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MOOC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교수실재감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Learning, Teach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K-MOOC Set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77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K-MOOC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변인과교수자의 교수실재감 변인이 인지된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K-MOOC 개발․운영 시 개선 방향을 모...

      본 연구에서는 K-MOOC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변인과교수자의 교수실재감 변인이 인지된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K-MOOC 개발․운영 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서울 소재의 K대학에서 운영중인 K-MOOC 3개 강좌를 수료한 106명의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3단계에 걸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변인의 조절요인이 p=0.008로 p<0.01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수실재감 변인의 수업설계, 학습점검 요인모두 p=0.000로 p<0.001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두 가지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K-MOOC 학습자의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내용에 대해 스스로질문하고, 자신의 속도에 맞춰 내용과 속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제공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교수설계와 지속적인 학습점검을 통해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실재감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미래 교육을 주도할 수 있는K-MOOC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경,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2 교육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최고의 강의는?"

      3 기영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7

      4 박태정,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46-457, 2016

      5 이하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영어 학습 흥미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 오혜섭, "학습계획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최정숙,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김소영, "중학생의 학업성취 정도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탐색"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243-264, 2012

      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연구소 3 (3): 47-70, 2002

      10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14 (14): 177-204, 1998

      1 김주경,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2 교육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최고의 강의는?"

      3 기영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7

      4 박태정,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46-457, 2016

      5 이하나, "학습자 변인에 따른 영어 학습 흥미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 오혜섭, "학습계획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최정숙,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김소영, "중학생의 학업성취 정도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탐색"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243-264, 2012

      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연구소 3 (3): 47-70, 2002

      10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14 (14): 177-204, 1998

      11 이원석,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 개발 : 중학교 기술산업교과의 제조공업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2 곽수란, "인문계 학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9, 2006

      13 유화영, "이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477-497, 2019

      14 최정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21-244, 2012

      15 이인숙, "이러닝 환경에서 정서지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227-248, 2012

      16 박락영,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전략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17 진성희, "이러닝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지원을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연구" 2016 (2016): 312-326, 2016

      18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 실재감, 학업성취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7

      19 정재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16 (16): 107-135, 2000

      20 박진형, "원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관련요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1 이영,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2 김세련,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3 권성연,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7 (27): 535-560, 2011

      24 배예선,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3005-3012, 2014

      25 김자미,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 FUN이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한국비교교육학회 25 (25): 293-320, 2015

      26 방선희,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 전략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8 (8): 93-112, 2012

      27 조성연,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증진 프로그램 개발" 원격교육연구소 4 (4): 23-50, 2008

      28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교육개발원 38 (38): 55-79, 2011

      29 최부기,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315-334, 2011

      30 남상은, "사례연구를 통한 K-MOOC에서 상호작용의 정도와 패턴의 변화 양상 탐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735-762, 2017

      31 김보은, "도덕과 수업에서의 학습동기가 학업성취도와 도덕적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2 구예성, "대학의 K-MOOC 개발과 운영에 대한 요구분석 및 개선방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33 박혜정, "대학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변인들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53, 2008

      34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연구소 11 (11): 29-56, 2010

      35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6 이원휘, "고등학생의 시간 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7 고은현, "e-러닝에서의 교수실재감 구인 요인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63-287, 2006

      38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19 (19): 41-68, 2003

      39 Li, Q., "Understanding engagement in MOOCS" 605-606, 2016

      40 Shin, 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24 (24): 69-86, 2003

      41 Paulsen, M. B., "The conditional and interaction effects of epistemological belief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 Motivational strategies" 46 (46): 731-768, 2005

      42 Thornam, C. L., "Teaching presence in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University of Colorado at Denver 2003

      43 Noddings, N., "Starting at home: Caring and social poli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44 Hofer, B. H.,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Guilford Press 57-85, 1998

      45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1997

      46 Brookfield, S.,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Jossey-Bass 1985

      47 Maki, R. H., "Prediction of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and lecture courses" 28 : 197-219, 2003

      48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49 Wang, Y. -S., "Measuring e-learning systems success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23 (23): 1792-1808, 2007

      50 조문흠,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을 활용한 대학 정규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유형별 학습 패턴 분석" 한국교육학회 53 (53): 193-223, 2015

      51 Jordan, K., "Massive Open Online Course completion rates revisited : Assessment, length and attrition" 16 (16): 341-358, 2015

      52 Khalil, H., "MOOCs completion rates and possible methods to improve retention: A literature review" AACE 1236-1244, 2014

      53 정연지, "MOOC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교수자, 학습지원환경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54 Littlejohn, A., "Learning in MOOCs : Motivations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MOOCs" 29 (29): 40-48, 2016

      55 주영주,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3 (13): 185-207, 2017

      56 변문경, "K-MOOC 수강 완료자의 초기 수강 동기와 수강 지속 동기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5-154, 2017

      57 Jordan, K., "Initial trends in enrolment and completion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15 (15): 133-169, 2014

      58 Ho, A. D., "HarvardX and MITx: The first year of open online courses" 2014

      59 Swan, K., "Elements of quality online rducation into the mainstreams" 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 63-79, 2004

      60 Kizilcec, R. F., "Deconstructing disengagement: Analyzing learner subpopulations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CM Press 170-179, 2013

      61 Garrison, D. R.,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n" 2 (2): 87-105, 2000

      62 Zimmerman, B. J., "Construct validation of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80 (80): 284-290, 1988

      63 Firmin, R., "Case study : Using MOOCs for conventional college coursework" 35 (35): 178-201, 2014

      64 Shah, D., "By the numbers: MOOCs in 2019"

      65 Picciano, A. G., "Beyond student perceptions : Issues i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6 (6): 21-40, 2002

      66 Shea, P., "A study of teaching presence and student sense of learning community in fully online and web-enhanced college courses" 9 (9): 175-190, 2006

      67 Zimmerman, B. J.,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learning" 81 (81): 329-339, 1989

      68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년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 MOOC)운영계획 발표자료"

      69 교육부, "16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운영계획마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송통신교육연구소 -> 원격교육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4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