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기술과목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NS와 이클립(e-clip)을 활용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학습자에게 수업만족도가 있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946968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학위논문(석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대학원 , 이-러닝학과 , 2012.8
2012
-
373.3 판사항(5)
Learning Satisfaction Comparison between IT Supported Learning and Normal Face-to-Face Learning in Technology Class
p82.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술과목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NS와 이클립(e-clip)을 활용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학습자에게 수업만족도가 있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
본 논문은 기술과목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NS와 이클립(e-clip)을 활용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학습자에게 수업만족도가 있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블렌디드러닝, 이클립, SNS의 학교교육 활용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변인들에 대한 문헌연구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블렌디드러닝에 대한 학습만족도 측정을 위한 연구의 틀(frame)로 학습형태 만족도, 학습내용 만족도 및 상호작용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학습의 실험을 위해서, 실험집단을 전통적 수업방식(그룹1), SNS를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방식(그룹2),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방식(그룹3)으로 구분하였다.
중학교에서 학습하는 현행 기술교과목 중 일부단원에 대하여, 교수학습 설계 전략을 만들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수업방식에 맞는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3주간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종료 후 연구의 틀에서 제시한 측정도구에 맞는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3개 실험집단 간 학습만족도 차이에 관한 t-검정을 하였으며, 전통적 학습 방식과 블렌디드학습 방식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법(ANOVA) 검정을 실시하였다.
전통적인 학습방법과 SNS를 활용한 블렌디드학습, 전통적인 학습방법과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블렌디드학습의 평균값 차이의 비교에서 학습자 그룹 간 학습만족도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SNS만을 활용한 그룹의 학습만족도보다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그룹의 만족도의 평균값이 모든 요인에서 크게 나타났지만, 유의수준 5% 하에서는 두 개의 만족도 변인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학교 기술교육에 SNS, 이클립 등 다양한 기술지원(technology supported) 블렌디드학습이 활용될 경우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얻게 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