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석, "사회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15
2 구정화, 정문성, 설규주, "초등 사회과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2020
3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 교육과학사, 2010
4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서울: 학지사, 2003
5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파주: 교육과학사, 2018
6 서경혜,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교육과정연구, 34(3), 209-235, 2016
7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초등 교과교육 의 이해", 파주: 양서원, 2017
8 서재천, "사회과 초등교육과정론", 사회과교육, 22, 149-161, 1989
9 김영천, "질적 연구 방법론Ⅰ: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10 김영천, 이현철,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11 권오정, 김영석,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파주: 교육과학사, 2003
12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안혜준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7
1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2015
14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파주: 교육과학사, 2014
15 김준성, 송하인, "초등사회과 인권수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8(13), 213-244, 2018
16 허영주,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9(1), 137-163, 2011
17 엄태동, "초등교육 재개념화의 두 가지 길", 초등교육연구, 17(2), 27-51, 2004
18 최병옥,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교사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7(2), 65-81, 1997
19 김정인, "사회과통합형 초등 역사교육 모색", 역사교육연구, 27, 183-223, 2017
20 이흔정,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1), 82-97, 2011
21 최용규, "초등 사회과교육 60년: 변천과 전망", 사회과교육연구, 12(1), 229-256, 2005
22 박선미, "사회과 내용의 통합수준과 구성 방안", 사회과교육, 42(2), 29-51, 2003
23 조재성, "심층면담 기법으로서 모래이야기면담", 질적탐구, 4(2), 25-56, 2018
24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문화연구, 25(2), 57-82, 2019
25 전희옥,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배열 원리의 변천", 사회과교육, 28, 181-198, 1995
26 이바름,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020
27 박영석,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 시민교육연구, 44(4), 77-115, 2012
28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시민교육연 구, 48(1), 1-30, 2016
29 진영은, 함영기,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열린교육 연구, 17(2), 47-71, 2006
30 김경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자로서의 초등교사", 교육과학연구, 34(1), 145-161, 2003
31 권리라, 이성은, 윤연희,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5-27, 2004
32 이용숙,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 방법", 서울: 학지 사, 2005
33 김영석, "생각이 담긴 교육-고전을 통해 본 시민교육", 서울: 강현출판사, 2014
34 문현진,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8(17), 519-541, 2018
35 Ben-Peretz, M., "교사, 교육과정을 만나다. 정광순, 김세영 역", 서울: 강현출판사, 2014
36 조재식,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인류학연 구, 5(2), 193-225, 2002
37 한춘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분석", 교육혁신연 구, 28(1), 99-117, 2018
38 김현진,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교원교육, 33(4), 95-111, 2017
39 남호엽,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의 쟁점과 대안의 모색", 한국지리환 경교육학회지, 10(1), 53-63, 2002
40 김종훈,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 구, 35(4), 281-301, 2017
41 이윤미,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 교육과정연구, 33(3), 79-100, 2015
42 박승철, "교육과정, 수업, 평가, 운영 실태 및 일체화 연구",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43 서명석,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교육과정 연구, 29(3), 75-91, 2011
44 소경희,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교육과정 연구, 28(3), 107-125, 2010
45 민윤, "사회과 수업 전문성 담론의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 사회과교육 연구, 17(2), 27-43, 2010
46 주웅영, "초등 교실 역사수업의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전제", 역사교육 논집, 73, 69-113, 2020
47 김종건,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통합교 육과정연구, 1(1), 141-158, 2007
48 Clandinin, D. J., Connelly, F. M., "내러티브 탐구.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민정 역", 파주: 교육과학사, 2006
49 Beane, J. A., "민주적인 교육의 핵심을 지향하는 설계. 노영주 역", 춘천: 춘천대학교 출판부, 2019
50 Eisner, E. W., "교육적 상상력: 교육과정의 구성과 평가. 이해명 역",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91
51 김경자, 이경진, 온정덕,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이해를 위한 수업-", 서울: 교육아카데미, 2017
52 박윤경, "단위학교의 7차 교육과정 준비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시 민교육연구, 31(1), 109-142, 2000
53 이동원, "초등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략 구현 양상과 의미 탐색", 사회과 교육연구, 24(4), 105-116, 2017
54 이동원, "한국 초등사회과의 형성과 변화 논리. 박사학위논문", 한국 교원대학교, 2003
55 서경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 과정연구, 27(3), 159-189, 2009
56 설규주,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분석 연구", 사회과교육, 48(2), 29-51, 2009
57 이윤미, "한 초등학교에서 개발한 ‘학교 교과목’ 의 의미 탐색", 초등교 육연구, 33(3), 27-48, 2020
58 박민정,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교 육과정연구, 30(3), 247-270, 2012
59 류재명, "사회과 통합운영과 지리과 교육과정의 계열적 조직방안", 사 회과학교육, 1, 55-82, 1997
60 김영석,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사 회과교육연구, 12(2), 19-36, 2005
61 손승희,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연구동향과 발전동향", 교 육연구논총, 29(2), 1-20, 2008
62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4
63 박철웅,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리교육의 정체성과 대응",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1-13, 2016
64 조상연, "초등교사가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사용하는 양상탐색",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8), 587-614, 2015
65 신영준, "2015개정 통합과학 수업관찰을 통한 실행된 교육과 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79-388, 2019
66 조덕주, "초등교사의 일상이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19(1), 53-79, 2006
67 김가은, 김선영,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 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261-285, 2015
68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열린교육연구, 25, 147-168, 2017
69 김평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 안", 교육과정연구, 22(2), 135-161, 2004
70 조덕주,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연계자와 변화지원자에 대한 고 찰", 교육과정연구, 17(2), 191-207, 1999
71 김현규, "국가교육과정 문서 안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용어의 의미 연역", 통합교육과정연구, 9(2), 54-82, 2015
72 박새롬,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통합형 수업의 구성 방 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0), 57-81, 2017
73 서은지, "한 중견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 구", 질적탐구, 5(2), 29-53, 2019
74 이동원, "초등사회과 교사전문성 담론의 수용과 좋은 수업안 쓰기의 조건", 사회과교육연구, 14(3), 37-51, 2007
75 김경자, "교과교육에 대한 재고: 초등사회과를 통해 본 교과교육의 가 능성", 교육과학연구, 30, 1-18, 1999
76 이간용,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15-32, 2016
77 강지영,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2
78 이윤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 행 관점과 의미", 교육과정연구, 33(4), 65-89, 2015
79 성열관, "하향식 교육과정 정책은 어떻게 상향식 교사 리더십과 만날 것인가?", 교육과정연구, 38(1), 1-4, 2020
80 차경수, "현대의 사회과교육. 서울: 학문사. 차경수, 모경환 (2008). 사회과교육", 서울: 동문사, 2000
81 김다원,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 구성방식과 내용구성 변화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7(3), 261-274, 2018
82 김용호, "MBTI 유형차이에 의한 상하간의 커뮤니케이션 패턴 연 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06
83 김영석, "미국 초등 사회과 sequence 복합구조의 변천 과정 (1940-1990).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98
84 박애경, "세계민교육에서 교사들의 글로벌정의 관점화 과정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019
85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2015
86 이경진,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2), 69-99, 2006
87 한명희, "교육과정에 있어서 이론과 실천의 관계성-관련성의 상황과 문제의 분석-", 교육과정연구, 16(2), 27-49, 1998
88 이상은, "학교 교과 ‘되기’ 과정에 나타난 학교 교과의 속성 탐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89 추광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인식・실행 결정 요인 분 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7
90 한춘희,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시 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54(4), 65-83, 2015
91 김한성, 홍원표, "2015 개정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초등사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65-190, 2019
92 정혜영, "독일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14(3), 225-241, 2001
93 김왕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교실 수 업 이해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연구, 35(2), 1-24, 2003
94 정문성,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역사 수업 자료 분석 연구-초 등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8(4), 145-171, 2016
95 박윤경, "교육과정 변화기 사회과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사 례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003
96 유성열, "2014 핀란드 교육과정으로 본 학교교육과정을 지원하 는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탐색", 통합교육과정연구, 12(4), 171-196, 2018
97 구정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권교육 내용체계 분석-사회/도덕 교 과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13(1), 1-33, 2018
98 이동원, "초등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제 변화 양상- 이해, 소통, 공감의 매개로 전환-", 사회과교육연구, 26(2), 73-86, 2019
99 김봉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과 통합형 초등학교 독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회과수업연구, 5(2), 17-46, 2017
100 이호철,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활동가치 함양을 위한 통합 체육교육과정의 실행 경험",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4), 105-122, 2015
101 최정연,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 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4), 1-16, 2019
102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3~4학 년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19-1)",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19
103 김혜경, 황지현, 최현희, 박기수, "교사별 교육과정 현장 실태 및 적용 방안 연구: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정책진단 2018-3",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104 심승희,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 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4), 347-364, 2008
105 허종렬, "법교육 영역에서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과제", 사회과교육, 56(1), 61-80, 2017
106 박인기, "교과의 생태와 교과의 진화-교과의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국어교과의 진화 조건-", 국어교육학연구, 34, 309-343, 2009
107 최유리,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2-112, 2018
108 최일석, "초등교사들의 초등교육의 역할과 교직에 대한 관점: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019
109 나경훈,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국 C3Framework의 비교 연 구: 초등사회과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8(1), 43-62, 2019
110 차조일, "사회과 통합교육과정모형에 대한 연구-기존 논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이론적 기반의 탐색", 시민교육연구, 27, 125-148, 1998
111 강대현, "사회과 교육 내용구성 원리와 실제에 대한 탐색-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 설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1-20, 2007
112 민윤, "사회과교육에서 혁신교육운동의 적용과 문제-경기도교육청의 ‘창의지성교육’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0(4), 13-25, 2013
113 이동원,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논쟁점과 과제-내용배열 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5(2), 61-85, 2008
114 김응현, "문․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사회과교육 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22(4), 63-78, 2015
115 방지원, "역사교육과정의 현대사 내용 구성 관련 개선 과제-국내 쟁 점과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정책 제안-", ISSUE PAPER CP 2020-23, 2020
116 최진영,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 활용 양상 탐색: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7(20), 709-738, 2017
117 박영석, "수업 장학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사회과 교사의 수업장학 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5
118 장의선, "2015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교육과정의 스코프와 시퀀스 연구-지 리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6(1), 57-74, 2019
119 김대현, 박소영,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 연구, 20(2), 168-183, 2008
120 이혁규, "교과를 넘어서는 상상력. 2012년도 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공동주최 학술대회 자료집, 17-33", 한국교육과정 학회, 2012
121 주형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에 대한 교사 인식. (이슈페이퍼 ORM 2020-40-7)", 진 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122 성경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 연계성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일반사회 영역을 대상으로-", 교육연구, 70, 59-82, 2017
123 류지선,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5~6학년군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9
124 이선영, "초등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의 계열 분석 및 구성 방 안-제 7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중심으로-", 법 과인권교육연구, 10(3), 95-121, 2017
125 김진숙, "미래사회 대비 개혁으로서의 국가교육과정 개혁 방향. 2021 년도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3-18", 한국 교육과정학회, 2021
126 강선주, "사회변화의 측면에서 본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역 사 영역의 한계와 개선 방향-내용 조직 원칙을 중심으로-", 교원 교육, 36(1), 169-191, 2020
127 천윤영, "국가수준 및 교사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식과 기능의 관계 분석: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
128 박선미,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273-285, 2004
129 은지용,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원리의 복합적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자전적 성찰 경험에 기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사 회과교육, 57(4), 59-80, 2018
130 방지원, "2007 개정 역사교육과정의 특징과 ‘사회과역사’의 가능성. 2009년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33-47",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131 김세영, "초등학교 학교 교과목 개발 및 실행 사례 탐구. 2020년도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교육과정 분과 자유주제발표 자료 집, 1-23",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132 임기환, "초등학교 역사과 내용구성에서 인물사, 생활사, 문화사 구성 의 가능성 탐색-2015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역사 영역을 중심 으로", 역사교육연구, 26, 8-46, 2016
133 이경진,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 으로.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