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과정 생성의 관점으로 본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8740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인천

      • 형태사항

        159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동원

      • UCI식별코드

        I804:41085-200000509878

      • 소장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경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current curriculum enactment methods change and realiz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convert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when they convert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classes? Third, how do teachers taught social studies as school subject? Answering these questions c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by understanding special phenomena in which identity of social studies is changing due to the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centered on social studies. First of all, various contextual data was collected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of teacher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hared and a consensus was formed through pre-question sheets. Then, through interviews with individual teachers, necessary data was collected for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be transferred to the class. The overall content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robl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wed constrained aspects of teachers' implementation, and teachers were creating various curriculum based on the logic of change to overcome this. Teachers were restricted from curriculum enactment due to external factors that forced them to adapt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that lacked identit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refore, various problems arose in curriculum enactment, which was overcome by active integration and connection of curriculum by utilizing the special na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all curriculum can be taught. In particular,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integrating curriculum, and practiced integration center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emphasize the practice linked to students' lives. This aspect also led to other subjects being instrumentalized into social studies, and beyond that, trans-disciplinary large-scale project-based subject emerged. Based on this, the solidified educational arrangements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reorganized around the social studie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ctively trying to do so.
      Second,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create a practical gap in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content aspect' of the curriculum and the 'flow aspect' of the discourse. First of all, the ‘content aspect’ of the curriculum is how detailed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construction, which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are applied and presented as problems. In summary, first,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curriculum content is still chosen by academic concepts or domain specificity rather than children's standpoint. Second, as horizontal construction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a superficial approach to 'integrity' cannot observe the utility of integration. Third, as a vertical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 arrangement is being buried by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rather than flexibly applying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Fourth, the range of interpretations and variations is limited by detailing the realistic content elements to be taught in the curriculum itself.
      Next, the 'flow aspect' of discourse is an observation at the problems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ifferent dimensions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ch was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Research has shown uniformity in the delivery and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by forming a linear communication system by a one-way communication structure. To sum this up, first, the flow of discourse is not interactive, but unidirectional. Second,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er as a theorist and teachers as a practitioner is not smooth. Third, a mutually contradictory message that restricts teachers' implementation has been delivered and is in a double bind.
      Third, the ‘enact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emerged in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not just a concept that worked consistently, but a variety of values worked in combination, creating balance and dilemma. This was a special phenomenon in which the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which shows an integrated aspect, and the identity of social studies, which is organized into an academic system, were me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specific findings. First, ‘limited enactment’ appeared. Although teaching methods have been diversified due to the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of the content knowledg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has been accepted and delivered uniformly. Second, 'dual enactment' appeared. There are both positive assessments of the expans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critical views that the boundaries of the curriculum are excessively violated. Third, 'relative generation' appear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the curriculum as a tool material,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urriculum getting thinn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ful sugges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onstruction principles specialized in elementary education’, ‘promotion of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teacher awarenes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fact that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is difficult to generalize hastily as a micro-level discussion. Neverthele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this study could serve as a catalyst for various discussions to improv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s an opportunity for various public discuss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current curriculum enactment methods change and realiz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current curriculum enactment methods change and realiz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convert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when they convert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classes? Third, how do teachers taught social studies as school subject? Answering these questions c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by understanding special phenomena in which identity of social studies is changing due to the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centered on social studies. First of all, various contextual data was collected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of teacher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hared and a consensus was formed through pre-question sheets. Then, through interviews with individual teachers, necessary data was collected for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be transferred to the class. The overall content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robl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wed constrained aspects of teachers' implementation, and teachers were creating various curriculum based on the logic of change to overcome this. Teachers were restricted from curriculum enactment due to external factors that forced them to adapt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that lacked identit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refore, various problems arose in curriculum enactment, which was overcome by active integration and connection of curriculum by utilizing the special na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all curriculum can be taught. In particular,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integrating curriculum, and practiced integration center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emphasize the practice linked to students' lives. This aspect also led to other subjects being instrumentalized into social studies, and beyond that, trans-disciplinary large-scale project-based subject emerged. Based on this, the solidified educational arrangements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reorganized around the social studie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ctively trying to do so.
      Second,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create a practical gap in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content aspect' of the curriculum and the 'flow aspect' of the discourse. First of all, the ‘content aspect’ of the curriculum is how detailed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construction, which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are applied and presented as problems. In summary, first,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curriculum content is still chosen by academic concepts or domain specificity rather than children's standpoint. Second, as horizontal construction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a superficial approach to 'integrity' cannot observe the utility of integration. Third, as a vertical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 arrangement is being buried by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rather than flexibly applying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Fourth, the range of interpretations and variations is limited by detailing the realistic content elements to be taught in the curriculum itself.
      Next, the 'flow aspect' of discourse is an observation at the problems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ifferent dimensions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ch was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Research has shown uniformity in the delivery and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by forming a linear communication system by a one-way communication structure. To sum this up, first, the flow of discourse is not interactive, but unidirectional. Second,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er as a theorist and teachers as a practitioner is not smooth. Third, a mutually contradictory message that restricts teachers' implementation has been delivered and is in a double bind.
      Third, the ‘enact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emerged in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not just a concept that worked consistently, but a variety of values worked in combination, creating balance and dilemma. This was a special phenomenon in which the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which shows an integrated aspect, and the identity of social studies, which is organized into an academic system, were me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specific findings. First, ‘limited enactment’ appeared. Although teaching methods have been diversified due to the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of the content knowledg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has been accepted and delivered uniformly. Second, 'dual enactment' appeared. There are both positive assessments of the expans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critical views that the boundaries of the curriculum are excessively violated. Third, 'relative generation' appear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the curriculum as a tool material,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urriculum getting thinn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ful sugges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onstruction principles specialized in elementary education’, ‘promotion of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teacher awarenes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fact that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is difficult to generalize hastily as a micro-level discussion. Neverthele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this study could serve as a catalyst for various discussions to improv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s an opportunity for various public discus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천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현재와 같은 교육과정 생성 방식이 사회과 교육과 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실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변환하여 가르치고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들이 사회과 교육과정을 수업으로 변환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가?, 셋째, 초등교사들의 교육과정 생성으로 인해 교과로서 사회과는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것은 초등교육이라는 정체성으로 인해 사회과의 정체성이 변화되어가는 특수한 현상들을 이해하게 해줌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및 구성 방법 등의 개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맥락적인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사전 질문지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개별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수업으로 옮아가기까지의 과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밝혀진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은 교사들의 실행에 제약적인 측면을 나타냈고, 교사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마다 변화의 논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교육 환경의 변화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외부적 요인과 초등사회과에 대한 주체성이 부족하다는 내부적 요인으로 교육과정 생성에 제약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생성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고, 이를 전 교과를 가르칠 수 있다는 초등교사의 특수성을 살려 교육과정의 적극적인 통합과 연계로 극복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과정 통합에 있어 초등사회과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되었고, 학생들의 삶과 연계한 실천을 강조하기 위해 초등사회과 중심 통합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타 교과를 도구화하여 사회과로 끌어들이기도 하였으며, 이를 넘어서서 탈학문적인 대단위 프로젝트의 수업도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서의 공고화된 교육적 배치들은 사회과를 중심으로 재편되기도 하였으며, 초등교사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수행에 실행적 격차를 발생시키는 근원적인 문제점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교육과정의 ‘내용 측면’과 담론의 ‘흐름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의 ‘내용 측면’이란 본 연구의 초점이 되었던 교과 구성 원리의 세부적인 원칙들이 어떻게 적용되어 문제점으로 부각되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교육과정 내용 선정과 배열은 여전히 아이들의 입장보다 학문적 개념이나 영역특수성에 의해 선택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수평적 조직원리로서 ‘통합성’에 대한 피상적 접근으로 통합의 효용성을 살펴볼 수 없다. 셋째, 교육과정의 수직적 조직원리로서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기보다 환경확대법에 의해 내용 배열이 매몰되고 있다. 넷째, 교육과정 자체에 가르쳐야 할 사실적 내용요소를 세부적으로 나열하여 해석과 변형의 폭이 제한적이다.
      다음으로 담론의 ‘흐름 측면’이란 본 연구의 분석틀이었던 교육과정 실행의 3차원 구조 속에서 각 차원들 간의 의사소통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의 전달과 해석에 있어 단방향 소통 구조에 의한 선형적인 의사소통 체계가 형성되어 획일성을 낳고 있었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담론의 흐름이 상호작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이론가로서 사회과교육 연구자와 실천가로서 교사들 사이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셋째, 교사들의 실행에 제약이 발생하는 상호 모순된 메시지가 전달되어 이중구속적인 상황에 처해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실천 속에서 나타난 사회과 교육과정의 ‘생성’은 단순히 하나의 개념으로서 일관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균형과 딜레마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전 교과를 가르치며 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학문적인 체계로 구성된 교과로서 사회과의 정체성이 만나 벌어지는 특수한 현상이었다. 구체적으로 밝혀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수법은 다양화되었으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지식은 대부분 그대로 수용되어 전달되는 획일적인 모습을 나타내며 ‘제한적 생성’의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교과 통합이 확장되었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한편에서는 교과의 경계를 무리하게 침범하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이 동시에 나타나 ‘이중적 생성’의 모습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들이 교과를 소재로서 도구적으로 활용하면 할수록 교과의 학문적 정체성은 점점 옅어지는 ‘상대적 생성’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초등교육에 특화된 사회과 구성 원리 개발 방안’, ‘교수 방법 및 활동의 촉진 방안’, ‘교사 인식 개선 방안’ 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미시적인 수준의 논의로서 섣불리 일반화하기 어려운 경험적 연구라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현실적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개선되기 위해 다양한 논의를 촉발시킬 하나의 촉매제가 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공론의 장을 마련할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천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현재와 같은 교육과정 생성 방식이 사회과 교육과 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실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천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현재와 같은 교육과정 생성 방식이 사회과 교육과 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실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변환하여 가르치고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들이 사회과 교육과정을 수업으로 변환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가?, 셋째, 초등교사들의 교육과정 생성으로 인해 교과로서 사회과는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것은 초등교육이라는 정체성으로 인해 사회과의 정체성이 변화되어가는 특수한 현상들을 이해하게 해줌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및 구성 방법 등의 개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맥락적인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사전 질문지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개별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수업으로 옮아가기까지의 과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밝혀진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은 교사들의 실행에 제약적인 측면을 나타냈고, 교사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마다 변화의 논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교육 환경의 변화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외부적 요인과 초등사회과에 대한 주체성이 부족하다는 내부적 요인으로 교육과정 생성에 제약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생성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고, 이를 전 교과를 가르칠 수 있다는 초등교사의 특수성을 살려 교육과정의 적극적인 통합과 연계로 극복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과정 통합에 있어 초등사회과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되었고, 학생들의 삶과 연계한 실천을 강조하기 위해 초등사회과 중심 통합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타 교과를 도구화하여 사회과로 끌어들이기도 하였으며, 이를 넘어서서 탈학문적인 대단위 프로젝트의 수업도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서의 공고화된 교육적 배치들은 사회과를 중심으로 재편되기도 하였으며, 초등교사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수행에 실행적 격차를 발생시키는 근원적인 문제점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교육과정의 ‘내용 측면’과 담론의 ‘흐름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의 ‘내용 측면’이란 본 연구의 초점이 되었던 교과 구성 원리의 세부적인 원칙들이 어떻게 적용되어 문제점으로 부각되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교육과정 내용 선정과 배열은 여전히 아이들의 입장보다 학문적 개념이나 영역특수성에 의해 선택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수평적 조직원리로서 ‘통합성’에 대한 피상적 접근으로 통합의 효용성을 살펴볼 수 없다. 셋째, 교육과정의 수직적 조직원리로서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기보다 환경확대법에 의해 내용 배열이 매몰되고 있다. 넷째, 교육과정 자체에 가르쳐야 할 사실적 내용요소를 세부적으로 나열하여 해석과 변형의 폭이 제한적이다.
      다음으로 담론의 ‘흐름 측면’이란 본 연구의 분석틀이었던 교육과정 실행의 3차원 구조 속에서 각 차원들 간의 의사소통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의 전달과 해석에 있어 단방향 소통 구조에 의한 선형적인 의사소통 체계가 형성되어 획일성을 낳고 있었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담론의 흐름이 상호작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이론가로서 사회과교육 연구자와 실천가로서 교사들 사이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셋째, 교사들의 실행에 제약이 발생하는 상호 모순된 메시지가 전달되어 이중구속적인 상황에 처해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실천 속에서 나타난 사회과 교육과정의 ‘생성’은 단순히 하나의 개념으로서 일관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균형과 딜레마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전 교과를 가르치며 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학문적인 체계로 구성된 교과로서 사회과의 정체성이 만나 벌어지는 특수한 현상이었다. 구체적으로 밝혀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수법은 다양화되었으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지식은 대부분 그대로 수용되어 전달되는 획일적인 모습을 나타내며 ‘제한적 생성’의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교과 통합이 확장되었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한편에서는 교과의 경계를 무리하게 침범하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이 동시에 나타나 ‘이중적 생성’의 모습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들이 교과를 소재로서 도구적으로 활용하면 할수록 교과의 학문적 정체성은 점점 옅어지는 ‘상대적 생성’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초등교육에 특화된 사회과 구성 원리 개발 방안’, ‘교수 방법 및 활동의 촉진 방안’, ‘교사 인식 개선 방안’ 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미시적인 수준의 논의로서 섣불리 일반화하기 어려운 경험적 연구라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현실적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개선되기 위해 다양한 논의를 촉발시킬 하나의 촉매제가 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공론의 장을 마련할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i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7
      • 국문초록 i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학교 교과로서 초등사회과의 의미와 성격의 변화 7
      • 가. 학교 교과로서 초등사회과의 의미 7
      • 나. 교육과정 흐름에 따른 초등사회과 성격의 변화 10
      • 2.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와 쟁점 13
      • 가. 교육과정 구성 원리의 다차원성 13
      • 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에 대한 논쟁점들 16
      • 3.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과 한계 25
      • 가.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과 관점의 변화 25
      • 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 한계 28
      • 4. 교육과정 생성 개념 도입의 의의 30
      • 가. 교육과정 생성의 개념 30
      • 나. 교육과정 생성 논리 도입의 의의 31
      • Ⅲ. 연구 방법 35
      • 1. 연구 방법으로서 질적 사례연구 35
      • 2. 연구의 내용 및 절차 37
      • 가. 분석의 초점 37
      • 나. 연구의 과정 41
      • 다. 연구 참여자의 특성 44
      • 3. 자료의 수집 및 분석 51
      • 가. 자료 수집 방법 51
      • 나. 자료 분석 방법 52
      • 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 방안 53
      • Ⅳ.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분석 55
      • 1. 인식: 교육과정의 변화를 교사들이 마주할 때 55
      • 가. 외부적 구속: 교육 환경의 변화에 순응 56
      • 나. 내부적 구속: 교과에 대한 주체성 부족 66
      • 2. 간극: 교육과정이 실제 수업으로 옮아갈 때 71
      • 가. 내용량 조절 실패: 너무 많거나, 너무 적거나 72
      • 나. 내용과 학습자 수준의 괴리: 소 귀에 경 읽기 76
      • 다. 활동 중심 수업 구현의 어려움: 좋은 수업에 대한 선입견 78
      • 3. 변환: 나만의 수업으로 만들어 갈 때 83
      • 가. 생성의 논리: 교과 통합과 연계에 자유로운 초등교육의 특수성 84
      • 나. 생성의 양상: 사회과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92
      • Ⅴ. 교육과정 생성 관점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의 제약과 생성의 딜레마 104
      • 1. 변환 과정에서 나타난 실행의 제약 104
      • 가. 구조적 모순: 교육과정과 실제 수업의 격차 104
      • 나. 선형적 관계: 의사소통 체계의 단방향 소통구조 111
      • 2. 제약 속에 나타난 생성의 딜레마 118
      • 가. 제한적 생성: 교수법의 ‘다양화’, 내용 지식의 ‘획일화’ 119
      • 나. 이중적 생성: 교과 연계의 ‘확장’, 교과 경계의 ‘침범’ 122
      • 다. 상대적 생성: 교과의 도구적 ‘활용’, 학문적 정체성의 ‘약화’ 126
      • Ⅵ. 요약 및 결론 130
      • 1. 요약 130
      • 2. 결론 및 제언 135
      • 참고문헌 143
      • ABSTRACT 15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영석, "사회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15

      2 구정화, 정문성, 설규주, "초등 사회과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2020

      3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 교육과학사, 2010

      4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서울: 학지사, 2003

      5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파주: 교육과학사, 2018

      6 서경혜,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교육과정연구, 34(3), 209-235, 2016

      7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초등 교과교육 의 이해", 파주: 양서원, 2017

      8 서재천, "사회과 초등교육과정론", 사회과교육, 22, 149-161, 1989

      9 김영천, "질적 연구 방법론Ⅰ: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10 김영천, 이현철,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1 김영석, "사회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15

      2 구정화, 정문성, 설규주, "초등 사회과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2020

      3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 교육과학사, 2010

      4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서울: 학지사, 2003

      5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파주: 교육과학사, 2018

      6 서경혜,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교육과정연구, 34(3), 209-235, 2016

      7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초등 교과교육 의 이해", 파주: 양서원, 2017

      8 서재천, "사회과 초등교육과정론", 사회과교육, 22, 149-161, 1989

      9 김영천, "질적 연구 방법론Ⅰ: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10 김영천, 이현철,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11 권오정, 김영석,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파주: 교육과학사, 2003

      12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안혜준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7

      1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2015

      14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파주: 교육과학사, 2014

      15 김준성, 송하인, "초등사회과 인권수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8(13), 213-244, 2018

      16 허영주,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9(1), 137-163, 2011

      17 엄태동, "초등교육 재개념화의 두 가지 길", 초등교육연구, 17(2), 27-51, 2004

      18 최병옥,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교사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7(2), 65-81, 1997

      19 김정인, "사회과통합형 초등 역사교육 모색", 역사교육연구, 27, 183-223, 2017

      20 이흔정,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1), 82-97, 2011

      21 최용규, "초등 사회과교육 60년: 변천과 전망", 사회과교육연구, 12(1), 229-256, 2005

      22 박선미, "사회과 내용의 통합수준과 구성 방안", 사회과교육, 42(2), 29-51, 2003

      23 조재성, "심층면담 기법으로서 모래이야기면담", 질적탐구, 4(2), 25-56, 2018

      24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문화연구, 25(2), 57-82, 2019

      25 전희옥,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배열 원리의 변천", 사회과교육, 28, 181-198, 1995

      26 이바름,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020

      27 박영석,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 시민교육연구, 44(4), 77-115, 2012

      28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시민교육연 구, 48(1), 1-30, 2016

      29 진영은, 함영기,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열린교육 연구, 17(2), 47-71, 2006

      30 김경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자로서의 초등교사", 교육과학연구, 34(1), 145-161, 2003

      31 권리라, 이성은, 윤연희,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5-27, 2004

      32 이용숙,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 방법", 서울: 학지 사, 2005

      33 김영석, "생각이 담긴 교육-고전을 통해 본 시민교육", 서울: 강현출판사, 2014

      34 문현진,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8(17), 519-541, 2018

      35 Ben-Peretz, M., "교사, 교육과정을 만나다. 정광순, 김세영 역", 서울: 강현출판사, 2014

      36 조재식,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인류학연 구, 5(2), 193-225, 2002

      37 한춘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분석", 교육혁신연 구, 28(1), 99-117, 2018

      38 김현진,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교원교육, 33(4), 95-111, 2017

      39 남호엽,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의 쟁점과 대안의 모색", 한국지리환 경교육학회지, 10(1), 53-63, 2002

      40 김종훈,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 구, 35(4), 281-301, 2017

      41 이윤미,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 교육과정연구, 33(3), 79-100, 2015

      42 박승철, "교육과정, 수업, 평가, 운영 실태 및 일체화 연구",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43 서명석,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교육과정 연구, 29(3), 75-91, 2011

      44 소경희,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교육과정 연구, 28(3), 107-125, 2010

      45 민윤, "사회과 수업 전문성 담론의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 사회과교육 연구, 17(2), 27-43, 2010

      46 주웅영, "초등 교실 역사수업의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전제", 역사교육 논집, 73, 69-113, 2020

      47 김종건,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통합교 육과정연구, 1(1), 141-158, 2007

      48 Clandinin, D. J., Connelly, F. M., "내러티브 탐구.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민정 역", 파주: 교육과학사, 2006

      49 Beane, J. A., "민주적인 교육의 핵심을 지향하는 설계. 노영주 역", 춘천: 춘천대학교 출판부, 2019

      50 Eisner, E. W., "교육적 상상력: 교육과정의 구성과 평가. 이해명 역",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91

      51 김경자, 이경진, 온정덕,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이해를 위한 수업-", 서울: 교육아카데미, 2017

      52 박윤경, "단위학교의 7차 교육과정 준비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시 민교육연구, 31(1), 109-142, 2000

      53 이동원, "초등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략 구현 양상과 의미 탐색", 사회과 교육연구, 24(4), 105-116, 2017

      54 이동원, "한국 초등사회과의 형성과 변화 논리. 박사학위논문", 한국 교원대학교, 2003

      55 서경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 과정연구, 27(3), 159-189, 2009

      56 설규주,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분석 연구", 사회과교육, 48(2), 29-51, 2009

      57 이윤미, "한 초등학교에서 개발한 ‘학교 교과목’ 의 의미 탐색", 초등교 육연구, 33(3), 27-48, 2020

      58 박민정,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교 육과정연구, 30(3), 247-270, 2012

      59 류재명, "사회과 통합운영과 지리과 교육과정의 계열적 조직방안", 사 회과학교육, 1, 55-82, 1997

      60 김영석,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사 회과교육연구, 12(2), 19-36, 2005

      61 손승희,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연구동향과 발전동향", 교 육연구논총, 29(2), 1-20, 2008

      62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4

      63 박철웅,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리교육의 정체성과 대응",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1-13, 2016

      64 조상연, "초등교사가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사용하는 양상탐색",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8), 587-614, 2015

      65 신영준, "2015개정 통합과학 수업관찰을 통한 실행된 교육과 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79-388, 2019

      66 조덕주, "초등교사의 일상이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19(1), 53-79, 2006

      67 김가은, 김선영,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 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261-285, 2015

      68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열린교육연구, 25, 147-168, 2017

      69 김평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 안", 교육과정연구, 22(2), 135-161, 2004

      70 조덕주,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연계자와 변화지원자에 대한 고 찰", 교육과정연구, 17(2), 191-207, 1999

      71 김현규, "국가교육과정 문서 안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용어의 의미 연역", 통합교육과정연구, 9(2), 54-82, 2015

      72 박새롬,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통합형 수업의 구성 방 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0), 57-81, 2017

      73 서은지, "한 중견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 구", 질적탐구, 5(2), 29-53, 2019

      74 이동원, "초등사회과 교사전문성 담론의 수용과 좋은 수업안 쓰기의 조건", 사회과교육연구, 14(3), 37-51, 2007

      75 김경자, "교과교육에 대한 재고: 초등사회과를 통해 본 교과교육의 가 능성", 교육과학연구, 30, 1-18, 1999

      76 이간용,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15-32, 2016

      77 강지영,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2

      78 이윤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 행 관점과 의미", 교육과정연구, 33(4), 65-89, 2015

      79 성열관, "하향식 교육과정 정책은 어떻게 상향식 교사 리더십과 만날 것인가?", 교육과정연구, 38(1), 1-4, 2020

      80 차경수, "현대의 사회과교육. 서울: 학문사. 차경수, 모경환 (2008). 사회과교육", 서울: 동문사, 2000

      81 김다원,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 구성방식과 내용구성 변화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7(3), 261-274, 2018

      82 김용호, "MBTI 유형차이에 의한 상하간의 커뮤니케이션 패턴 연 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06

      83 김영석, "미국 초등 사회과 sequence 복합구조의 변천 과정 (1940-1990).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98

      84 박애경, "세계민교육에서 교사들의 글로벌정의 관점화 과정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019

      85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2015

      86 이경진,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2), 69-99, 2006

      87 한명희, "교육과정에 있어서 이론과 실천의 관계성-관련성의 상황과 문제의 분석-", 교육과정연구, 16(2), 27-49, 1998

      88 이상은, "학교 교과 ‘되기’ 과정에 나타난 학교 교과의 속성 탐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89 추광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인식・실행 결정 요인 분 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7

      90 한춘희,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시 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54(4), 65-83, 2015

      91 김한성, 홍원표, "2015 개정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초등사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65-190, 2019

      92 정혜영, "독일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14(3), 225-241, 2001

      93 김왕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교실 수 업 이해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연구, 35(2), 1-24, 2003

      94 정문성,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역사 수업 자료 분석 연구-초 등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8(4), 145-171, 2016

      95 박윤경, "교육과정 변화기 사회과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사 례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003

      96 유성열, "2014 핀란드 교육과정으로 본 학교교육과정을 지원하 는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탐색", 통합교육과정연구, 12(4), 171-196, 2018

      97 구정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권교육 내용체계 분석-사회/도덕 교 과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13(1), 1-33, 2018

      98 이동원, "초등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제 변화 양상- 이해, 소통, 공감의 매개로 전환-", 사회과교육연구, 26(2), 73-86, 2019

      99 김봉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과 통합형 초등학교 독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회과수업연구, 5(2), 17-46, 2017

      100 이호철,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활동가치 함양을 위한 통합 체육교육과정의 실행 경험",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4), 105-122, 2015

      101 최정연,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 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4), 1-16, 2019

      102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3~4학 년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19-1)",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19

      103 김혜경, 황지현, 최현희, 박기수, "교사별 교육과정 현장 실태 및 적용 방안 연구: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정책진단 2018-3",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104 심승희,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 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4), 347-364, 2008

      105 허종렬, "법교육 영역에서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과제", 사회과교육, 56(1), 61-80, 2017

      106 박인기, "교과의 생태와 교과의 진화-교과의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국어교과의 진화 조건-", 국어교육학연구, 34, 309-343, 2009

      107 최유리,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2-112, 2018

      108 최일석, "초등교사들의 초등교육의 역할과 교직에 대한 관점: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019

      109 나경훈,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국 C3Framework의 비교 연 구: 초등사회과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8(1), 43-62, 2019

      110 차조일, "사회과 통합교육과정모형에 대한 연구-기존 논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이론적 기반의 탐색", 시민교육연구, 27, 125-148, 1998

      111 강대현, "사회과 교육 내용구성 원리와 실제에 대한 탐색-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 설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1-20, 2007

      112 민윤, "사회과교육에서 혁신교육운동의 적용과 문제-경기도교육청의 ‘창의지성교육’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0(4), 13-25, 2013

      113 이동원,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논쟁점과 과제-내용배열 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5(2), 61-85, 2008

      114 김응현, "문․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사회과교육 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22(4), 63-78, 2015

      115 방지원, "역사교육과정의 현대사 내용 구성 관련 개선 과제-국내 쟁 점과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정책 제안-", ISSUE PAPER CP 2020-23, 2020

      116 최진영,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 활용 양상 탐색: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7(20), 709-738, 2017

      117 박영석, "수업 장학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사회과 교사의 수업장학 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5

      118 장의선, "2015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교육과정의 스코프와 시퀀스 연구-지 리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6(1), 57-74, 2019

      119 김대현, 박소영,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 연구, 20(2), 168-183, 2008

      120 이혁규, "교과를 넘어서는 상상력. 2012년도 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공동주최 학술대회 자료집, 17-33", 한국교육과정 학회, 2012

      121 주형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에 대한 교사 인식. (이슈페이퍼 ORM 2020-40-7)", 진 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122 성경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 연계성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일반사회 영역을 대상으로-", 교육연구, 70, 59-82, 2017

      123 류지선,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5~6학년군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9

      124 이선영, "초등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의 계열 분석 및 구성 방 안-제 7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중심으로-", 법 과인권교육연구, 10(3), 95-121, 2017

      125 김진숙, "미래사회 대비 개혁으로서의 국가교육과정 개혁 방향. 2021 년도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3-18", 한국 교육과정학회, 2021

      126 강선주, "사회변화의 측면에서 본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역 사 영역의 한계와 개선 방향-내용 조직 원칙을 중심으로-", 교원 교육, 36(1), 169-191, 2020

      127 천윤영, "국가수준 및 교사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식과 기능의 관계 분석: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

      128 박선미,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273-285, 2004

      129 은지용,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원리의 복합적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자전적 성찰 경험에 기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사 회과교육, 57(4), 59-80, 2018

      130 방지원, "2007 개정 역사교육과정의 특징과 ‘사회과역사’의 가능성. 2009년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33-47",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131 김세영, "초등학교 학교 교과목 개발 및 실행 사례 탐구. 2020년도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교육과정 분과 자유주제발표 자료 집, 1-23",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132 임기환, "초등학교 역사과 내용구성에서 인물사, 생활사, 문화사 구성 의 가능성 탐색-2015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역사 영역을 중심 으로", 역사교육연구, 26, 8-46, 2016

      133 이경진,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 으로.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