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공동체와 여성: 공공성과 젠더화된 돌봄의 딜레마 = Urban Community-building Projects and Women: The Dilemma of Publicness and Gendered Ca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mmunity-building projects aimed at promoting close relationships within the neighborhood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urbaniz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promoted and supported small community-building projects called Maeul Gongdongche.
      In fact, women, especially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conduct absolute majority of these activities. However, gender issues and women’s roles in Maeul Gondogche projects have barely analyzed. The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eul Gongdongche and women within the frame of care and publicness − the integration of care into public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local communities of women in Seoul, the study found the tendency of women to expend their interests and activities from their home to the local (and even the global issues). The paper suggests the ways in which policies could address gender-sensitive and inclusive community-building projects and empower women as the leaders/initiators of local networks.
      번역하기

      As community-building projects aimed at promoting close relationships within the neighborhood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urbaniz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promoted and supported small community-building projects called Maeul Gong...

      As community-building projects aimed at promoting close relationships within the neighborhood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urbaniz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promoted and supported small community-building projects called Maeul Gongdongche.
      In fact, women, especially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conduct absolute majority of these activities. However, gender issues and women’s roles in Maeul Gondogche projects have barely analyzed. The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eul Gongdongche and women within the frame of care and publicness − the integration of care into public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local communities of women in Seoul, the study found the tendency of women to expend their interests and activities from their home to the local (and even the global issues). The paper suggests the ways in which policies could address gender-sensitive and inclusive community-building projects and empower women as the leaders/initiators of local netwo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승우, "협동조합은 ‘충분히’ 여성적인가?" (0) : 165-199, 2012

      2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3 조한혜정, "토건 국가에서 돌봄사회로: 여성 네트워크에 의한 새로운 인프라 만들기" 또하나의문화 2006

      4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커뮤니티공간 안내서"

      5 조옥, "지역화폐와 여성주의: 한밭레츠의 경험에서 길을 찾다" 푸른사상 2013

      6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인포그래픽스로 보는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성과자료집" 2013

      7 이승훈,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백산서당 2011

      8 안현찬,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성과평가와 정책과제" 2017

      9 유창복,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한국환경철학회 (15) : 173-226, 2013

      10 장미경, "생활정치와 페미니즘-생활자치운동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2) : 182-199, 2002

      1 하승우, "협동조합은 ‘충분히’ 여성적인가?" (0) : 165-199, 2012

      2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3 조한혜정, "토건 국가에서 돌봄사회로: 여성 네트워크에 의한 새로운 인프라 만들기" 또하나의문화 2006

      4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커뮤니티공간 안내서"

      5 조옥, "지역화폐와 여성주의: 한밭레츠의 경험에서 길을 찾다" 푸른사상 2013

      6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인포그래픽스로 보는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성과자료집" 2013

      7 이승훈,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백산서당 2011

      8 안현찬,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성과평가와 정책과제" 2017

      9 유창복,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한국환경철학회 (15) : 173-226, 2013

      10 장미경, "생활정치와 페미니즘-생활자치운동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2) : 182-199, 2002

      11 이현희, "생협운동의 여성주의 정치학으로서의 가능성" 21 (21): 111-150, 2004

      12 꿈지모, "생협운동. 여성에게도 대안인가?: 한살림 생협과 여성민우회 생협의 비교 검토" 40 : 164-175, 2004

      13 백은미, "생협운동 경험을 통한 여성들의 살림가치에 대한 의미 고찰 - icoop생협 부산지역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2 (22): 71-107, 2012

      14 김정희, "생명여성정치의 현재와 전망" 푸른사상사 2005

      15 백영경, "복지와 커먼즈: 돌봄의 위기와 공공성의 재구성" 45 (45): 19-38, 2017

      16 허라금, "보살핌의 사회화를 위한 여성주의의 사유" 한국여성학회 22 (22): 115-144, 2006

      17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서" 이음 2009

      18 김영선, "마을인문학과 여성주의"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6) : 33-56, 2013

      19 전희경, "마을공동체의 ‘공동체’성을 질문하다: 서울시 마포·은평 지역 비혼/퀴어 페미니스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4 (14): 75-112, 2014

      20 김찬동,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21 한국조직학회, "마을공동체 발전사업 성별영향분석평가" 여성가족부 성별영향평가과 2013

      22 나종석, "마을 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 : '마을인문학'의 구체화를 향해"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6) : 1-32, 2013

      23 트론토, 조안 C, "돌봄 민주주의" 아포리아 2014

      24 정성훈, "도시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철학사상연구소 (49) : 311-340, 2013

      25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4-43, 2013

      26 김정희, "글로벌라이제이션과 한국의 도시 지역여성운동: 수도권의 소비자 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18 : 133-154, 2001

      27 조한상,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09

      28 하용삼, "공공성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공적영역으로서 주민도서관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66 (66): 421-451, 2011

      29 조한혜정,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또하나의문화 2006

      30 Jaeckel, Monika, "Gender equality and urban development: building better communities for all" 2 (2): 1-7, 2006

      31 Martin, G. Deborah, "Constructing the Neighborhood Sphere" 9 (9): 333-350,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3 1.316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