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호학 연구의 경향성 분석 - 1995년∼2023년 한국기호학회 학술지 『기호학연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rends in Semiotic Studies: Focusing on the 『Semiotic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from 1995 to 202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40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30여 년간 이루어진 『기호학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기호학의 성취와 발자취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향성 분석의 연구 대상은 『기호학연구』 1권부터 ...

      본 논문은 30여 년간 이루어진 『기호학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기호학의 성취와 발자취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향성 분석의 연구 대상은 『기호학연구』 1권부터 75권까지 30년간 게재된 768편이다. 분석 항목은 게재연도, 연구자, 방향성, 연구 대상, 세부연구대상 등으로 설정하였다. 경향성 분석은 개별 항목 분석과 항목별 교차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기호학연구』의 논문 편수는 1995년 첫 발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2010∼2014년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다. 연구 방향성은 전체 768편 중 이론(386편)과 분석(382편)에 초점을 둔 논문이 주를 이루었으며, 실용적인 논문은 21편으로 매우 미미했다. 『기호학연구』에서 자주 거론된 학자로는 퍼스,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바르트, 그레마스, 에코, 로트만 등이다. 특히, 소쉬르와 퍼스의 빈도가 높아 그들이 기호학연구에서 중요한 인식론적 토대가 되고 있다. 기호학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은 사상, 문학, 영상미디어, 뉴미디어, 언어, 이미지 등으로 나타났다.
      교차 분석 결과, 연도별 연구 방향은 첫 발간 이후 10년 동안 이론 논문이 분석 논문보다 2배 이상 많았고, 2015년 이후로는 분석 논문의 편수가 이론 논문보다 많이 연구되었다. 연도별 연구 대상의 경향성은 초창기 『기호학연구』에서 문학 등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2000년 이후 영화, 방송, 게임, 광고, 뉴미디어 등으로 연구 대상이 확대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방향별 연구 대상의 경향성은 분석 논문의 경우에는 문학, 영상미디어, 뉴미디어, 이미지 등을 주로 다루었으며, 이론 논문은 사상, 언어, 문학 등을 주요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실용논문은 그 편수가 미미하지만 일상문화, 뉴미디어를 주로 다루었다. 연구 대상별 경향성은 사상은 학자이론을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문학은 소설과 설화를 주로 다루었고, 영상미디어는 영화, 영상 광고, 드라마 등을 논의하였고, 뉴미디어는 뉴미디어 일반, 게임, SNS 등을 세부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연구자 논문 편수는 1세대∼1.5세대 기호학자들의 논문 편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20년 이상 『기호학연구』에서 논문을 게재하였다. 2010년 이후 2세대 기호학자들이 학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며 그들의 논문 편수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기호학연구』의 주요 연구 성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호학회의 30년간 이루어진 연구 성과인 『기호학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국내에서 기호학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기호학회의 미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achievements and footprints of Korean semiotic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over the past 30 years. The subject of the trend analysis is 76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achievements and footprints of Korean semiotic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over the past 30 years. The subject of the trend analysis is 76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from volume 1 to volume 75 over the 30-year period. The analysis items are set to publication year, researcher, direction, research subject, and detailed research subject. The trend analysis consists of individual item analysis and cross-analysis of each item.
      As a result, the number of papers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every year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95 but has been declining since peaking between 2010 and 2014. The research direction was mainly focused on theory (386 papers) and analysis (382 papers), with only 21 practical papers, which is very minimal. The scholar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include Peirce, Saussure, Levi-Strauss, Barthes, Greimas, Eco, and Lotman. In particular, Saussure and Peirce were frequently mentioned, indicating that they are an important epistemological foundation in semiotic research.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were thoughts, literature, visual media, new media, language, and images.
      Cross-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oretical papers were more than twice as numerous as analytical papers during the first ten years after the initial publication, but since 2015, analytical papers have been more frequently published than theoretical papers. The trend in research subjects by year was initially focused on literature in the early day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but has expanded to films, broadcasting, games, advertisements, and new media since 2000. Next, the trend in research subjects by research direction shows that analytical papers mainly dealt with literature, visual media, new media, and images, while theoretical papers mainly focused on thoughts, language, and literature. Although the number of practical papers is minimal, they mainly dealt with everyday culture and new media. The trend in research subjects shows that thoughts mainly dealt with scholar theories, literature mainly dealt with novels and folktales, visual media discussed films, video advertisements, and dramas, and new media focused on general new media, games, and SNS as detailed research subjects. Lastly, the number of papers by researchers per year showed that the first and 1.5 generation semiologist had a high number of papers and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for an average of over 20 years. Since 2010, the second-generation semiologist have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and the number of their pap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was able to confirm the major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Through the meta-analysis of the Journal of 『Semiotic Studies』, which is the result of 30 years of research achievements by the Korean Semiotics Society, this article was able to explore the past and present of semiotics in Korea.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