별 경제유발효과가 다르고, 해당권역에서도 지역 내와 지역 외에서 경제유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상공인에 대한 각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공급은 지역경제에 많은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파급효과는 지역별·업종별로 상이하며, 같은 광역자치단체 내에서도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산업별·경제적 특성에 따라 파급효과가 다르다는 것이다. 즉,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산업과 경제적 특성이 차이가 있는 만큼 이를 지원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도 상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금융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상호 협력하여 안정적인 재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지역신용보증재단은 관할지역의 경제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고, 타 지역과의 유발효과도 고려하여 해당 지역경제 발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신용보증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抄錄> ⅶ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國文抄錄> ⅶ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및 논문 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소상공인의 정의 7
      • 1. 소상공인의 개념 7
      • 2. 소상공인의 현황 9
      • 제2절 소상공인의 생태계 변화 12
      • 1. 인구환경의 변화 12
      • 2. 소상공인의 사업환경 변화 13
      • 3. 소상공인의 금융환경 변화 14
      • 4. 소상공인의 법률 및 자금 환경 변화 16
      • 제3절 신용보증제도 22
      • 1. 신용보증제도의 개요 22
      • 2. 국내의 신용보증제도 24
      • 3. 국외의 신용보증제도 26
      • 4.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운용현황 35
      • 5. 전남신용보증재단의 운용현황 41
      • 제4절 신용보증 지원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 연구 56
      • 1. 금융과 경제성장 간의 선행 연구 56
      • 2. 신용보증 지원의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 57
      • 3. 본 연구와 선행 연구의 차이점 61
      • 제3장 연구의 설계 및 조사 방법 63
      • 제1절 산업연관분석 63
      • 1. 산업연관분석의 개념 63
      • 2.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64
      • 제2절 지역산업연관의 분석 65
      • 1. 지역산업연관표의 개념 65
      • 2. 지역산업연관표의 유형 67
      • 제3절 유발계수의 도출 71
      • 1. 투입계수 71
      • 2. 생산유발계수 72
      • 3. 부가가치유발계수 73
      • 4. 취업유발계수 74
      • 제4장 실증분석 75
      • 제1절 2018년 전남의 업종별 경제 파급효과 분석 75
      • 1. 전남의 업종별 경제유발효과 75
      • 2. 전남의 업종별 경제유발계수 77
      • 제2절 2018년 전남의 권역별 경제 파급효과 분석 79
      • 1. 동부권의 경제유발효과 79
      • 2. 서남권의 경제유발효과 81
      • 3. 광주근교권의 경제유발효과 83
      • 4. 중남부권의 경제유발효과 85
      • 제3절 전남의 권역별 경제유발효과 추이 분석 87
      • 1. 전남의 권역별 신규 신용보증 금액 87
      • 2. 전남의 권역별 경제유발효과 추이 비교 89
      • 제4절 전남과 타 광역자치단체의 경제유발효과 추이 비교 94
      • 1. 전남과 타 광역자치단체의 신규 신용보증 금액 94
      • 2. 전남과 타 광역자치단체의 경제유발효과 추이 비교 96
      • 제5장 결 론 100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00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101
      • 1. 연구의 시사점 101
      • 2. 연구의 한계점 104
      • <참고문헌> 105
      • <영문초록> 113
      • <부 록> 11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희석, 장선화, "이소은", 서울신용보증재단 신용보증 성과 및 서울경제 기여도 분석, 2013

      2 전라남도, "전라남도", 전라남도청 통계정보 주민등록인구통계, 2018

      3 전라남도, "전라남도", 제3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요약보고서, 2016

      4 한국은행,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18

      5 한국은행,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14

      6 한국은행, "한국은행", 2013년 산업연관표 지역표, 2015

      7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 소기업․소상공인의 발전적 도약을 위한 지역신용보증제도의 발전 방안 최종보고서, 2014

      8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www.kibo.or.kr, null

      9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www.kodit.co.kr, null

      10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40년사, 2016

      1 박희석, 장선화, "이소은", 서울신용보증재단 신용보증 성과 및 서울경제 기여도 분석, 2013

      2 전라남도, "전라남도", 전라남도청 통계정보 주민등록인구통계, 2018

      3 전라남도, "전라남도", 제3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요약보고서, 2016

      4 한국은행,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18

      5 한국은행,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14

      6 한국은행, "한국은행", 2013년 산업연관표 지역표, 2015

      7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 소기업․소상공인의 발전적 도약을 위한 지역신용보증제도의 발전 방안 최종보고서, 2014

      8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www.kibo.or.kr, null

      9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www.kodit.co.kr, null

      10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40년사, 2016

      11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세계의 신용보증제도, 2013

      12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업무 운영기준, 2015

      13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외국의 신용보증제도: 아시아 및 유럽 편, 1985

      14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2001

      15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 2015년 경제총조사, 2017

      16 IBK기업은행연구소, "IBK기업은행연구소", 중소기업금융실태조사, 2015

      17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신용보증재단중앙회", www.koreg.or.kr, null

      18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해외신용보증제도 현황[Ⅱ], 2017

      19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신용보증재단중앙회", 2018년 소상공인 금융실태조사 보고서, 2018

      20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신용보증재단중앙회", 2013 소기업 소상공인 신용보증 지원 효과 분석보고서, 2014

      21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신용보증재단중앙회", 2015 소기업 소상공인 신용보증 지원 효과 분석보고서, 2016

      22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7

      23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www.semas.or.kr, null

      24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한국, 일본", 대만 신용보증기관의 효율성 분석, 2016

      25 허문종, "국내 자영업자 현황과 시사점", 우리금융연구소, 2015

      26 신종원, 홍석일, 한창용, 지민웅, "소상공인 정책의 현 위상과 과제", 산업연구원, 2016

      27 김찬수, "중소기업 정책금융의 현황 및 성과", 감사원 감사연구원, 2009

      28 강동수, "신용보증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KDI연구보고서, pp.113~117, 2005

      29 유영중, 황성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의 성과분석", 한국상업교육학회, 23(1), pp.219~237, 2009

      30 유종주, "신용보증 지원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31 장우석, 전해영, "핀테크(FinTech)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VIP리포트, 648, pp.1~13, 2016

      32 윤상용, "지역신용보증 재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보고서, 30(2), pp.139~159, 2015

      33 양갑모, "소상공인 용어의 영어 표기에 관한 연구", 2015년 한국창업학추계학 술대회 발표논문집, pp.33~50, 2015

      34 김지수, 윤상용, "소상공인 신용보증의 경기변동 관련성 검증", 경영연구, 29(4), pp.209~229, 2014

      35 노용환, 이종욱, "중소기업 신용보증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08년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2008

      36 윤상용, "소상공인 정책자금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35(4), pp.269~291, 2013

      37 구재운, "지역 금융과 지역경제 성장 사이의 인과관계", 한국경제연구학회, 15, pp.179~198, 2005

      38 강병호,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성과 및 과제, 한국은행", 한 일 금융전문가 초 청세미나자료집, 2014

      39 남주하,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지원 효과분석", 서강대학교 시장경제연구소, 2007

      40 우제현, 홍순영, 이종욱, "신용보증 적정 공급 규모의 산출에 관한 연구", 중소 기업연구원, 2005

      41 임응순, 정군오,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충청지역 산업분석", 한국산학기술 학회, 10(6), pp.1361~1368, 2009

      42 강성호, 홍순영, 채창균, 이종욱, 오승현, 문외솔, "신용보증의 중소기업 일자리창출 및 유지효과", 중소기업금융연구, 34(1), pp.29~58, 2014

      43 이용두, "이용두, 지역신용보증제도의 경제적 성과분석", 한국창업학회지, 5(2), pp.121~143, 2010

      44 김상봉, 김정렬, "중소기업 신용보증지원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6(3), pp.1381~1399, 2013

      45 박양호, "지역균형과 지방분권의 통합 패러다임과 전략", 국토연구원, 247, pp.6~13, 2001

      46 이충언, "금융과 지역경제 성장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산업경제연구원, 26(4), pp.1547~1568, 2013

      47 강만수, 배진성, "소기업 소상공인 신용보증지원 효과 분석보고서", 신용보증 재단중앙회, 2014

      48 김상환, 김흥기, "소기업 소상공인 신용보증지원제도 현황과 효과", 한국경제 의 분석, 22(3), pp.47~99, 2016

      49 남주하, "신용보증의 공공성에 대한 성과분석과 개선과제", 다산경제연구원, 2015

      50 김상봉, 남주하, 김정렬, "신용보증지원 성과분석과 신용보증제도 개선방안", 한국응용경제, 16(2), pp.33~64, 2014

      51 강석훈, 정찬우, 장원창, 김홍기, "서민금융 활성화를 위한 지역신용보증재단 역할방안", 신용보증재단중앙회, 2011

      52 최창열, "신용보증지원의 경제적 성과와 발전방안 최종보고서", 한국생산성학회, 22(3), pp.129~148, 2008

      53 노승종, 한봉희,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지원 효과분석", 중소 기업연구, 30(3), pp.121~143, 2008

      54 강만수, "2013 소기업․소상공인 신용보증지원 효과 분석보고서", 신용보증재 단중앙회, 2013

      55 권의종, 임혜진, 유승훈, "신용보증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가?:한국에서의 경험", 중소기업연구원, 33(1), pp.5~15, 2011

      56 이승후, "우리나라 중소기업 신용보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7 박자연,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컨벤션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24(2), pp.177~196, 2011

      58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2014년 국내외 경제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KODIT, 2013

      59 서충원, 신연수, "계속 금융회사로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효율성 분석산업", 경제연구, 29(4), pp.1543~1564, 2016

      60 서창갑, 이영찬, "자료포괄분석을 이용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효율성 평가", 대한경영학회지, 18(3), pp.1247~1269, 2005

      61 박창일, 서호준, "동아시아지역 신용보증기관의 최근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경영경제, 46, pp.67~95, 2013

      62 배진성, "2013년 지역재단 신용보증지원의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신 용보증재단중앙회, 2014

      63 구정한, "국내 서민금융 현황 및 개선방안-수요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KIF 금융분석보고서, 34(1), pp.1~132, 2016

      64 이상희, "사회적 양극화 해소를 위한 노동시장 불공정성 완화 방안연구", 경 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13

      65 강만수, 배진성, 박상규, "신용보증제도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4), pp.705~720, 2015

      66 노용환, "중소기업 신용보증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Journal of SME finance", 가을호, pp.4-30, 2010

      67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2010년도 신용보증 성과 및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KODIT REPORT, 2011

      68 노용환, "경기침체기 중소기업 신용보증의 성과 및 역할, Journal of SME finance", 가을호, pp.3-38, 2009

      69 우소동, "한국의 신용보증제도에 관한 연구: 지역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70 전남발전연구원, "전남발전연구원,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전남신용보증재단", 2001~2018년 통계자료, 2013

      71 김봉석,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경기도 전시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경상논총, 27(3), pp.47~68, 2009

      72 신종원, "국내 중소기업 신용보증제도의 주요 이슈와 해외 운영사례의 시사점", issue paper, 2013-336, pp.9-79, 2013

      73 조원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 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4 박응삼,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이용한 강원도 산림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5 김홍기, "지역경제와 지역금융 활성화를 위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 제 고 방안", 신용보증재단중앙회, 2009

      76 채희율, "신용보증이 중소기업 성과에 미친 영향과 신용보증제도 개선에 대 한 시사점", 한국경제연구, 30(2), pp.41~65, 2013

      77 박정희, 신상훈, "신용보증지원이 중소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미치는 효 과에 대한 패널분석", 중소기업연구, 32(1), pp.43~64, 2010

      78 권성환,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재정립 방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9 이진욱, "DEA를 이용한 소상공인 자금지원사업의 효율성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0 김성록,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지역 간 산업의 연계성 분석 및 지역산 업연관표의 추계기법",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1 이영기,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 평가 및 향후 발전 방향 모색: 경기신용 보증재단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경기본부, 2011

      82 강만수, 박상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금융서비스 프로세스 연구: 소기업 소 상공인 보증수혜 업체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36(4), pp.215~234, 2014

      83 김연동,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서비스 생산방식 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 치구 시설관리공단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84 강만수, 이근우, 박상규, "소기업 소상공인의 생존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신용보증 재단이 지원한 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연구, 37(1), pp.57~7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