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중매체에 표상된베트남 전쟁과 젠더 이데올로기: 1964∼1973년 『선데이서울』, 『여원』을 중심으로 = The Vietnam War and Gender Ideology of Media Representation: focused on Sunday Seoul and YeoWon between 1964 and 1973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eemergence of media in the Vietnam War, which is an ideological device that has made sustainable the Vietnam invasion. Particularly, I will look at magazines such as "Sunday Seoul" and "YeoWon", which are popular magazines that the public can easily see in daily life.
      Through the two magazines, the memory of the Vietnam War reproduces the gender ideology of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femininity/masculinity. In the 1960s and 1970s, Korean society mobilized Korean women and Vietnamese women to operate ideologies such as patriarchy, militarism, developmentalism, and anti-communism, among which women were located. The media constantly created discourses such as ‘maternal love’ and ‘good motherhood’ to justify the Vietnam dispatch. And imply letters and concert performances for soldiers as important signs of comfort and morale for soldiers.
      Vietnamese women are seen to be mixed in both 'gender' and 'racial' perspectives, and on the other hand, images of pure South Vietnamese women and Viet Cong women are ambivalently mixed. In order to reveal the 'evil of the Viet Cong' in the composition of 'Evil=Viet Cong, Justice=Korean troops', a Vietnamese woman is mobilized, or in other respects, it is represented as a 'cheerleader' of the Korean army. Romance and marriage with Korean soldiers and Vietnamese women often appeared in the media, which was a great way to strengthen the image of Korean soldiers as ‘saviors’ and ‘guardians’ of Vietnamese women.
      Korean soldiers show the desire of class ascension distinguished from the Vietnamese, and the desire of orientalism in Asia to dominate the women, making Vietnam and Vietnam women a colony in Korea.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reemergence of media in the Vietnam War, which is an ideological device that has made sustainable the Vietnam invasion. Particularly, I will look at magazines such as "Sunday Seoul" and "YeoWon", which are popular magazines tha...

      This paper analyzes the reemergence of media in the Vietnam War, which is an ideological device that has made sustainable the Vietnam invasion. Particularly, I will look at magazines such as "Sunday Seoul" and "YeoWon", which are popular magazines that the public can easily see in daily life.
      Through the two magazines, the memory of the Vietnam War reproduces the gender ideology of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femininity/masculinity. In the 1960s and 1970s, Korean society mobilized Korean women and Vietnamese women to operate ideologies such as patriarchy, militarism, developmentalism, and anti-communism, among which women were located. The media constantly created discourses such as ‘maternal love’ and ‘good motherhood’ to justify the Vietnam dispatch. And imply letters and concert performances for soldiers as important signs of comfort and morale for soldiers.
      Vietnamese women are seen to be mixed in both 'gender' and 'racial' perspectives, and on the other hand, images of pure South Vietnamese women and Viet Cong women are ambivalently mixed. In order to reveal the 'evil of the Viet Cong' in the composition of 'Evil=Viet Cong, Justice=Korean troops', a Vietnamese woman is mobilized, or in other respects, it is represented as a 'cheerleader' of the Korean army. Romance and marriage with Korean soldiers and Vietnamese women often appeared in the media, which was a great way to strengthen the image of Korean soldiers as ‘saviors’ and ‘guardians’ of Vietnamese women.
      Korean soldiers show the desire of class ascension distinguished from the Vietnamese, and the desire of orientalism in Asia to dominate the women, making Vietnam and Vietnam women a colony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영상자료원"

      2 전경옥, "한국여성문화사 2"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3 "한국부인회"

      4 민숙현, "한가람 봄바람에: 이화 100년 야사" 지인사 1981

      5 안정효, "하얀전쟁" 세경 2009

      6 "프레시안"

      7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8 "통계청"

      9 최용호, "통계로 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10 정운현,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인문서원 2016

      1 "한국영상자료원"

      2 전경옥, "한국여성문화사 2"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3 "한국부인회"

      4 민숙현, "한가람 봄바람에: 이화 100년 야사" 지인사 1981

      5 안정효, "하얀전쟁" 세경 2009

      6 "프레시안"

      7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8 "통계청"

      9 최용호, "통계로 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10 정운현,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인문서원 2016

      1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증언을 통해 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1"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1

      12 이임하,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도서출판선인 2007

      13 기무라 료코, "주부의 탄생" 소명출판 2013

      14 김현아,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베트남과 친구되기" 책갈피 2002

      15 이임하,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책과함께 2010

      16 도미야마 이치로, "전장의 기억" 이산 2002

      17 "이화여대 학보"

      18 이수안, "이미지 문화사회학" 북코리아 2012

      19 "유튜브"

      20 우에노 지즈코,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현실문화 2014

      21 "월남참전전우회"

      22 스즈키, 테사 모리스, "우리 안의 과거" 휴머니스트 2006

      23 권인숙, "우리 삶 속의 군사주의: 여성과 군사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9 : 133-161, 2000

      24 송유재, "여성잡지에 나타난 한국여성상 분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5

      25 이성욱, "쇼쇼쇼: 김추자, 선데이서울 게다가 긴급조치" 생각의나무 2004

      26 안연선, "성노예와 병사 만들기" 삼인 2003

      27 이진경, "서비스 이코노미" 소명출판 2015

      28 윤충로, "베트남전쟁의 한국사회사" 푸른역사 2015

      29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사이트"

      30 권혁태, "베트남 파병을 ‘거부’한 두 한국군 병사 김이석과 김동희" 84 : 238-257, 2014

      31 김우성, "베트남 참전시기 한국의 전쟁 선전과 보도 : 1965년∼1973년 정부, 의회, 군사 자료와 조선일보를 통해 본 베트남 전쟁의 사회적 현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32 김미란, "베트남 참전담론과 미디어: ‘탈식민 민족주의’적 관점과 ‘자국중심적 참전론’, 그 변화과정에서의 미디어의 대중동원 전략" 문화사학회 (19) : 105-137, 2010

      33 박태균, "베트남 전쟁" 한겨레출판사 2015

      34 이진경,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그린비 2007

      35 이기형, "문화연구를 위한 제언: 현장연구와 민속지학적 상상력을 재점화하기 - 조은과 조옥라의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 사당동 재개발지역 현장연구>의 사례를 매개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5 (15): 156-201, 2007

      36 한석정, "만주모던" 문학과지성사 2016

      37 "동아일보"

      38 문, 캐서린 H. S, "동맹 속의 섹스" 삼인 2002

      39 "대한어머니회"

      40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

      41 버거, 존,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2

      42 권인숙, "군사주의와 여성: 징병제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150-167, 2001

      43 김현미,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0) : 10-37, 2006

      44 "국방부"

      45 강헌,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 2" 이봄 2016

      46 연윤희, "『선데이서울』의 창간과 대중 독서물의 재편" 대중서사학회 (30) : 259-291, 2013

      47 Cynthia Enloe, "Manueuvers: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Militarizing Women's Liv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48 "KTV 국민방송"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3 1.316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