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교과로서의 목표 규명을 위한 연구로, 가정과교육 분야의 학문적 이론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필수교과로서의 입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36316
왕석순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2003
Korean
가정과교육 ; 목표 ; 자립적 생활교과 ; 실천적 문제해결교과 ; 창의적 가족문화 창달 교과
59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9-99(21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교과로서의 목표 규명을 위한 연구로, 가정과교육 분야의 학문적 이론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필수교과로서의 입지를...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교과로서의 목표 규명을 위한 연구로, 가정과교육 분야의 학문적 이론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필수교과로서의 입지를 다지기 위한 기초적인 논리 개발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해당 교과의 연구경향을 반영한 교과교육의 학술 연구논문들을 고찰의 대상으로 하였고, 그 결과를 목표 도출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목표를 지식기반산업사회에서 가정과교육이 추구해야 할 교과로서의 목표로 도출하였다.
첫째, 자립적 생활인을 양성하기 위한 생활교과로서의 목표이다.
둘째, 개인적 능력의 개발과 관련한 목표로서, 다양한 생활장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실천적(practical)문제해결 교과로서의 목표이다. 실천적 생활인은 가정생활과 일터에서의 생활, 경력개발을 위한 개인적 일에서 조화를 유지하고, 이러한 다양한 생활장면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실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는 문제해결자이다.
셋째, 현대 사회에 적절한 새로운 가족의 문화를 창달하는 창조적 생활인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이론적 결과에 대한 비판적 검증이 후속연구에서 지속되어야 하며, 특히 이론적인 목표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검증절차로서 양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후속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goal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tarting from the needs for basic research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in home economics and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logics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home econ...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goal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tarting from the needs for basic research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in home economics and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logics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 prerequisite course in a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is article thoroughly studied curriculum documents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and curriculum papers reflecting research tren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the results as data to identify the theoretical goal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become independent members of society, on the basis of daily lives.
Second, with respect to personal capability developmen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help to identify and solve various life-related problems in a practical problem solving. Practical members of society should be able to maintain balance in family, job, and personal career, solving the aforementioned problems in a practical way.
Third,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make contributions to promoting a creative family culture in which life styles tailored for personal needs are created (education for creative members of society)
The theoretical results of the study should be verified in a critical manner,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that will lead to agreement among experts as to the theoretical goals.
중학교「기술·가정」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만족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37 | 1.6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