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난 관리, 재난 거버넌스, 재난 시티즌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9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월호 참사 이후 그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세월호 사고와 재난에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사람과 기관들을 밝혀내는 것에 그치지 않...

      세월호 참사 이후 그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세월호 사고와 재난에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사람과 기관들을 밝혀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고와 재난을 유발하고 악화시킨 보다 구조적인 원인들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재난관리시스템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재난관리시스템의 세세한 기술적 내용들이 아니라 재난관리시스템 설계의 밑바탕이 되는 전문가주의와 과학주의 패러다임에 초점을 맞추어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시민들이 재난의 대비 및 대응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재난 거버넌스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소수의 기술적 전문가들에 과도하게 의지해 온 기존의 재난 관리와는 달리 재난 거버넌스는 재난의 대비 및 대응에 있어 전문가들만이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지식과 지혜를 모아 집단적으로 의제를 설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민주적임과 동시에 사회적 복원력도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난 거버넌스가 잘 작동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시민들 사이에 형성되어야 하는 재난 시티즌십의 내용과 의의에 대한 분석이 제시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many analyses on the causes of the disaster have been tried. Unlike most analyses, this paper pays an attention to the more structural cause of the disaster: the nature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is p...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many analyses on the causes of the disaster have been tried. Unlike most analyses, this paper pays an attention to the more structural cause of the disaster: the nature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is paper argues that the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paradigm has been based on scientism and expertism excluding lay citizens and stakeholders from disaster prevention and response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proposes disaster governance paradigm which includes lay citizens and stakeholders as many and early as possible in those disaster prevention and response processes. This paper concludes that good disaster governance is built on the disaster citizenship of the community memb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기술관료적 재난 관리 패러다임의 한계
      • 3. 재난 대비 및 대응에서의 시민참여
      • 4. 재난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특징과 의의
      • 5. 맺음말: 재난 시티즌십의 모색
      • 1. 머리말
      • 2. 기술관료적 재난 관리 패러다임의 한계
      • 3. 재난 대비 및 대응에서의 시민참여
      • 4. 재난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특징과 의의
      • 5. 맺음말: 재난 시티즌십의 모색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묵,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사회적 대응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7-42, 2008

      2 노진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43-82, 2008

      3 윤순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자원봉사자 연구 : 참여 동기와 사건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45-179, 2008

      4 양기근, "한국의 재난현장 대응체계" 대영문화사 2009

      5 이영희, "참여적 위험 거버넌스의 논리와 실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281-314, 2010

      6 천병철, "조류인플루엔자 및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의 역학" 44 (44): 2007

      7 데이비스, 마이크, "조류독감" 돌베개 2008

      8 이동연, "재난의 통치, 통치의 재난" (가을) : 20-48, 2014

      9 이영희, "재난에 대한 사회적 대응: ‘재난관리’에서 ‘재난거버넌스’로" 81-83, 2014

      10 이명석, "재난대응 거버넌스 분석 - 민간자원봉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7 (17): 163-188, 2008

      1 박재묵,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사회적 대응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7-42, 2008

      2 노진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43-82, 2008

      3 윤순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자원봉사자 연구 : 참여 동기와 사건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45-179, 2008

      4 양기근, "한국의 재난현장 대응체계" 대영문화사 2009

      5 이영희, "참여적 위험 거버넌스의 논리와 실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281-314, 2010

      6 천병철, "조류인플루엔자 및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의 역학" 44 (44): 2007

      7 데이비스, 마이크, "조류독감" 돌베개 2008

      8 이동연, "재난의 통치, 통치의 재난" (가을) : 20-48, 2014

      9 이영희, "재난에 대한 사회적 대응: ‘재난관리’에서 ‘재난거버넌스’로" 81-83, 2014

      10 이명석, "재난대응 거버넌스 분석 - 민간자원봉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7 (17): 163-188, 2008

      11 이재은, "재난관리의 효과성 제고 방안: 시민참여와 거버넌스" 14 (14): 53-81, 2004

      12 이병기, "재난관리에 있어서 위험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태안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를 중심으로" 413-431, 2010

      13 정유선, "재난 거버넌스와 국가-사회 관계: 대만 921 지진의 사례" 아세아문제연구소 57 (57): 7-46, 2014

      14 솔닛, 레베카, "이 폐허를 응시하라" 펜타그램 2014

      15 벡, 울리히,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1997

      16 강윤재, "원전사고와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문성의 정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5 (15): 35-44, 2012

      17 세월호 참사 범국민대책회의, "안전한 사회를 위해 당장 실천해야 할 일"

      18 이병천, "시티즌십- 시민정치론 강의(영어)" 아르케 2009

      19 어윈, 앨런, "시민과학: 과학은 시민에게 복무하고 있는가?" 당대 2011

      20 곽동기, "세월호의 진실" 도서출판 615 2014

      21 권영숙, "세월호와 노동문제 그리고 신자유주의"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전국교수노동조합·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2014

      22 정원옥, "세월호 참사의 충격과 애도의 정치" (가을) : 48-66, 2014

      23 이도흠, "세월호 참사의 근본 원인과 성찰적 대안"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전국교수노동조합,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2014

      24 강수돌, "세월호 사태와 기업·정부의 사회적 책임: 중독조직 이론을 중심으로. 4·16(세월호 사건)에 대한 인문적 성찰과 재난인문학" 2014

      25 홍성태, "세월호 대참사와 사고사회 한국」. 4·16(세월호 사건)에 대한 인문적성찰과 재난인문학" 2014

      26 이영희, "사회적 대응력 향상을 위한 재난 시티즌십" (여름) : 17-19, 2014

      27 우석훈, "내릴 수 없는 배" 웅진지식하우스 2014

      28 이영희, "기술과 시민 : ‘국가재난질환 대응체계 시민배심원회의’의 사례" 비판사회학회 (82) : 216-239, 2009

      29 정태석, "광우병 반대 촛불집회에서 사회구조적 변화읽기 : 불안의 연대, 위험사회, 시장의 정치" 비판사회학회 (81) : 251-272, 2009

      30 Stirling, A., "Vulnerability in Technological Cultures: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d Governance" The MIT Press 305-332, 2014

      31 Porter, T. M., "Trust in Numbers: The Pursuit of Objectivity in Science and Public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32 Beck, Ulrich., "The problem of risk governance" 2014

      33 Rose, N., "The Politics of Life Itself: Biomedicine, Power, and Subjectiv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4 Vaughan, D.,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35 Jasanoff. S., "Technologies of humility: Citizen participation in governing science" 41 (41): 223-244, 2003

      36 Frankenfeld, P., "Technological citizenship: A normative framework for risk studies" 17 (17): 459-484, 1992

      37 Fischer, F., "Technocracy and the Politics of Expertise" Sage Publications 1990

      38 Funtowicz, S.,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251-273, 1992

      39 Wynne, B.,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274-297, 1992

      40 Visvanathan, S., "Science and Citizens: Globalization and the Challenge of Engagement" Zed Books 83-94, 2005

      41 Renn, O., "Risk Governance: Coping with Uncertainty in a Complex World" Earthscan 2008

      42 Voss, J. -P., "Reflexive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ward Elgar 2006

      43 Turner, B. S., "Outline of a theory of citizenship" 24 (24): 189-217, 1990

      44 Eyre, A., "Handbook of Disaster Research" Springer 441-455, 2007

      45 Isin, E. F., "Handbook of Citizenship Studies" Sage 1-10, 2002

      46 Devine-Wright, P., "Governing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Earthscan 63-86, 2007

      47 Tierney, K., "Disaster governanc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dimensions" 37 : 341-363, 2012

      48 Jasanoff. S., "Disaster and the Politics of Interven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4-40, 2010

      49 Dobson, A., "Citizenship and the Enviro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0 Janoski, T., "Citizenship and Civil Society: A Framework of Rights and Obligations in Liberal, Traditional, and Social Democratic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1 Fischer, F., "Citizens, Experts and the Environment: The Politics of Local Knowledge" Duke University Press 2000

      52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416 세월호 민변의 기록" 아름다운사람들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56 1.76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