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의는 전통춤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할 때, 직면하게 되는 범주와 체계의 혼돈을 어떻게 바로 세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춤 형식의 범주와 체계는 일차적으로 형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303142
2010
Korean
685
KCI등재
학술저널
19-50(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의는 전통춤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할 때, 직면하게 되는 범주와 체계의 혼돈을 어떻게 바로 세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춤 형식의 범주와 체계는 일차적으로 형식...
본 논의는 전통춤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할 때, 직면하게 되는 범주와 체계의 혼돈을 어떻게 바로 세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춤 형식의 범주와 체계는 일차적으로 형식을 어떤 관점으로 볼 것인가 즉 과학적 시각에 기초한 춤 일반론에 중심을 둘 것인지 또는 현상과 지각을 강조함으로서 고유성에 중심을 둘 것인지를 먼저 정해야 한다. 또한 정해진 관점에 따라 형식개념을 설정해야 하는데, 예컨대 요소의 배열로서 형식 또는 정보 전달로써 형식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다시 층위를 달리해서 확보해야 할 논리는 전통춤 형식의 구조 및 움직임 원리 등에 관한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정리될 수 있는 것이 전통춤의 범주와 체계인 것이다. 본 논의는 이 각각을 기술의 논리1, 2, 3으로 묶어 정리하고 있으며, 그 주된 방향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춤 형식논의의 출발점은 개념이 아니라, 춤추는 현상 그 자체에 있고, 이것이 산출하는 ``주제적 정서``에 강조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술현상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삶과 역사를 배제한 현상이 아니라, 역사를 안고 있는 현상으로서 전통춤 형식을 보고 있으며, 형식·내용·언어성격의 개념 및 주제적 정서 ``신명``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전통춤 형식을 전승된 형식원리에 의해 조직된 정서적 구성물로 이해하고, 형식을 크게 구조와 원리, 움직임성격과 원리로 구분·접근한다. 그리고 선행연구 속에서 강조되는 연산구조, 마루구조, 맺고 푸는 구조 등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구조와 움직임성격 등을 살펴 전통춤 형식 원리를 명확하게 하고 있다. 셋째, 이상 2가지를 총합하여 범주와 체계를 세워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으로, 언어학과 더불어 범주와 체계를 모색한 이전 논의와 연결된 것이기도 하다. 범주와 체계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전통춤 기술을 위한 것이다. 본 논의에서 전통춤을 기술한다는 것은 현상으로서 춤이 산출하는 미적 특질에 대한 가치 평가를 전제하고 있으며, 전제된 미적 특질의 조직화과정에 대한 체계적 기술을 의미한다. 나아가 기술된 내용은 다시 춤 의미를 찾기 위한 해석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고 봄으로서 현상과 의미를 연결시켜 주는 고리로서 기술을 이해 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춤을 기술한다는 것은 단순한 객관적 서술을 넘어 다각적인 고려 속에 내재된 논리를 필요로 하며, 특히 기술의 체계적 전개를 담보해 주는 범주와 체계는 기술의 논리가 함축·집약될 수밖에 없다. 다소 번잡한 여러 과정을 거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how to eliminate the confusion between the category and the system, which one would encounter 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nd to clearly understand it. The category and system of the form of ...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how to eliminate the confusion between the category and the system, which one would encounter 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nd to clearly understand it. The category and system of the form of dance should be primarily set by determining what perspective should be taken in viewing forms: in other words, it should start by determining whether to focus on general ideas of dance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or to focus on uniqueness by accentuating the phenomenon and the percep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orm in accordance with the endorsed perspective. For instance, whether form should be viewed in relation with the arrangement of elements or viewed in terms of the delivery of information. The logic to be secured in a different dimension relates to the structure, principles of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form and its efforts (effort, emotional curve of tension and relaxation) and principles. It is the system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that could be placed in the right position in this very process. The discussion groups and arranges the above three items in different descriptive logics 1, 2 and 3 and the key direction can be summarized as three ideas. Firstly,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ourse around the form of dance lies not in the concept but in the phenomenon of dancing itself, and the subject matter produced by it turns into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In this vein, by critically embracing the phenomenology of art, it sees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not as an isolated phenomenon devoid of the life and the history but one that bears history while suggesting the concept of form, content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sentiments. Secondly, by understanding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s the emotional matters organized by successive form principles, the discussion largely categorizes it into the principles of the structure system, principle and the efforts principle. It also clarifies the concepts of cross-stitched seam structure, Maru structure and tying and untying structure, and elucidates the principle of it by examining effort. Thirdly, it is to represent by establishing category and system in a concrete manner by summing up the aforementioned two and it is also linked with the previous discussion that searched for the category and system in the context of linguistics. In the end, describing traditional dance is an interpretation inquiring the meaning and an aesthetic approach to asking for values. However, if the logic underpinning the description fails to have a firm basis, the meaning and value would be rendered meaningles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태현, "해금산조연구Ⅱ" 민속원 2008
2 최태현, "해금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3 김지원, "한국춤의 코드와 해석" 한양대학교출판부 2006
4 임학선, "한국춤 동작의 기본구조와 원리" 국립국악원 273-290, 1998
5 전유오, "한국전통춤의 특질 이해와 움직임의 기록 및 분석방법제안" 2 : 22-41, 2002
6 송성아, "한국전통춤 연구를 위한 언어학적 접근은 어떻게 가능한가" 한국무용기록학회 18 : 41-58, 2010
7 채희완, "한국전통무용의 성격" 151-160, 1986
8 허순선, "한국의 춤사위와 무보틀" 형설출판사 2005
9 김지원, "한국무용기록에 있어서 호흡 표기에 관한 의미론과 전개방향 모색" 한국무용기록학회 18 : 1-21, 2010
10 조동일, "탈춤의 구조와 원리" 기린원 1988
1 최태현, "해금산조연구Ⅱ" 민속원 2008
2 최태현, "해금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3 김지원, "한국춤의 코드와 해석" 한양대학교출판부 2006
4 임학선, "한국춤 동작의 기본구조와 원리" 국립국악원 273-290, 1998
5 전유오, "한국전통춤의 특질 이해와 움직임의 기록 및 분석방법제안" 2 : 22-41, 2002
6 송성아, "한국전통춤 연구를 위한 언어학적 접근은 어떻게 가능한가" 한국무용기록학회 18 : 41-58, 2010
7 채희완, "한국전통무용의 성격" 151-160, 1986
8 허순선, "한국의 춤사위와 무보틀" 형설출판사 2005
9 김지원, "한국무용기록에 있어서 호흡 표기에 관한 의미론과 전개방향 모색" 한국무용기록학회 18 : 1-21, 2010
10 조동일, "탈춤의 구조와 원리" 기린원 1988
11 채희완, "탈춤" 대원사 1992
12 채희완, "제천의식과 한국 춤의 원류" 2 : 117-151, 2003
13 채희완, "전통춤동작의 동작언어학적 접근" 8 : 135-166, 2009
14 이보형, "전통음악의 리듬 분석 방법론" 77-120, 1997
15 이보형, "전통기보론에서 박의 집합론과 분할론의 합리성과 효용성" 17 : 19-40, 1995
16 이익환, "의미론개론" 한신문화사 2003
17 Aldrich, V. C, "예술철학" 서광사 2004
18 이애주, "승무의 구조와 춤사위연구" 27 : 259-313, 1995
19 Sachs,C, "세계무용사" 풀빛 1983
20 김열규, "맺힘과 풀림으로 이루어지는 우리 춤" 16-29, 1982
21 Stodelle,E, "도리스 험프리의 테크닉과 창의적 가능성" 한미서관 1995
22 이승헌, "단전호흡" 대원사 1992
23 채희완, "가면극의 민중적 미의식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서울대학교 1977
24 Humphrey,D, "The Art of Making Dances" Princeton Book Company 1959
25 Hofmann,R, "Realms of Meaning" Longman 1995
26 송성아, "Laban의 Effort분석을 통한 처용무의 움직임 연구" 2 : 182-223, 2005
논문 : 춤추는 몸의 영화적 전달 -숨 무브먼트의 작업을 중심으로
논문 : 소마(soma), 정서적 몸(emotional body), 그리고 이들 재료의 창조적 변형 -타말파 연구소의 삶/예술 과정(Life/Art Process)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 |
2020-04-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8-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 |
2014-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
2014-04-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5-06-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0.943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