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
2 정광순,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학지사 2012
3 김상욱, "초등학교 아동문학 제재의 위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12 : 151-178, 2001
4 위승우,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계열성 연구" 仁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 한양선,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7 진선희, "초등 국어 교과서 문학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397-428, 2011
8 김지영, "읽기 교육과정의 위계성 연구 : 7차와 2007개정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인민지, "유·초 연계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주제중심 통합 교재 개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종섭, "서사문학 교육내용 위계화 방안"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235-261, 2008
1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
2 정광순,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학지사 2012
3 김상욱, "초등학교 아동문학 제재의 위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12 : 151-178, 2001
4 위승우,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계열성 연구" 仁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 한양선,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7 진선희, "초등 국어 교과서 문학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397-428, 2011
8 김지영, "읽기 교육과정의 위계성 연구 : 7차와 2007개정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인민지, "유·초 연계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주제중심 통합 교재 개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종섭, "서사문학 교육내용 위계화 방안"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235-261, 2008
11 권현수,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발전방안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3 (13): 43-73, 2014
12 김상욱, "동동이로 배우는 국어 교과서" 상상의 힘 2014
13 천경록, "국어과 읽기 영역의 계열성 원리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0) : 283-309, 2013
14 신호철, "국어과 문법 영역의 연계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5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 5]"
16 천경록,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 분석" 국어교육학회 (46) : 535-562, 2013
17 교육인적자원부, "국어 1-1~6-2 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 2002
18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1-1~6-2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2011
19 교육부, "국어 1-1. 1-2. 2-1. 2-2. 3-1. 3-2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2014
20 유영희, "교육과정 영역 통합의 가능성과 전제 - 문학과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6 : 313-342, 2012
21 곽춘옥, "공감적 읽기를 위한 동화 낭독" 한국독서학회 (31) : 287-316, 2014
22 이경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상세화 원리 체계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33) : 525-555, 2008
23 박수민,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내용의 상세화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