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의 동네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 = Measurement of the Economic Benefits for Seoul Forest Provision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6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neighborhood-based social capital empirically, under the premise that i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for neighborhood problem solving and developmen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lassifies the female resi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to three groups, including political party participants, civil group participants, and socially non-associated residents. It compare and contrasts their respective level of neighborhood-based social capital by carrying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d applying ANOVA. The result shows that civil group participants have highest mean scores in every dimension of the social capital measure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participants in political party lowest. Also mostly, there does not exist muc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associated residents and civil group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party participant group shows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other two groups. The conclusion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 including civil group women's more positive role in community activity and political party participants' more concern with the community affai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neighborhood-based social capital empirically, under the premise that i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for neighborhood problem solving and developmen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lassifies the female residents in D...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neighborhood-based social capital empirically, under the premise that i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for neighborhood problem solving and developmen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lassifies the female resi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to three groups, including political party participants, civil group participants, and socially non-associated residents. It compare and contrasts their respective level of neighborhood-based social capital by carrying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d applying ANOVA. The result shows that civil group participants have highest mean scores in every dimension of the social capital measure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participants in political party lowest. Also mostly, there does not exist muc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associated residents and civil group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party participant group shows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other two groups. The conclusion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 including civil group women's more positive role in community activity and political party participants' more concern with the community affai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네문제 해결 및 동네발전을 위해 여성사회자본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동네 수준에서의 여성사회자본을 보다 심도 있게 경험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을 정당참여 여성집단, 시민단체참여 여성집단, 비활동 여성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설문조사와 ANOVA 분석을 통해 동네수준에서의 사회자본 정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사회자본의 구성차원 모두에서 시민단체참여 여성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비활동 여성집단, 정당참여 여성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간의 비교에 있어서는 비활동 여성집단과 시민단체 여성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정당참여 여성집단의 평균은 이들 두 집단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결론으로 시민단체참여 여성들의 지역사회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 정당참여 여성들의 동네와 같은 지역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등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동네문제 해결 및 동네발전을 위해 여성사회자본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동네 수준에서의 여성사회자본을 보다 심도 있게 경험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

      본 논문은 동네문제 해결 및 동네발전을 위해 여성사회자본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동네 수준에서의 여성사회자본을 보다 심도 있게 경험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을 정당참여 여성집단, 시민단체참여 여성집단, 비활동 여성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설문조사와 ANOVA 분석을 통해 동네수준에서의 사회자본 정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사회자본의 구성차원 모두에서 시민단체참여 여성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비활동 여성집단, 정당참여 여성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간의 비교에 있어서는 비활동 여성집단과 시민단체 여성집단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정당참여 여성집단의 평균은 이들 두 집단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결론으로 시민단체참여 여성들의 지역사회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 정당참여 여성들의 동네와 같은 지역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등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72 0.92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