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墳墓 출토 銅鏡 연구 = A Study on Copper Mirrors Excavated from the Goryeo Tom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Bronze Age, mirrors have had two functions, including a mysterious aspect and a practical aspect, and their practicality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In particular, beginning in Goryeo, the use of mirrors was highly practical. Specifically,articles excavated together with mirrors from the tomb in which a copper mirror that was subjected to an analysis for this paper was excavated were small articles and practical articles, which were actually used as tableware in ordinary life. All the more,traces of such use in actual life is evidenced by the excavation of mirrors together with a wooden comb, and threaded mirror handles, back up such a fa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71 pieces of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tomb,their appearances were classified into a round shape, a flowery shape, a tomb shape, a s u n f lowe r s h ap e(규화형), a n obl iq ue s h ap e(방형), a cub ic-e d g e s h ap e(우입방형), a hanging shape(현형), and a handle shape. Meanwhile, their patterns were confirmed to have gilsangmun, yongmun, ssangeomun, seogeummun, chohwamun, dong jamun,myeongmun, and somun according to their forms.
      Also, the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tomb were as follows: first, Goryeo mirrors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of Goryeo, second,mirrors manufactured in Goryeo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mirrors, third, Goryeo mirrors manufactured by using the drawing (**도상) of Chinese mirrors, and fourth,mirrors imported from China. Thi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various manufacturing backgrounds of mirror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Goryeo tomb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changing relationship with China, back then.
      번역하기

      Since the Bronze Age, mirrors have had two functions, including a mysterious aspect and a practical aspect, and their practicality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In particular, beginning in Goryeo, the use of mirrors was highly practical. Specifically...

      Since the Bronze Age, mirrors have had two functions, including a mysterious aspect and a practical aspect, and their practicality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In particular, beginning in Goryeo, the use of mirrors was highly practical. Specifically,articles excavated together with mirrors from the tomb in which a copper mirror that was subjected to an analysis for this paper was excavated were small articles and practical articles, which were actually used as tableware in ordinary life. All the more,traces of such use in actual life is evidenced by the excavation of mirrors together with a wooden comb, and threaded mirror handles, back up such a fa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71 pieces of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tomb,their appearances were classified into a round shape, a flowery shape, a tomb shape, a s u n f lowe r s h ap e(규화형), a n obl iq ue s h ap e(방형), a cub ic-e d g e s h ap e(우입방형), a hanging shape(현형), and a handle shape. Meanwhile, their patterns were confirmed to have gilsangmun, yongmun, ssangeomun, seogeummun, chohwamun, dong jamun,myeongmun, and somun according to their forms.
      Also, the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tomb were as follows: first, Goryeo mirrors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of Goryeo, second,mirrors manufactured in Goryeo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mirrors, third, Goryeo mirrors manufactured by using the drawing (**도상) of Chinese mirrors, and fourth,mirrors imported from China. Thi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various manufacturing backgrounds of mirror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Goryeo tomb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changing relationship with China, back th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鏡은 神異的측면과 實用的측면의 두 가지 기능이 있었으나, 점차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특히高麗에 들어와서는 鏡의 사용은 실용성이 높은 일면을 보인다.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銅鏡이 반출되는 墳墓에서 鏡과 공반되는 器物은 小形器皿과 實用器皿으로, 실생활에서 飮食器로 사용되는 器物이다. 더욱이 목제 빗과 함께 鏡이 출토되기도 하고, 鏡鈕에 실이 꿰어진 실생활의 흔적이 찾아지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墳墓出土 銅鏡을 분석하여 본 결과 다양한 제작배경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려분묘 출토銅鏡이 당시 中國과의 교류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期는 고려건국으로부터 11세기 중기까지의 시기로 지방의 분묘에서 中國系 鏡이 확인되지 않는반면, 개성부근에서 遼鏡의 문양과 비슷한 鏡이 수습되고 있어 고려의 중앙과 지방사회의 문화수용에 차등이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2期는 11세기 후기부터 12세기까지로 지방의 고려분묘에서 中國系 鏡이 다수 확인되어, 당시고려의 지방사회에서 중국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새롭게 재구성한 일면이 확인된다.
      3期는 13세기 전기부터 14세기 전기까지의 기간으로 지방분묘에서 中國鏡의 출토는 확인되지않지만, 高麗의 雙魚文鏡이 中國의 무역선인 신안선에서 확인되고 있어, 당시 대륙과의 활발한교역이 이루어진 것을 짐작하게 한다.
      4期는 14세기 중기부터 조선건국까지의 시기로 素文鏡과 漢鏡을 모방한 倣製鏡이 분묘에서확인되고 있어 실용성을 강조한 일면이 엿보인다.
      번역하기

      鏡은 神異的측면과 實用的측면의 두 가지 기능이 있었으나, 점차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특히高麗에 들어와서는 鏡의 사용은 실용성이 높은 일면을 보인다.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銅鏡...

      鏡은 神異的측면과 實用的측면의 두 가지 기능이 있었으나, 점차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특히高麗에 들어와서는 鏡의 사용은 실용성이 높은 일면을 보인다.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銅鏡이 반출되는 墳墓에서 鏡과 공반되는 器物은 小形器皿과 實用器皿으로, 실생활에서 飮食器로 사용되는 器物이다. 더욱이 목제 빗과 함께 鏡이 출토되기도 하고, 鏡鈕에 실이 꿰어진 실생활의 흔적이 찾아지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墳墓出土 銅鏡을 분석하여 본 결과 다양한 제작배경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려분묘 출토銅鏡이 당시 中國과의 교류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期는 고려건국으로부터 11세기 중기까지의 시기로 지방의 분묘에서 中國系 鏡이 확인되지 않는반면, 개성부근에서 遼鏡의 문양과 비슷한 鏡이 수습되고 있어 고려의 중앙과 지방사회의 문화수용에 차등이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2期는 11세기 후기부터 12세기까지로 지방의 고려분묘에서 中國系 鏡이 다수 확인되어, 당시고려의 지방사회에서 중국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새롭게 재구성한 일면이 확인된다.
      3期는 13세기 전기부터 14세기 전기까지의 기간으로 지방분묘에서 中國鏡의 출토는 확인되지않지만, 高麗의 雙魚文鏡이 中國의 무역선인 신안선에서 확인되고 있어, 당시 대륙과의 활발한교역이 이루어진 것을 짐작하게 한다.
      4期는 14세기 중기부터 조선건국까지의 시기로 素文鏡과 漢鏡을 모방한 倣製鏡이 분묘에서확인되고 있어 실용성을 강조한 일면이 엿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京畿道博物館, "龍仁 麻北里 高麗 古墳"

      2 明知大學校博物館, "龍仁 佐恒里 高麗墳墓群 發掘調査報告書" 1994

      3 유교성, "한국상공업사, In 한국문화사대계 Ⅱ"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65

      4 충주박물관, "충주 단월동 고려묘"

      5 강만길, "수공업, In 한국사 5" 국사편찬위원회 1975

      6 한국도로공사,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중산)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2)" 1995

      7 강인구, "무주유동리의 고려고분과 출토유물" (26) : 1980

      8 이상선, "려 사원경제에 대한 고찰" 숭실대 사학과 1 : 1983

      9 국립중앙박물관, "고려銅鏡"

      10 이재창, "고려 사원경제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76

      1 京畿道博物館, "龍仁 麻北里 高麗 古墳"

      2 明知大學校博物館, "龍仁 佐恒里 高麗墳墓群 發掘調査報告書" 1994

      3 유교성, "한국상공업사, In 한국문화사대계 Ⅱ"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65

      4 충주박물관, "충주 단월동 고려묘"

      5 강만길, "수공업, In 한국사 5" 국사편찬위원회 1975

      6 한국도로공사,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중산)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2)" 1995

      7 강인구, "무주유동리의 고려고분과 출토유물" (26) : 1980

      8 이상선, "려 사원경제에 대한 고찰" 숭실대 사학과 1 : 1983

      9 국립중앙박물관, "고려銅鏡"

      10 이재창, "고려 사원경제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76

      11 朴漢男, "高麗의 對金外交政策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3

      12 朱榮民, "高麗時代 墳墓硏究" 新羅大學校 2004

      13 朱榮民, "高麗墳墓 出土 陶器의 性格, In 고려시대의 도기"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0

      14 "高麗史 권2 世家2 太祖二 癸卯二十六年"

      15 高維敏, "高麗‘龍樹殿閣文’鏡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6 황정숙, "高麗 中·後期 思想을 통해본 銅鏡 文樣의 象徵性 硏究"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7 (財)嶺南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古墳群Ⅵ"

      18 鄭良謨, "韓國의 陶磁器" 문예출판사 1991

      19 李蘭暎, "韓國의 銅鏡"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3

      20 姜敬淑, "韓國陶磁史" 一志社 1997

      21 黃沍根, "韓國文樣史-高麗銅鏡에 나타난 文樣을 중심으로" 悅話堂 1996

      22 宋旼球, "韓國人의 옛 造形의 美" 枝文堂 1977

      23 朴珍璟, "金系 高麗銅鏡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8

      24 姜宏宇, "金代銅鏡紋飾之文化習俗考" 5 : 2006

      25 中央文化財硏究院, "蔚珍 烽山里遺蹟"

      26 (財)忠淸文化財硏究院, "舒川 楸洞里 遺蹟"

      27 (財)聖林文化財硏究院, "淸道 大田里 高麗·朝鮮墓群Ⅱ"

      28 聖林文化財硏究院, "淸道 大田里 高麗·朝鮮墓群Ⅰ"

      29 (사)대경문화재연구원, "淸道 大田里 遺蹟:Ⅱ區域"

      30 國立淸州博物館, "淸州明岩洞遺蹟(Ⅱ)"

      31 國立淸州博物館, "淸州明岩洞遺蹟(Ⅰ)"

      32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淸州 龍岩遺蹟(Ⅱ)"

      33 中央文化財硏究院, "沃川 玉覺里 遺蹟"

      34 西海岸高速道路發掘調査團, "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Ⅴ" 1998

      35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慶州 檢丹里 遺蹟"

      36 財團法人 聖林文化財硏究院, "慶州 勿川里 高麗墓群 遺蹟"

      37 韓國土地公社, "慶山 林堂遺蹟(Ⅰ)"

      38 (財)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 新垈里遺蹟Ⅲ"

      39 (財)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 新垈里遺蹟Ⅱ"

      40 忠州博物館, "忠州 虎岩洞遺蹟 發掘調査報告書" 1998

      41 東洋大學校 博物館, "安東 玉洞 住公아파트敷地 內 遺蹟"

      42 한양대학교 박물관, "安山 大阜島 六谷 高麗 古墳群Ⅱ"

      43 한양대학교 박물관, "安山 大阜島 六谷 高麗 古墳群"

      44 忠南大學校博物館, "天安長山里遺蹟"

      45 國立公州博物館, "天安 南山里 高麗墓"

      46 (財)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鳳舞洞古墳群"

      47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大邱 鳳舞洞·助也洞·屯山洞遺蹟"

      48 國立淸州博物館, "國立博物館所藏 韓國의 銅鏡"

      49 小林行雄, "古代の技術" 縞書房 1972

      50 (財)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公州 金鶴洞 古墳群"

      51 中央文化財硏究院, "保寧 九龍里遺蹟"

      52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丹陽 玄谷里 高麗古墳群"

      53 文化財硏究所, "中原 樓岩里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