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계원, "혐오와 수치심 :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1-728, 2015
2 "현씨양웅쌍린기"
3 이윤석, "현씨양웅쌍린기" 경인문화사 2006
4 "태종실록 2권, 태종 원년 8월 1일 정사"
5 박진, "칸트의 '도식론'에 대한 고찰― 칸트에 있어 '도식' 개념의 역사적 원천과 의미" 대동철학회 (24) : 163-187, 2004
6 한상권, "조선시대 소원제도의 (訴寃制度) 발달과정" 일지사 19 (19): 65-105, 1993
7 "임씨삼대록"
8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서 개인이 소외되는 양상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45) : 251-279, 2019
9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483-518, 2009
10 김지영,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임씨삼대록 1~5권" 소명출판 2010
1 조계원, "혐오와 수치심 :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1-728, 2015
2 "현씨양웅쌍린기"
3 이윤석, "현씨양웅쌍린기" 경인문화사 2006
4 "태종실록 2권, 태종 원년 8월 1일 정사"
5 박진, "칸트의 '도식론'에 대한 고찰― 칸트에 있어 '도식' 개념의 역사적 원천과 의미" 대동철학회 (24) : 163-187, 2004
6 한상권, "조선시대 소원제도의 (訴寃制度) 발달과정" 일지사 19 (19): 65-105, 1993
7 "임씨삼대록"
8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서 개인이 소외되는 양상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45) : 251-279, 2019
9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483-518, 2009
10 김지영,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임씨삼대록 1~5권" 소명출판 2010
11 한길연, "몸의 형상화 방식을 통해서 본 고전대하 소설 속 탕녀연구-『쌍성봉효록』의 ‘교씨’와 『임씨삼대록의』의 ‘옥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197-234, 2007
12 심경호, "낙선재본 소설의 선행본에 관한 일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13 (13): 169-188, 1990
13 강우규,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반란의 공간과 경계의 환상성 - <소현성록> 연작과 <현몽쌍룡기> 연작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52) : 191-212, 2016
14 김지연, "『현씨양웅쌍린기』의 단일 갈등 구조와 인물 형상의 관계" 민족문학사학회 28 : 220-247, 2005
15 테오도르 아도르노, "[단행본]계몽의 변증법 : 철학적 단상" 문학과지성사 1-398, 2001
16 정혜경, "<현씨양웅쌍린기>의 서사적 힘; 웃음" 한민족문화학회 (37) : 33-63, 2011
17 김서윤,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신분 위상과 부부갈등"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198-218, 2015
18 박은정, "<현씨양웅쌍린기> 연작의 ‘육취옥’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51) : 223-260, 2017
19 강우규, "<임씨삼대록>에 나타난 구미호 화소의 의미기능 고찰 - ‘환상성의 의미변화’와 ‘악녀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회 (39) : 169-191, 2015
20 최수현, "<임씨삼대록> 여성인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1 윤준섭, "<유씨삼대록>의 ‘순씨’ 우행(愚行)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 동방비교연구회 7 : 67-8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