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50년대 초등학교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관련문헌과 인터넷자료를 수집‧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50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0년대 초등학교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관련문헌과 인터넷자료를 수집‧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50년...
본 연구는 1950년대 초등학교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관련문헌과 인터넷자료를 수집‧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50년대 아동의 의생활은 6.25 전쟁으로 인해 미군문화와 해외구호품의 영향 으로 서구화가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그 속도는 성인보다 그리고 남아가 여아 보다 더 빠른 현상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으로 점차 안정을 되찾으면서 부모들의 아동복에 대 한 관심이 높아져 고급화되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복을 착용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1950년대 초등학교 의생활 교육은 전반기에는 5,6학년 여학생만 ‘가사’를 통해 배웠으며, 1955년 이후 제1차교육과정기에 준하여 4,5학년 남녀 모두 실과 의생활영역 을 교육 받았고, 6학년에서만 남녀를 구분하여 여학생에게만 교육되었다. 이는 당시 바 느질은 여자의 덕목이라는 성역할인식이 반영된데 기인한다. 그러나 후반기 실과교과 에서 남학생도 4,5학년의 경우 교육을 받았다는 점은 전반기에 비해 양성평등의식이 진일보한 교육으로 본다. 내용은 현재에 비해 다루는 내용이 많고 난이도가 높았는데 이는 사회 재건과 낮은 중학교 진학률로 실제적 자활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1950년대는 6.25전쟁으로 처참했지만 해외의 원조와 국 민의 재건의지는 아동의 의생활에도 놀라운 변화와 성장을 가져왔으며, 시대의 격변에 대응하고 미래를 위해 자활능력을 기르는 교육으로서 초등 가사 및 실과에서의 의생활 교육이 그 일부의 역할을 담당해 내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look at the clothing & textiles and its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in the 1950’s, and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other studies in the future. Literatures and references from the internet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look at the clothing & textiles and its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in the 1950’s, and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other studies in the future. Literatures and references from the internet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lothing & textiles of Korean children in the 1950’s were westernized faster than adults' in Korea as supplies from U.S Army were the main source of their clothing & textiles. As the society stablized, the interest in the children’s clothing grew, and they start to wear different clothing for different occasions. Also, in the earlier phase of the 1950’s, the only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girl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being taught ‘housekeeping‘. After 1955, the clothing & textiles unit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grades four to six, while in the sixth grade, only girls were taught as well. This derives from the old thought that the ability to sew is a virtue for wome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greater in volume and complexity that it is now, as the focus of the education was to allow the students to support themselves, as not many students went to school after sixth grade. Although the lifestyles in Korean people in the 1950’s were appalling due to the Korean War, the support from foreign countries and the will to rebuild has brought a surprising change and growth in the children’s clothing & textiles. It can be concluded tha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fulfilled the role of educating young girls in the 1950’s to help adapt to the sudden change of the era and also cultivate the ability to support themselves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금기숙, "현대패션 100년-1900-2000-" 교문사 2002
2 김호권, "현대교육과정론" 교육출판사 1983
3 정미경, "현대 의생활 변화에 따른 초등실과 의생활 교육내용 타당성 분석" 11 (11): 673-689, 1998
4 유수경, "한국여성양장변천사" 일지사 1990
5 전완길, "한국생활문화 100년-태평양 50년사 부록" 도서출판 장원 1995
6 한겨레뉴스, "포화 속에서도 삶은 계속됐다"
7 최경자, "최경자와 함께한 패션 70년" 재단법인 국제패션디자인연구원 1999
8 최경은, "초등의생활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2
9 문교부, "초등 실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58
10 하상효, "전통 어린이 복식에 관한 연구 : 조선 후기의 복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 금기숙, "현대패션 100년-1900-2000-" 교문사 2002
2 김호권, "현대교육과정론" 교육출판사 1983
3 정미경, "현대 의생활 변화에 따른 초등실과 의생활 교육내용 타당성 분석" 11 (11): 673-689, 1998
4 유수경, "한국여성양장변천사" 일지사 1990
5 전완길, "한국생활문화 100년-태평양 50년사 부록" 도서출판 장원 1995
6 한겨레뉴스, "포화 속에서도 삶은 계속됐다"
7 최경자, "최경자와 함께한 패션 70년" 재단법인 국제패션디자인연구원 1999
8 최경은, "초등의생활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2
9 문교부, "초등 실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58
10 하상효, "전통 어린이 복식에 관한 연구 : 조선 후기의 복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1 최경자, "입학을 앞둔 아동복"
12 문교부, "실과 6학년(여자용)"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58
13 문교부, "실과 6학년"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58
14 문교부, "실과 5학년"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58
15 문교부, "실과 4학년"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58
16 박광희, "섬유‧패션산업" 교학연구사 2003
17 정숭교,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8 정미경, "동․서양의 아동관에 따른 아동복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99-224, 2009
19 유혜자, "교육과정기 이전의 의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고찰 (제1보)-초등가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3 (33): 319-330, 2009
20 이기영, "광복 후 가정생활의 변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21 姜港女, "國民學校 實科 敎育課程 및 敎科書 變遷過程"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22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23 MacPhail. A, "The Well Dressed Child" Schiffer Publishing LTD 1999
24 Martin. L, "The Way We Wore-Fashion Illustrations of Children's Wear 1870-1970" Charles Scriber's Sons 1978
25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The GI and the Kids of Korea May"
26 "TEXASATM"
27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Roaming KOREA South of Iron Curtain. 1950, 6"
28 Sichel, S, "History of Children's Costume" Basford 1983
29 Olian J. A., "Children's Fashions 1900-1950" Dover Publications 2003
30 Rose, C, "Children's Clothes since 1750" Basford 1989
31 에버영, "50년대의 추억"
32 포토로그, "1952년도 초등가사 교과서 1~4"
33 김정아, "1920~1950년대의 아동복식에 관한 연구 :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의미분별법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공학, 기술, 실과’에 대한 이미지 연구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녹색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