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통합 내용의 계열화 -낭독을 중심으로 - = The Sequence of Integrated content for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Focusing on read-alou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0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equence of Integrated content for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Integrated content unite similar learning content of each category. The Sequence is order of Integrated content. We will integrate and demonstrate the process of read-aloud the contents of the order prescribed. To find out about Achievement standard of read-aloud, analyze statistical data of from 4th~``09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of read-aloud is a lot to 4th & 5th curriculum. But That content is a little to ``09 curriculum. On Korean textbook is Integrate Achievement standard of read-aloud and reading. In order to integrate content of read-aloud unite similar learning content of each category and Need to add more content. Read-aloud Integrate the atmosphere alive read more, Mean units read more and Punctuation used to know. Principles of the sequence is learning from the simple to the complex, principles of the requirement study and text selection considering the content and forma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equence of Integrated content for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Integrated content unite similar learning content of each category. The Sequence is order of Integrated content. We will integrate and demonstrat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equence of Integrated content for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Integrated content unite similar learning content of each category. The Sequence is order of Integrated content. We will integrate and demonstrate the process of read-aloud the contents of the order prescribed. To find out about Achievement standard of read-aloud, analyze statistical data of from 4th~``09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of read-aloud is a lot to 4th & 5th curriculum. But That content is a little to ``09 curriculum. On Korean textbook is Integrate Achievement standard of read-aloud and reading. In order to integrate content of read-aloud unite similar learning content of each category and Need to add more content. Read-aloud Integrate the atmosphere alive read more, Mean units read more and Punctuation used to know. Principles of the sequence is learning from the simple to the complex, principles of the requirement study and text selection considering the content and forma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

      2 정광순,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학지사 2012

      3 김상욱, "초등학교 아동문학 제재의 위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12 : 151-178, 2001

      4 위승우,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계열성 연구" 仁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 한양선,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7 진선희, "초등 국어 교과서 문학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397-428, 2011

      8 김지영, "읽기 교육과정의 위계성 연구 : 7차와 2007개정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인민지, "유·초 연계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주제중심 통합 교재 개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종섭, "서사문학 교육내용 위계화 방안"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235-261, 2008

      1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

      2 정광순,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학지사 2012

      3 김상욱, "초등학교 아동문학 제재의 위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12 : 151-178, 2001

      4 위승우,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계열성 연구" 仁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 한양선,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7 진선희, "초등 국어 교과서 문학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397-428, 2011

      8 김지영, "읽기 교육과정의 위계성 연구 : 7차와 2007개정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인민지, "유·초 연계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주제중심 통합 교재 개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종섭, "서사문학 교육내용 위계화 방안"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235-261, 2008

      11 권현수,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발전방안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3 (13): 43-73, 2014

      12 김상욱, "동동이로 배우는 국어 교과서" 상상의 힘 2014

      13 천경록, "국어과 읽기 영역의 계열성 원리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0) : 283-309, 2013

      14 신호철, "국어과 문법 영역의 연계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5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 5]"

      16 천경록,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 분석" 국어교육학회 (46) : 535-562, 2013

      17 교육인적자원부, "국어 1-1~6-2 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 2002

      18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1-1~6-2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2011

      19 교육부, "국어 1-1. 1-2. 2-1. 2-2. 3-1. 3-2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2014

      20 유영희, "교육과정 영역 통합의 가능성과 전제 - 문학과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6 : 313-342, 2012

      21 곽춘옥, "공감적 읽기를 위한 동화 낭독" 한국독서학회 (31) : 287-316, 2014

      22 이경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상세화 원리 체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33) : 525-555, 2008

      23 박수민,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내용의 상세화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