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진 체험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감정요인은 무엇이며, 소진을 어떤 방식으로 대처하고, 어떤 심리적 과정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봄으로써 교사가 체험하는 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81491
청주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상담교육 , 2011. 2
2011
한국어
충청북도
vi, 70 p. ; 26cm
지도교수 :임 진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진 체험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감정요인은 무엇이며, 소진을 어떤 방식으로 대처하고, 어떤 심리적 과정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봄으로써 교사가 체험하는 소...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진 체험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감정요인은 무엇이며, 소진을 어떤 방식으로 대처하고, 어떤 심리적 과정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봄으로써 교사가 체험하는 소진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교사가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정확히 인식해서 소진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절한 대처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5명을 공동연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5회기 동안 체험분석절차에 따라 체험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이 과정에서 실시한 체험사례와 집단합의에 대한 분석 및 해석 그리고 재검증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소진체험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정적 공통요인으로는 좌절감, 무능함, 회의감, 분노였다. 이러한 감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소진 대처방식은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즉, 통제력을 지닌 대처전략, 도피전략, 통제력을 지닌 대처전략과 도피전략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었다.
셋째, 초등교사 소진을 체험할 때 나타나는 심리적 과정은 7단계로 나타났다. 즉, 인식 단계, 의미부여 및 해석 단계, 감정유발단계, 정신적․육체적․정서적 소모단계, 정신적․육체적․정서적 소모단계에 대한 대처단계, 소진단계, 소진 대처단계였다. 이중 가장 중요한 단계는 의미부여 및 해석 단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과정에서 대처 단계는 1차, 2차로 나뉘어 두 번 나타났는데 초등교사들의 1차적 대처법이 효과적이지 못하여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hat is burnout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by studying the common mental factor presented in the process of job burnou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react to it, and the type of mental process involved. ...
This study analyzed what is burnout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by studying the common mental factor presented in the process of job burnou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react to it, and the type of mental process involved.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help the teachers to recognize their own mental condition precisely and react appropriately to escape from the burnout.
To work on this research study,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joint researchers and experimental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these fiv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experimental analysis process over five peri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experimental cases, analysis and explanation of group consensus, and re-verifications that were made in th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couragement, incompetency, skepticism and anger were the emotions commonly shown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job burnou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se emotions were not presented independently but were connected systematically and affected each other.
Second, the management metho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nagement strategy with control, runaway strategy and use of both.
Third, the mental processes shown whil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experiences burnout were categorized into seven phases. In other words, recognition phase, giving a meaning and analyzing phase, emotion induction phase, mental/physical/emotional exhaustion phase, management of mental/physical/emotional exhaustion phase, burnout phase, and burnout management phas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phase was proven to be giving a meaning and analysis phase. The management phase in mental processes was evidenced twice - divid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and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a job burnout due to their ineffective primary method of dealing with i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