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업화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의 구성과 교수·학습의 실제 : 스트랜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organization of a thematically integrated unit and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on industrialization:focusing on the strand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91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rious approaches to integrating social studies and the NCSS’s thematic strands centered education process, analyze the currently u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ealing with industrialization and 11 types of textbooks, and organize an integrat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unit on industrialization centered around the thematic strands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its aim, this paper has set the following method. Through reference research, the thematic strands curriculum was first examined as an industrialization concept and content, a type and form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unit that i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matic strands 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organization by examining the concepts and content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as a theoretical basi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being debated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by considering various theorie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Next, building on the theorie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teaching goals and content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was analyzed, after which relevant strands were selected and their performance expectations was analyzed and presented. The purpose was to tak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ing goals and content,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f the 7th curriculum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and connect the integration centered on thematic strands to such things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selection of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currently being used, thus develop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 that is consistent in its social studies educational goals and integrated unit content organization.
      Finally,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 of industrializ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 the integrated unit on industrialization was re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goal was set on cultivating a comprehensive perception, harmonious attitude, and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necessary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This is because the student of social studies must, as future citizens, foster the ability to rationally solve many types of complex individual or social problems in today’s society. Second, the elements of content structure were composed of thematic strands. Because this paper focused mainly on content structure in find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plan, the thematic strands as content structure elements can be considered the most essential research content. Specifically, in order to cultivate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required in social studies and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concerning the coming future society, of the ten NCSS strand areas the following eight were proposed: 1) Time, Continuity, and Change; 2) People, Places, and Environments; 3) Individual development and Identity; 4) Individual, Groups, and Institution; 5) Power, Authority, and Governance; 6)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7)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8) Global Connections. Third,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f currently u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was analyzed and reorganized to fit thematic strands. The content structure elements of integrated unit centered on thematic strands on industrialization were composed of the above eight thematic strands, and a unit called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change, resolving social problems” was set as content structure focus in formulating an actual lesson.

      The significance of the abov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 centered on thematic strand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ctual teaching in schools is as follows.
      First, using the theoretical basis of reorganizing the unit content on industrialization, of the ten thematic strands area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by NCSS in the United States, eight thematic strands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in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This s hows that the learning content scatter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can be reorganized not as one thematic strand but as a variety of thematic strands according to the dictat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philosophy, goal, and basic direction.
      Second, the selection and organizing principles of learning goals and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NCSS’s strands and their implications to the content organization of new integrated unit were discovered.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integrated unit with the theme of industrialization can promote an organic integration between value-related elements such as those dealing with knowledge of industrialization, functional elements for solving social problem related to the society, women, cities and farms, the environment, and labor,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s a democratic citizen, and higher level reasoning.
      Third, the content organization elements between textbooks were set using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integrated unit with the theme of industrialization, and then the content organization procedure for integrated units was established. For the content organization procedure, the learning goals and content of textbooks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were selected, their content elements were then selected as theme-centered strands, and the criteria that could evaluate their integrated goals and content regarding industrialization were presented as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Because the content of the integrated unit composed through this procedure was organized in a trans-disciplinary manner by breaking down the walls of each of the independent disciplines, it will contribute to a more practical organiza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s and teaching and learning them.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by presenting an integrated unit focusing on industrialization, it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through a process of searching for ways to perceive and re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of learning to be citizens of a democratic society.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unit organization will practica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s needed in actual lessons and raise the possibility of a more detailed and practical integration at schools. Furthermore, through a harmonious and comprehensive viewpoint and perception of industrialization, it will cultivate such abilities as problem solving, critical reasoning, higher-level reasoning, and even democratic citizenship, qualities that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demands from social studie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rious approaches to integrating social studies and the NCSS’s thematic strands centered education process, analyze the currently u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ealing with industrialization and 11 types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rious approaches to integrating social studies and the NCSS’s thematic strands centered education process, analyze the currently u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ealing with industrialization and 11 types of textbooks, and organize an integrat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unit on industrialization centered around the thematic strands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its aim, this paper has set the following method. Through reference research, the thematic strands curriculum was first examined as an industrialization concept and content, a type and form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unit that i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matic strands 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organization by examining the concepts and content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as a theoretical basi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being debated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by considering various theorie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Next, building on the theorie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teaching goals and content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was analyzed, after which relevant strands were selected and their performance expectations was analyzed and presented. The purpose was to tak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ing goals and content,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f the 7th curriculum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and connect the integration centered on thematic strands to such things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selection of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currently being used, thus develop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 that is consistent in its social studies educational goals and integrated unit content organization.
      Finally,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 of industrializ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 the integrated unit on industrialization was re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goal was set on cultivating a comprehensive perception, harmonious attitude, and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necessary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This is because the student of social studies must, as future citizens, foster the ability to rationally solve many types of complex individual or social problems in today’s society. Second, the elements of content structure were composed of thematic strands. Because this paper focused mainly on content structure in finding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plan, the thematic strands as content structure elements can be considered the most essential research content. Specifically, in order to cultivate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required in social studies and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concerning the coming future society, of the ten NCSS strand areas the following eight were proposed: 1) Time, Continuity, and Change; 2) People, Places, and Environments; 3) Individual development and Identity; 4) Individual, Groups, and Institution; 5) Power, Authority, and Governance; 6)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7)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8) Global Connections. Third,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f currently u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was analyzed and reorganized to fit thematic strands. The content structure elements of integrated unit centered on thematic strands on industrialization were composed of the above eight thematic strands, and a unit called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change, resolving social problems” was set as content structure focus in formulating an actual lesson.

      The significance of the abov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 centered on thematic strand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ctual teaching in schools is as follows.
      First, using the theoretical basis of reorganizing the unit content on industrialization, of the ten thematic strands area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by NCSS in the United States, eight thematic strands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in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This s hows that the learning content scatter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can be reorganized not as one thematic strand but as a variety of thematic strands according to the dictat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philosophy, goal, and basic direction.
      Second, the selection and organizing principles of learning goals and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NCSS’s strands and their implications to the content organization of new integrated unit were discovered.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integrated unit with the theme of industrialization can promote an organic integration between value-related elements such as those dealing with knowledge of industrialization, functional elements for solving social problem related to the society, women, cities and farms, the environment, and labor,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s a democratic citizen, and higher level reasoning.
      Third, the content organization elements between textbooks were set using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integrated unit with the theme of industrialization, and then the content organization procedure for integrated units was established. For the content organization procedure, the learning goals and content of textbooks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were selected, their content elements were then selected as theme-centered strands, and the criteria that could evaluate their integrated goals and content regarding industrialization were presented as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Because the content of the integrated unit composed through this procedure was organized in a trans-disciplinary manner by breaking down the walls of each of the independent disciplines, it will contribute to a more practical organiza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s and teaching and learning them.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by presenting an integrated unit focusing on industrialization, it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through a process of searching for ways to perceive and re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of learning to be citizens of a democratic society.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unit organization will practica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s needed in actual lessons and raise the possibility of a more detailed and practical integration at schools. Furthermore, through a harmonious and comprehensive viewpoint and perception of industrialization, it will cultivate such abilities as problem solving, critical reasoning, higher-level reasoning, and even democratic citizenship, qualities that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demands from social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과 통합의 다양한 접근 방법과 NCSS의 주제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산업화와 관련된 현행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11종류를 분석한 후 이를 통하여 선정한 주제 스트랜드를 중심으로 산업화 관련 고등학교 사회과 통합 단원을 구성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설정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산업화의 개념과 내용, 통합교육과정의 유형 및 형태 그리고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으로서의 주제 스트랜드 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로서 산업화와 관련된 개념과 내용을 알아보고, 사회과와 통합 교육과정의 제반 이론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 구성의 이해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통합단원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을 배경으로 산업화와 관련된 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내용 분석을 한 후 관련 스트랜드를 선정하여 성취기준을 분석 및 제시하였다. 7차 교육과정의 산업화 관련 학습 목표 및 내용 분석, 성취기준을 찾아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을 현행 사회과의 성격,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등에 연결시킴으로서 사회과 교육 목표와 통합 단원 내용 조직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는 사회과 통합 단원 개발을 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업화의 개념과 내용,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사회과 통합 단원 개발에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산업화에 관한 통합 단원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였다. 첫째, 교육목표를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필요한 종합적인 인식과 조화로운 태도, 합리적인 의사결정력 함양에 두었다. 이것은 사회과에서의 미래 시민으로서의 학생은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복잡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내용 조직요소는 주제 스트랜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조직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사회과 통합 방안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내용조직 요소로서의 주제 스트랜드가 가장 핵심적인 연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과에서 요구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NCSS의 10개 스트랜드 영역 중 ① 시간, 영속성, 변화 ② 사람, 장소, 환경 ③ 개인의 발전과 정체성 ④ 개인, 집단, 제도 ⑤ 권력, 권위, 통치 ⑥ 생산, 분배, 소비 ⑦ 과학, 기술, 사회 ⑧ 세계적 관계를 제시하였다. 셋째, 성취기준은 산업화에 관련된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후 주제 스트랜드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산업화에 관한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 단원은 8가지 주제 스트랜드를 내용조직 요소로 하고, ‘산업화와 사회적 변화, 사회 문제의 해결’이라는 단원을 내용조직 초점으로 설정하여 실제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상과 같은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 단원 개발을 통해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방향과 일선 학교 현장에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화 관련 단원 내용 재구성의 이론적 근거로 미국 NCSS의「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에서 제시된 10개 영역의 주제 스트랜드 중 7차 사회과 교과서의 산업화와 관련된 8가지 주제 스트랜드를 추출 및 제시하였는데, 이는 사회과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학습 내용을 사회과 교육의 철학, 목표, 기본방향의 설정에 맞춰 하나의 주제 스트랜드가 아닌 다양한 주제 스트랜드로 재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 미국 NCSS의 스트랜드를 통해 학습 목표와 내용요소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를 분석하여 새로운 통합된 단원의 내용구성에 주는 함의를 찾았다. 산업화를 주제로 한 통합 단원의 내용 구성은 산업화에 대한 지식관련 요소, 사회문제·여성문제·도시문제·농촌문제·환경문제·노동문제와 관련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능적 요소, 민주시민으로서의 문제해결력, 고급사고력 등을 통한 가치관련 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통합을 추구할 수 있다.
      셋째, 산업화를 주제로 한 통합 단원 내용 구성을 통해 교과서간 내용 조직 요소를 설정하여 통합 단원의 내용 구성 절차를 설정하였다. 내용구성의 절차는 산업화와 관련된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내용을 선정하고, 이들 내용요소를 주제중심의 스트랜드로 선정한 후, 이들 산업화에 관한 통합 목표와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구성된 통합 단원은 각 학문의 독립적인 영역의 벽을 허물어 초학문적으로 내용을 구성한 것이므로, 학교 현장에서 보다 실질적인 사회과 통합단원의 구성과 교수·학습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산업화를 중심으로 통합 단원을 제시함으로서 민주시민으로서의 시민성과 산업화로 인한 각종 사회문제의 인식과 해결의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통합단원의 구성은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학교 현장에서의 통합의 현실적 가능성과 실제 수업에 필요한 통합 단원 개발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며, 더불어 산업화에 관한 조화롭고 종합적인 시각과 인식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사회과에 요구되는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고급 사고력, 더 나아가 민주 시민성 등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과 통합의 다양한 접근 방법과 NCSS의 주제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산업화와 관련된 현행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11종류를 분석한 후 이를 통...

      본 연구는 사회과 통합의 다양한 접근 방법과 NCSS의 주제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산업화와 관련된 현행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11종류를 분석한 후 이를 통하여 선정한 주제 스트랜드를 중심으로 산업화 관련 고등학교 사회과 통합 단원을 구성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설정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산업화의 개념과 내용, 통합교육과정의 유형 및 형태 그리고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으로서의 주제 스트랜드 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로서 산업화와 관련된 개념과 내용을 알아보고, 사회과와 통합 교육과정의 제반 이론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 구성의 이해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통합단원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을 배경으로 산업화와 관련된 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내용 분석을 한 후 관련 스트랜드를 선정하여 성취기준을 분석 및 제시하였다. 7차 교육과정의 산업화 관련 학습 목표 및 내용 분석, 성취기준을 찾아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을 현행 사회과의 성격,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등에 연결시킴으로서 사회과 교육 목표와 통합 단원 내용 조직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는 사회과 통합 단원 개발을 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업화의 개념과 내용,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사회과 통합 단원 개발에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산업화에 관한 통합 단원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였다. 첫째, 교육목표를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필요한 종합적인 인식과 조화로운 태도, 합리적인 의사결정력 함양에 두었다. 이것은 사회과에서의 미래 시민으로서의 학생은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복잡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내용 조직요소는 주제 스트랜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조직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사회과 통합 방안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내용조직 요소로서의 주제 스트랜드가 가장 핵심적인 연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과에서 요구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NCSS의 10개 스트랜드 영역 중 ① 시간, 영속성, 변화 ② 사람, 장소, 환경 ③ 개인의 발전과 정체성 ④ 개인, 집단, 제도 ⑤ 권력, 권위, 통치 ⑥ 생산, 분배, 소비 ⑦ 과학, 기술, 사회 ⑧ 세계적 관계를 제시하였다. 셋째, 성취기준은 산업화에 관련된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후 주제 스트랜드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산업화에 관한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 단원은 8가지 주제 스트랜드를 내용조직 요소로 하고, ‘산업화와 사회적 변화, 사회 문제의 해결’이라는 단원을 내용조직 초점으로 설정하여 실제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상과 같은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통합 단원 개발을 통해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방향과 일선 학교 현장에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화 관련 단원 내용 재구성의 이론적 근거로 미국 NCSS의「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에서 제시된 10개 영역의 주제 스트랜드 중 7차 사회과 교과서의 산업화와 관련된 8가지 주제 스트랜드를 추출 및 제시하였는데, 이는 사회과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학습 내용을 사회과 교육의 철학, 목표, 기본방향의 설정에 맞춰 하나의 주제 스트랜드가 아닌 다양한 주제 스트랜드로 재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 미국 NCSS의 스트랜드를 통해 학습 목표와 내용요소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를 분석하여 새로운 통합된 단원의 내용구성에 주는 함의를 찾았다. 산업화를 주제로 한 통합 단원의 내용 구성은 산업화에 대한 지식관련 요소, 사회문제·여성문제·도시문제·농촌문제·환경문제·노동문제와 관련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능적 요소, 민주시민으로서의 문제해결력, 고급사고력 등을 통한 가치관련 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통합을 추구할 수 있다.
      셋째, 산업화를 주제로 한 통합 단원 내용 구성을 통해 교과서간 내용 조직 요소를 설정하여 통합 단원의 내용 구성 절차를 설정하였다. 내용구성의 절차는 산업화와 관련된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내용을 선정하고, 이들 내용요소를 주제중심의 스트랜드로 선정한 후, 이들 산업화에 관한 통합 목표와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구성된 통합 단원은 각 학문의 독립적인 영역의 벽을 허물어 초학문적으로 내용을 구성한 것이므로, 학교 현장에서 보다 실질적인 사회과 통합단원의 구성과 교수·학습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산업화를 중심으로 통합 단원을 제시함으로서 민주시민으로서의 시민성과 산업화로 인한 각종 사회문제의 인식과 해결의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통합단원의 구성은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학교 현장에서의 통합의 현실적 가능성과 실제 수업에 필요한 통합 단원 개발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며, 더불어 산업화에 관한 조화롭고 종합적인 시각과 인식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사회과에 요구되는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고급 사고력, 더 나아가 민주 시민성 등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과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과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산업화의 개념과 내용 7
      • 2. 사회과와 통합교육과정 17
      • 3. 통합교육과정의 유형과 형태 19
      • 4. 주제 스트랜드 교육과정의 특징과 내용 24
      • Ⅲ. 산업화 주제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과 스트랜드 선정 43
      • 1. 산업화 관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43
      • 2. 산업화 관련 내용 선정·조직 및 스트랜드 선정 71
      • 3. 산업화 관련 행동목표별 성취기준 79
      • Ⅳ. 산업화 주제에 관한 통합 단원 구성의 실제 83
      • 1. 산업화 관련 통합 단원의 구성 체계 83
      • 2. 산업화 관련 스트랜드 중심 통합 단원의 구성 85
      • 3. 산업화 관련 통합 단원 교수-학습의 실제 88
      • Ⅴ. 결론 및 제언 98
      • <참고문헌> 102
      • ABSTRACT 1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