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학생 평가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8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생평가의 실태를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명확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5개 교과의 학생평가를 교...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생평가의 실태를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명확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5개 교과의 학생평가를 교과의 기본과정, 심화·보충 과정, 특별보충과정, 지원체제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질문지 조사 방법을 통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총괄평가의 내용에 기본과정 뿐만 아니라 심화·보충 과정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수준별 집단편성을 위한 평가는 대체로 실시하지 않고 있었고, 수준별 평가지는 평가결과 처리의 어려움과 학생들의 수준을 나누는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수행평가에서는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평가결과의 신뢰성 확보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드러났다. 또한 특별보충과정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은 대부분 지필평가의 결과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과정 이수 평가와 추후지도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절대평가기준'과 교육인적자원부·교육청에서 지원하는 평가자료, 에듀넷 등에서 제공하는 평가문항의 활용도는 매우 낮았으며, 이들의 활용도가 낮은 이유는 홍보부족과 학생 수준과의 불일치, 내용 부실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과와 관련된 평가 연수의 경험이 부족하였고,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과 문항제작에 대한 연수 기회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t the academic high school. For that purpose, this study had the focus-group interview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t the academic high school. For that purpose, this study had the focus-group interview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items that were developed through focus-group interviews consisted of the four main parts: questions about the basic courses, the enriched·supplementary courses,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nd the support systems. The scope of the study, however, was limited to five curriculum are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 First,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ummative evaluation in general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enriched·supplementary courses as well as those of the basic courses, that there is no student assessment for grouping students on the basis of their achievement level, and that high school teachers do not use a differentiated test because of difficulties in grouping students and reporting the assessment results.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have spent a lot of time and effort to develop a differentiated assessment, that they depended heavily on a paper-and-pencil test to select students who are going to take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nd that they do not provide appropriate feedbacks to students after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end. Third,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usually do not use the materials that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offer. Also teachers believed that the lack of advertisement is the main reason why they do not use those materials. Finally,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do not have enough training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in a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that they want to have trainings about th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item building method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