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의학 학술지 논문 정보 요소별 표기 방법 상이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8438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02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variant data element descriptions for Korean medical journal articles

      • 형태사항

        xii, 85 L.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춘실
        참고문헌: p. 65-68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journal article is consisted of the various data elements such as title,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tables, figures and references. It is required for authors to follow these items strictly as prescribed by each journal to write a paper to submit. Thus, the detailed knowledge of the structure of a journal article is very important for the system developers. As how the structure of the journal article is reflected and indexed in database make critical effect on the capability of using the resources and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tructural approach of the article and identify the data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database and the development of system.
      In this study, 136 journals covered in Synapse were analyzed for each data element defined in the Journal Article Tag Suits(JATS), NISO Z39.96-201x. 8 key data elements such as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body, table, figure and refere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24 items were selected from 8 information factors as they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 each journal and analyze differences of description styles of data elements for each journa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great variances in style for each element is identified in this study. In stating author names, most journals (128 journals, 94.1%) put first names first followed by last name, but 8 journals (5.9%) have names in "last name, first name" order. Author's degree is used in journals (33 journals, 24.3%). To indicate who the corresponding author is usually label is used in journals (111 journals, 81.6%). ORCID is adopted in journals (15 journals, 11.0%) as an author identification code. Affiliation label to match with author names are also various: numbering (121 journals, 89.0%); symbol (12 journals, 8.8%); alphabet (3 journals, 2.2%). And sequence of giving the label to affiliation is also various: from the first affiliation (116 journals, 85.3%); from the second affiliation (20 journals, 14.7%). In stating affiliations, the range of affilation is also various: city, country name (122 journals, 89.7%); city, country, post code (11 journals, 8.1%); only institution's name (3 journals, 2.2%). And 97 journals (71.3%) omit the repeated information in affiliation. In stating original article's abstract, there are two kinds of abstract: structured abstract (117 journals, 86.0%); unstructured abstract (19 journals, 14.0%). The structure of abstract is also various: 4-heading format (114 journals, 97.4%); 5-heading format (1 journal, 0.9%); 6-heading format (2 journals, 1.7%). Most journals (95 journals, 69.9%) limit to 250 words of abstract, and 22 journals (16.2%) limit to 300 words, 12 journals (8.8%) limit to 200 words, 5 journals (3.7%) limit to 350 words, and 2 journals (1.5%) limit to 400 words. In stating keywords, sign that separate keywords and sequence of list keywords are various. Most journals (87 journals, 64.0%) use comma, but semi colon (38 journals, 27.9%), middle dot(8 journals, 5.9%), slash(2 journals, 1.5%), and new line (1 journal, 0.7%) are also used. Most journal (111 journals, 81.6%) list keyword in the order of importance, whereas 25 journals list keywords in alphabetical order.
      In main text, the styles of level of headings are various: all capital (53 journals, 39.0%), numbering (4 journals, 2.9%), coloring (48 journals, 35.3%) in first heading; all capital (2 journals, 1.5%), numbering (37 journals, 27.2%), coloring (19 journals, 14.0%), italic (4 journals, 2.9%) in second heading. In stating cited reference number, there are various descriptive style: [baseline] (63 journals, 46.3%); superscript (34 journals, 25.0%); superscript) (30 journals, 22.1%); (baseline) (9 journals, 6.6%). In stating cited figure in main text, Most journals (109 journals, 80.1%) abbreviate as "Fig." and 4 journals (2.9%) don't abbreviate it.
      The sign used in table's footnote is also various: symbol (79 journals, 58.1%); alphabet (48 journals, 35.3%); number (4 journals, 2.9%). In figure, most journals (100 journals, 73.5%) abbreviate figure as "Fig." in label, whereas 36 journals (26.5%) don't abbreviate it. There are difference descriptive styles in references. The limit number of co-authors is various: 6(if>6) (86 journals, 63.2%); 3(if>6) (22 journals, 16.2%); all authors without limitation (20 journals, 14.7%); 3(if>3) (5 journals, 3.7%); 10(if>10) (2 journals, 1.5%); 3(if>4) (1 journal, 0.7%). Most journals(133 journals, 97.8%) write abbreviated journal title in reference and only 3 journals (2.2%) write full journals title in reference. In stating cited reference, only 2 journals (1.5%) write publication month and only 17 journals (12.5%) write issue number. And in stating last page of reference, most journals (88 journals, 64.7%) omit the repeated page number and 48 journals (35.3%) write the last page in full. Only 5 journals (3.7%) write DOI of the reference.
      This study covers not only the references and abstracts but also the key data elements such as the full text index databas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in order to find any distinctivenes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n reliable source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search system and database.
      번역하기

      A journal article is consisted of the various data elements such as title,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tables, figures and references. It is required for authors to follow these items strictly as prescribed by each journal to write a pape...

      A journal article is consisted of the various data elements such as title,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tables, figures and references. It is required for authors to follow these items strictly as prescribed by each journal to write a paper to submit. Thus, the detailed knowledge of the structure of a journal article is very important for the system developers. As how the structure of the journal article is reflected and indexed in database make critical effect on the capability of using the resources and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tructural approach of the article and identify the data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database and the development of system.
      In this study, 136 journals covered in Synapse were analyzed for each data element defined in the Journal Article Tag Suits(JATS), NISO Z39.96-201x. 8 key data elements such as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body, table, figure and refere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24 items were selected from 8 information factors as they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 each journal and analyze differences of description styles of data elements for each journa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great variances in style for each element is identified in this study. In stating author names, most journals (128 journals, 94.1%) put first names first followed by last name, but 8 journals (5.9%) have names in "last name, first name" order. Author's degree is used in journals (33 journals, 24.3%). To indicate who the corresponding author is usually label is used in journals (111 journals, 81.6%). ORCID is adopted in journals (15 journals, 11.0%) as an author identification code. Affiliation label to match with author names are also various: numbering (121 journals, 89.0%); symbol (12 journals, 8.8%); alphabet (3 journals, 2.2%). And sequence of giving the label to affiliation is also various: from the first affiliation (116 journals, 85.3%); from the second affiliation (20 journals, 14.7%). In stating affiliations, the range of affilation is also various: city, country name (122 journals, 89.7%); city, country, post code (11 journals, 8.1%); only institution's name (3 journals, 2.2%). And 97 journals (71.3%) omit the repeated information in affiliation. In stating original article's abstract, there are two kinds of abstract: structured abstract (117 journals, 86.0%); unstructured abstract (19 journals, 14.0%). The structure of abstract is also various: 4-heading format (114 journals, 97.4%); 5-heading format (1 journal, 0.9%); 6-heading format (2 journals, 1.7%). Most journals (95 journals, 69.9%) limit to 250 words of abstract, and 22 journals (16.2%) limit to 300 words, 12 journals (8.8%) limit to 200 words, 5 journals (3.7%) limit to 350 words, and 2 journals (1.5%) limit to 400 words. In stating keywords, sign that separate keywords and sequence of list keywords are various. Most journals (87 journals, 64.0%) use comma, but semi colon (38 journals, 27.9%), middle dot(8 journals, 5.9%), slash(2 journals, 1.5%), and new line (1 journal, 0.7%) are also used. Most journal (111 journals, 81.6%) list keyword in the order of importance, whereas 25 journals list keywords in alphabetical order.
      In main text, the styles of level of headings are various: all capital (53 journals, 39.0%), numbering (4 journals, 2.9%), coloring (48 journals, 35.3%) in first heading; all capital (2 journals, 1.5%), numbering (37 journals, 27.2%), coloring (19 journals, 14.0%), italic (4 journals, 2.9%) in second heading. In stating cited reference number, there are various descriptive style: [baseline] (63 journals, 46.3%); superscript (34 journals, 25.0%); superscript) (30 journals, 22.1%); (baseline) (9 journals, 6.6%). In stating cited figure in main text, Most journals (109 journals, 80.1%) abbreviate as "Fig." and 4 journals (2.9%) don't abbreviate it.
      The sign used in table's footnote is also various: symbol (79 journals, 58.1%); alphabet (48 journals, 35.3%); number (4 journals, 2.9%). In figure, most journals (100 journals, 73.5%) abbreviate figure as "Fig." in label, whereas 36 journals (26.5%) don't abbreviate it. There are difference descriptive styles in references. The limit number of co-authors is various: 6(if>6) (86 journals, 63.2%); 3(if>6) (22 journals, 16.2%); all authors without limitation (20 journals, 14.7%); 3(if>3) (5 journals, 3.7%); 10(if>10) (2 journals, 1.5%); 3(if>4) (1 journal, 0.7%). Most journals(133 journals, 97.8%) write abbreviated journal title in reference and only 3 journals (2.2%) write full journals title in reference. In stating cited reference, only 2 journals (1.5%) write publication month and only 17 journals (12.5%) write issue number. And in stating last page of reference, most journals (88 journals, 64.7%) omit the repeated page number and 48 journals (35.3%) write the last page in full. Only 5 journals (3.7%) write DOI of the reference.
      This study covers not only the references and abstracts but also the key data elements such as the full text index databas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in order to find any distinctivenes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n reliable source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search system and databa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술논문은 논문 제목,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표, 그림, 참고문헌 등 여러 가지 핵심적인 정보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논문을 투고하는 저자들은 각 학술지마다 규정된 기술 양식을 엄격하게 따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논문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시스템 개발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논문의 구조가 어떻게 입력되고 색인되느냐에 따라 온라인 학술지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한 정보의 활용 능력 및 검색 능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논문을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각각의 정보 요소별로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전문(full-text)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시 많은 기관들이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Journal Article Tag Suits(JATS, NISO Z39.96-201x)에서 정의하는 논문의 구조와 순서에 따라 정보 요소들을 살펴본 뒤, 학술지 별로 표기 방법에 상이성이 나타나는 논문의 주요 정보 요소를 크게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본문, 표, 그림, 참고문헌의 8가지로 선정하였으며 8가지 정보 요소에서 학술지별 표기 방법의 상이성이 나타나는 항목을 24가지로 세분화하였다. Synapse 등재 학술지 중 2015년 발간 학술지 136종을 대상으로 각 정보 요소의 학술지별 표기 방법 상이성을 24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자 정보에서 영문 저자명 기재 시에 일반적인 순서와 같이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쓰는 학술지는 128종(94.1%), 성을 먼저 쓰고 쉼표의 구분자 뒤에 이름을 쓰는 학술지는 8종(5.9%)으로 나타났다.
      저자의 학위를 함께 표기하는 학술지는 33종(24.3%)이었으며, 학위를 표기하지 않는 학술지는 모두 103종(75.7%)이다. 교신저자에 별도의 레이블을 표기하는 학술지는 111종(81.6%)으로 조사되었으며, 25종(18.4%)의 학술지는 교신저자에 별도 레이블 표기를 하지 않는다. 저자식별자로 저자의 ORCID 번호를 함께 기재하는 학술지는 15종(11.0%)이며, ORCID 번호를 기재하지 않는 학술지가 121종(89.0%)으로 나타났다. 저자 소속에 부여하는 레이블로 숫자를 사용하는 학술지는 121종(89.0%)이며 기호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12종(8.8%), 알파벳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3종(2.2%)으로 조사되었다. 저자 소속에 레이블을 부여할 때 첫 번째 소속부터 부여하는 학술지는 116종(85.3%)이며, 두 번째 소속부터 부여하는 학술지가 20종(14.6%)이다. 136종의 학술지 중 저자 소속에 도시명과 국가명만을 기재하는 학술지는 122종(89.7%)으로 조사되었으며, 11종(8.1%)의 학술지는 도시, 국가명에 더불어 우편번호까지 함께 표기한다. 그리고 3종(2.2%)의 학술지만이 도시명과 국가명을 생략하고 기관명까지만 표기한다. 복수의 소속을 표기함에 있어서 중복된 부분을 생략하여 표기하는 학술지는 97종(71.3%)이며, 생략하지 않고 모두 풀어서 표기하는 학술지가 29종(28.7%)이다. 원저 논문을 작성할 때 정형초록을 사용하는 학술지는 모두 117종(86.0%)이며 비정형초록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19종(14.0%)이다. 정형초록을 사용하는 117종의 학술지 중에서 초록을 4개의 제목(4-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114종(97.4%)이었고 5개의 제목(5-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1종(0.9%), 6개의 제목(6-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2종(1.7%)으로 조사되었다. 초록의 단어 수를 25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95종(69.9%)으로 가장 많았으며 3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22종(16.2%), 2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12종(8.8%), 35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5종(3.7%), 4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2종(1.5%)으로 나타났다. 중심어를 구분하는 기호는 쉼표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87종(64.0%)이며 세미콜론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38종(27.9%), 중간점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8종(5.9%), 빗금표시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2종(1.5%), 줄바꿈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1종(0.7%)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에 참고문헌 인용표기시 대괄호(bracket)와 함께 번호를 표기하는 학술지가 63종(46.3%)이며 34종(25.0%)의 학술지는 위 첨자로 된 숫자만을 표기한다. 그리고 30종(22.1%)의 학술지는 위 첨자로 된 숫자와 반 괄호(closing parenthesis)를 함께 표기한다. 9종(6.6%)의 학술지만이 괄호와 숫자로 참고문헌 인용표기를 한다. 본문에 표를 인용하는 표기 방식은 학술지별로 상이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림을 인용하는 표기방식은 “Fig."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109종(80.1%)이고 ”Figure"로 풀어서 표기하는 경우가 23종(16.9%)이다.
      표에서 각주를 표기함에 있어서 기호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79종(58.1%)으로 조사되었으며 알파벳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48종(35.3%), 숫자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4종(2.9%), 투고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나머지 5종(3.7%)으로 조사되었다. 그림에서 레이블을 표기할 때 100종(73.5%)의 학술지는 “Fig."로 약하여 표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6종(26.5%)의 학술지는 이를 모두 풀어서 “Figure"로 표기한다. 참고문헌에서 표기하는 공저자 수를 살펴보면 6명 이상일 때 6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경우가 86종(63.2%), 6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22종(16.2%), 공저자 수의 제한없이 모두 기재하는 경우가 20종(14.7%)으로 나타났다. 3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5종(3.7%)이며, 10명 이상일 때 10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2종(1.5%), 4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1종(1.7%)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에서 인용학술지명을 표기할 때, 약어로 표기하는 학술지가 133종(97.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오직 3종(2.2%)의 학술지만이 완전서명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문헌에서 발행 월(month)을 표기하는 경우는 2종(1.5%)이며, 134종(98.5%)의 학술지는 월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다. 호(issue) 정보를 표기하는 학술지는 17종(12.5%)이며 호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 학술지가 119종(87.5%)이다. 참고문헌에서 마지막 페이지를 표기할 때, 시작 페이지와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여 표기하는 학술지가 88종(64.7%)으로 조사되었으며 48종(35.3%)의 학술지는 생략하지 않고 모두 풀어서 기재한다. 또한 5종의 학술지만이 참고문헌에서 DOI 등의 식별자를 표기한다.
      본 연구는 참고문헌이나 초록 뿐만 아니라 전문(full-text)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색인 대상이 되는 학술논문의 기타 주요 정보 요소까지 포함하여 각 요소별 특징을 망라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효율적인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의미 분석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학술논문은 논문 제목,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표, 그림, 참고문헌 등 여러 가지 핵심적인 정보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논문을 투고하는 저자들은 각 학술지마다 규정된 기술 양식을 ...

      학술논문은 논문 제목,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표, 그림, 참고문헌 등 여러 가지 핵심적인 정보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논문을 투고하는 저자들은 각 학술지마다 규정된 기술 양식을 엄격하게 따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논문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시스템 개발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논문의 구조가 어떻게 입력되고 색인되느냐에 따라 온라인 학술지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한 정보의 활용 능력 및 검색 능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논문을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각각의 정보 요소별로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전문(full-text)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시 많은 기관들이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Journal Article Tag Suits(JATS, NISO Z39.96-201x)에서 정의하는 논문의 구조와 순서에 따라 정보 요소들을 살펴본 뒤, 학술지 별로 표기 방법에 상이성이 나타나는 논문의 주요 정보 요소를 크게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본문, 표, 그림, 참고문헌의 8가지로 선정하였으며 8가지 정보 요소에서 학술지별 표기 방법의 상이성이 나타나는 항목을 24가지로 세분화하였다. Synapse 등재 학술지 중 2015년 발간 학술지 136종을 대상으로 각 정보 요소의 학술지별 표기 방법 상이성을 24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자 정보에서 영문 저자명 기재 시에 일반적인 순서와 같이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쓰는 학술지는 128종(94.1%), 성을 먼저 쓰고 쉼표의 구분자 뒤에 이름을 쓰는 학술지는 8종(5.9%)으로 나타났다.
      저자의 학위를 함께 표기하는 학술지는 33종(24.3%)이었으며, 학위를 표기하지 않는 학술지는 모두 103종(75.7%)이다. 교신저자에 별도의 레이블을 표기하는 학술지는 111종(81.6%)으로 조사되었으며, 25종(18.4%)의 학술지는 교신저자에 별도 레이블 표기를 하지 않는다. 저자식별자로 저자의 ORCID 번호를 함께 기재하는 학술지는 15종(11.0%)이며, ORCID 번호를 기재하지 않는 학술지가 121종(89.0%)으로 나타났다. 저자 소속에 부여하는 레이블로 숫자를 사용하는 학술지는 121종(89.0%)이며 기호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12종(8.8%), 알파벳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3종(2.2%)으로 조사되었다. 저자 소속에 레이블을 부여할 때 첫 번째 소속부터 부여하는 학술지는 116종(85.3%)이며, 두 번째 소속부터 부여하는 학술지가 20종(14.6%)이다. 136종의 학술지 중 저자 소속에 도시명과 국가명만을 기재하는 학술지는 122종(89.7%)으로 조사되었으며, 11종(8.1%)의 학술지는 도시, 국가명에 더불어 우편번호까지 함께 표기한다. 그리고 3종(2.2%)의 학술지만이 도시명과 국가명을 생략하고 기관명까지만 표기한다. 복수의 소속을 표기함에 있어서 중복된 부분을 생략하여 표기하는 학술지는 97종(71.3%)이며, 생략하지 않고 모두 풀어서 표기하는 학술지가 29종(28.7%)이다. 원저 논문을 작성할 때 정형초록을 사용하는 학술지는 모두 117종(86.0%)이며 비정형초록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19종(14.0%)이다. 정형초록을 사용하는 117종의 학술지 중에서 초록을 4개의 제목(4-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114종(97.4%)이었고 5개의 제목(5-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1종(0.9%), 6개의 제목(6-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2종(1.7%)으로 조사되었다. 초록의 단어 수를 25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95종(69.9%)으로 가장 많았으며 3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22종(16.2%), 2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12종(8.8%), 35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5종(3.7%), 4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2종(1.5%)으로 나타났다. 중심어를 구분하는 기호는 쉼표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87종(64.0%)이며 세미콜론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38종(27.9%), 중간점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8종(5.9%), 빗금표시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2종(1.5%), 줄바꿈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1종(0.7%)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에 참고문헌 인용표기시 대괄호(bracket)와 함께 번호를 표기하는 학술지가 63종(46.3%)이며 34종(25.0%)의 학술지는 위 첨자로 된 숫자만을 표기한다. 그리고 30종(22.1%)의 학술지는 위 첨자로 된 숫자와 반 괄호(closing parenthesis)를 함께 표기한다. 9종(6.6%)의 학술지만이 괄호와 숫자로 참고문헌 인용표기를 한다. 본문에 표를 인용하는 표기 방식은 학술지별로 상이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림을 인용하는 표기방식은 “Fig."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109종(80.1%)이고 ”Figure"로 풀어서 표기하는 경우가 23종(16.9%)이다.
      표에서 각주를 표기함에 있어서 기호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79종(58.1%)으로 조사되었으며 알파벳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48종(35.3%), 숫자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4종(2.9%), 투고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나머지 5종(3.7%)으로 조사되었다. 그림에서 레이블을 표기할 때 100종(73.5%)의 학술지는 “Fig."로 약하여 표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6종(26.5%)의 학술지는 이를 모두 풀어서 “Figure"로 표기한다. 참고문헌에서 표기하는 공저자 수를 살펴보면 6명 이상일 때 6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경우가 86종(63.2%), 6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22종(16.2%), 공저자 수의 제한없이 모두 기재하는 경우가 20종(14.7%)으로 나타났다. 3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5종(3.7%)이며, 10명 이상일 때 10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2종(1.5%), 4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1종(1.7%)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에서 인용학술지명을 표기할 때, 약어로 표기하는 학술지가 133종(97.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오직 3종(2.2%)의 학술지만이 완전서명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문헌에서 발행 월(month)을 표기하는 경우는 2종(1.5%)이며, 134종(98.5%)의 학술지는 월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다. 호(issue) 정보를 표기하는 학술지는 17종(12.5%)이며 호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 학술지가 119종(87.5%)이다. 참고문헌에서 마지막 페이지를 표기할 때, 시작 페이지와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여 표기하는 학술지가 88종(64.7%)으로 조사되었으며 48종(35.3%)의 학술지는 생략하지 않고 모두 풀어서 기재한다. 또한 5종의 학술지만이 참고문헌에서 DOI 등의 식별자를 표기한다.
      본 연구는 참고문헌이나 초록 뿐만 아니라 전문(full-text)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색인 대상이 되는 학술논문의 기타 주요 정보 요소까지 포함하여 각 요소별 특징을 망라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효율적인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의미 분석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선행연구 = 4
      • 1. 서 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선행연구 = 4
      • 2. 이론적 배경 = 9
      • 2.1 학술논문 정보의 구조화 = 9
      • 2.2 의학 학술지 논문 편집 양식의 다양성 = 9
      • 2.3 논문 작성 및 편집을 위한 국제 표준 가이드라인 = 9
      • 3. 연구 대상 및 방법 = 11
      • 3.1 연구 대상 = 11
      • 3.2 연구 방법 = 13
      • 4. 분석 결과 = 21
      • 4.1 저자 = 21
      • 4.1.1 성·이름 표기 순서 = 22
      • 4.1.2 학위 표기 = 23
      • 4.1.3 교신저자 표시 = 24
      • 4.1.4 저자식별자 (ORCID) = 25
      • 4.2 저자 소속 = 27
      • 4.2.1 소속 구분 레이블(label) 종류 = 28
      • 4.2.2 레이블 부여 순서 = 30
      • 4.2.3 도시, 국가명, 우편번호 표기 여부 = 30
      • 4.2.4 중복된 부분 생략 여부 = 30
      • 4.3 초록 = 32
      • 4.3.1 정형초록과 비정형초록 = 33
      • 4.3.2 정형초록의 구조 = 35
      • 4.3.3 초록의 글자 수(단어 수) 제한 = 40
      • 4.4 중심어 = 41
      • 4.4.1 구분 기호 = 41
      • 4.4.2 나열 순서 = 43
      • 4.5 본문 = 44
      • 4.5.1 단락 제목의 레벨에 따른 표기 방식 = 44
      • 4.5.2 본문에 참고문헌 인용표기 방식 = 47
      • 4.5.3 본문에 그림 인용표기 방식 = 52
      • 4.6 표 = 53
      • 4.7 그림 = 55
      • 4.8 참고문헌 = 56
      • 4.8.1 공저자 수 = 56
      • 4.8.2 인용학술지 약어명 표기 = 58
      • 4.8.3 발행 월(month) 정보 = 59
      • 4.8.4 호(issue) 정보 = 59
      • 4.8.5 페이지 입력 방식 = 59
      • 4.8.6 논문식별자(DOI) = 60
      • 5. 결론 및 요약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