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0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not alone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ith those purposes, ‘Dementia Health Literacy Survery’ which was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urvey was conducted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0 to 79. Data was selec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In-home interview were conducted by professional interviewers between July and August 2016. This study analyzed total 526 respondents for final analysis, including 128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398 older adults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Common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ere age and education. In addition, a factor affect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whereas a factor influenc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with others was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and depression level.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the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elderly’s health literacy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not alone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ith those purposes, ‘Dementia Health Literacy Survery’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not alone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ith those purposes, ‘Dementia Health Literacy Survery’ which was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urvey was conducted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0 to 79. Data was selec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In-home interview were conducted by professional interviewers between July and August 2016. This study analyzed total 526 respondents for final analysis, including 128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398 older adults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Common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ere age and education. In addition, a factor affect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whereas a factor influenc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with others was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and depression level.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the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elderly’s health literacy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만 60세 이상80세 미만 노인 52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치매정보이해능력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독거노인 128명과 비독거노인 3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수준이 비독거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세부항목 중 글로 쓰인 건강정보 이해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영향요인에서 독거노인이 가지는 차별적인 요인은 사회적지지와 사회참여 특성을 포함한 사회적 관계 요인이었으며, 비독거노인은 외래이용 여부와 우울수준 등 건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가구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구결과를토대로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만 60...

      본 연구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만 60세 이상80세 미만 노인 52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치매정보이해능력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독거노인 128명과 비독거노인 3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수준이 비독거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세부항목 중 글로 쓰인 건강정보 이해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영향요인에서 독거노인이 가지는 차별적인 요인은 사회적지지와 사회참여 특성을 포함한 사회적 관계 요인이었으며, 비독거노인은 외래이용 여부와 우울수준 등 건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가구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구결과를토대로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진,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문해력, 질환관련 지식과 치료지시이행에 관한 연구" 82-, 2013

      2 이수현,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의 비교 및 개선 방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57-65, 2011

      3 서미경, "한국인의 정신건강이해력 평가와 취약집단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313-334, 2013

      4 박현주,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언어적,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4 (4): 49-58, 2014

      5 양숙자, "조선족과 다른 출신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과 영향 요인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 28 (28): 211-227, 2014

      6 홍인화, "입원 환자의 건강정보문해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477-488, 2012

      7 홍현숙, "우리나라 일반성인의 정신건강지식(Mental Health Literacy) 실태조사" 국립서울병원․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2008

      8 이봄이, "성인의 구강건강정보이해능력과 구강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학회 (37) : 87-102, 2014

      9 이규은, "성별에 따른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54-64, 2014

      10 강수진, "서울 지역 일부 중년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 실태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9 (29): 75-89, 2012

      1 이원진,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문해력, 질환관련 지식과 치료지시이행에 관한 연구" 82-, 2013

      2 이수현,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의 비교 및 개선 방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57-65, 2011

      3 서미경, "한국인의 정신건강이해력 평가와 취약집단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313-334, 2013

      4 박현주,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언어적,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4 (4): 49-58, 2014

      5 양숙자, "조선족과 다른 출신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과 영향 요인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 28 (28): 211-227, 2014

      6 홍인화, "입원 환자의 건강정보문해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477-488, 2012

      7 홍현숙, "우리나라 일반성인의 정신건강지식(Mental Health Literacy) 실태조사" 국립서울병원․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2008

      8 이봄이, "성인의 구강건강정보이해능력과 구강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학회 (37) : 87-102, 2014

      9 이규은, "성별에 따른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54-64, 2014

      10 강수진, "서울 지역 일부 중년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 실태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9 (29): 75-89, 2012

      11 이수현,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과 건강태도" 여성연구소 22 (22): 165-200, 2012

      12 양정란,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26 (26): 29-38, 2014

      13 김난희, "독거노인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당뇨 지식이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영향" 306-, 2016

      14 정정희,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 관련 위험인식과 건강행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65-73, 2014

      15 김영선,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앤더슨 행동모형 적용" 한국노인복지학회 (65) : 35-57, 2014

      16 이지은,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427-1438, 2015

      17 정은영,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이행" 한국성인간호학회 27 (27): 251-261, 2015

      18 권명순, "고혈압 환자의 건강 문해력과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190-202, 2013

      19 안지숙,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 개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6 (26): 330-341, 2015

      20 박병현,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 이용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42) : 111-135, 2016

      21 김성은,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58-570, 2013

      22 김정은,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대학병원 외래 방문객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회 17 (17): 27-34, 2011

      23 Chew, L. D., "Validation of screening questions for limited heatlh literacy in a large VA outpatient population" 23 (23): 561-566, 2008

      24 Patel, P. J., "Testing the utility of the newest vital sign(NVS)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in older American patients" 85 : 505-507, 2011

      25 Vaglio, J., "Testing the performance of the ENRICHD Social Support Instrument in cardiac patients" 2-24, 2004

      26 Uchino, B. N., "Social support and health: A review of physiological processes potentially underlying links to disease outcomes" 29 (29): 377-387, 2006

      27 Weiss. B. D.,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costs and very low literacy skills in a medically needy and indigent Medicaid population" 17 : 44-47, 2004

      28 Jones, M., "Oral health literacy among adult patients seeking dental care" 138 (138): 1199-1208, 2008

      29 Ratzan, S. C.,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urrent bibliographies in medicines: Health Literac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30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action plan to improve health literacy" 2010

      31 Speros, C., "More than words: Promoting health literacy in older adults" 14 (14): 2009

      32 Jorm, A. F., "Mental health literacy : Public knowledge and belief about mental disorder" 177 : 396-401, 2000

      33 Kutcher, S., "Mental health literacy : Past, Present, and Future" 61 (61): 154-158, 2016

      34 McDougall, G. J., "Memory performance, health literac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ommunity residing older adults" 61 : 70-75, 2012

      35 Sudore, R. L., "Limited literacy in older people and disparities fin health and healthcare access" 54 (54): 770-776, 2006

      36 Wister, A. V., "Lifelong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ources in enabling health literacy among older adults" 22 (22): 827-854, 2010

      37 Gracie, B., "Inadequate health literacy among elderly immigrants :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and service utilization factors" 22 : 785-895, 2012

      38 Wolf, M. S., "In search of"low health literacy" : Threshold vs. gradient effect of literacy on health status and mortality" 70 : 1335-1341, 2010

      39 Lee, S. Y., "Health liter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35 : 191-201, 2009

      40 Sansom-Daly U. M., "Health literacy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 An updated review" 5 (5): 106-118, 2016

      41 Lee, S. Y., "Health literacy and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Medicare enrollees in a managed care plan" 25 (25): 324-337, 2006

      42 Chesser, A. K., "Health literacy and older adults : A systematic Review" 2 : 1-13, 2016

      43 Baker, D. W.,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167 : 1305-1509, 2007

      44 Wynia, M. K., "Health literacy and communication quality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15 : 102-115, 2010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Literacy"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13

      46 Baker, D. W.,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the risk of hospital admission among Medicare managed care enrollees" 92 : 1278-11283, 2002

      47 Smith, S. K., "Exploring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care decisin making across different education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groups" 69 : 1808-1812, 2009

      48 Chew, L. D.,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36 (36): 588-594, 2004

      49 Lee, H. Y., "Barriers to cancer screening in Hmong Americans: The influence of health care accessibility, culture, and cancer literacy" 35 (35): 302-314, 2010

      50 Aihara, Y., "Barriers and catalysts of nutrition lieracy among elderly Japanese people" 26 (26): 421-431, 2011

      51 Ganzer, C. A., "Associations between working memory, health literacy, and recall of the signs of stroke among older adults" 44 : 236-243, 2012

      52 Mosher, H. J.,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with medication knowledge, adherence, and adverse drug events among elderly veterans" 17 : 241-251, 2012

      53 Diviani, N., "Association between cancer literacy and cancer-related behaviour : evidence from Ticino, Switzerland" 3 : 92-97, 2014

      54 정순둘, "Andersen과 Newman 모델을 활용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노인집단과 다른 연령집단간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93-218, 2016

      55 Manganello, J. A, "An exploratory study of health literacy and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39 (39): 221-239, 2016

      56 정경희,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57 통계청, "2010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집계 결과"

      58 이민홍,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신사회적 위험 대응전략" 보건복지부, 동의대학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