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예의 정치적 가능성 - 시민적 개입과 문화적 참여로서의 공예행동주의 = The Political Prospect of Crafts - Craftivism as Civil Engagement and Cultural Partici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14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status of craft with a focus on craftivism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craft by studying examples of political and creative engagement in craft today. I begin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craft has functioned as a strategy of resistance by studying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Suffrage Movement, and the Apilera of Chile. Nex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works of representative practitioners of craftivism. While Betsy Greer describes craftivism through the categories of beautification, donation, and notification, Sarah Corbett takes a more activist perspective. Meanwhile, Tal Fitzpatrick argues for the expansion of craftivism into a ‘DIY citizenship’ mode. Finally, I examined the Pink M.24 Chaffee and PM Please Quilt project as examples of craftivism.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craftivism engages with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that it is a uniquely human creative ability to use crafts as forms of resistanc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status of craft with a focus on craftivism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craft by studying examples of political and creative engagement in craft today. I begin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s in wh...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status of craft with a focus on craftivism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craft by studying examples of political and creative engagement in craft today. I begin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craft has functioned as a strategy of resistance by studying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Suffrage Movement, and the Apilera of Chile. Nex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works of representative practitioners of craftivism. While Betsy Greer describes craftivism through the categories of beautification, donation, and notification, Sarah Corbett takes a more activist perspective. Meanwhile, Tal Fitzpatrick argues for the expansion of craftivism into a ‘DIY citizenship’ mode. Finally, I examined the Pink M.24 Chaffee and PM Please Quilt project as examples of craftivism.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craftivism engages with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that it is a uniquely human creative ability to use crafts as forms of resist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를 중심으로 공예의 사회적 위상을 고찰하고 오늘날 공예가 갖는 정치적이고, 창의적인 참여활동 사례들을 조명함으로써 동시대 공예의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스피닝 비즈 운동,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여성참정권 운동, 칠레의 아필레라 작업을 살펴보고 공예가 국가와 문화, 공동체 내에서 저항의 전략으로 기능해왔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의 대표적 실천가인 벳시 그리어, 사라 코벳, 탈 피츠패트릭의 논의를 비교분석하였는데, 그리어는 공예행동주의를 미화, 기부, 고지(告知)의 범주로 설명하지만, 코벳은 보다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사회 구조적 변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공예행동주의의 동력으로 파악한다. 한편, 탈 피츠패트릭은 공예행동주의를 ‘DIY 시민권’ 모드로 확장할 것을 주장하며, 디지털 참여 행위까지 확장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정치적 문제를 알리기 위한 공예행동주의의 대표적 사례로 <핑크 M.24 채피(Pink M.24 Chaffee)>(2006)를, SNS를 활용한 디지털 참여 프로젝트로 <피엠 플리즈 퀼트(PM Please Quilt)>(2015)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공예행동주의가 정치, 사회, 문화적 이슈에 개입하고 있으며, 공예를 저항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인간의 창조적 능력임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를 중심으로 공예의 사회적 위상을 고찰하고 오늘날 공예가 갖는 정치적이고, 창의적인 참여활동 사례들을 조명함으로써 동시대 공예의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를 중심으로 공예의 사회적 위상을 고찰하고 오늘날 공예가 갖는 정치적이고, 창의적인 참여활동 사례들을 조명함으로써 동시대 공예의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스피닝 비즈 운동,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여성참정권 운동, 칠레의 아필레라 작업을 살펴보고 공예가 국가와 문화, 공동체 내에서 저항의 전략으로 기능해왔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공예행동주의의 대표적 실천가인 벳시 그리어, 사라 코벳, 탈 피츠패트릭의 논의를 비교분석하였는데, 그리어는 공예행동주의를 미화, 기부, 고지(告知)의 범주로 설명하지만, 코벳은 보다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사회 구조적 변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공예행동주의의 동력으로 파악한다. 한편, 탈 피츠패트릭은 공예행동주의를 ‘DIY 시민권’ 모드로 확장할 것을 주장하며, 디지털 참여 행위까지 확장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정치적 문제를 알리기 위한 공예행동주의의 대표적 사례로 <핑크 M.24 채피(Pink M.24 Chaffee)>(2006)를, SNS를 활용한 디지털 참여 프로젝트로 <피엠 플리즈 퀼트(PM Please Quilt)>(2015)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공예행동주의가 정치, 사회, 문화적 이슈에 개입하고 있으며, 공예를 저항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인간의 창조적 능력임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퀼트포키즈 홈페이지"

      2 "퀼트오브벨러 홈페이지"

      3 "캐리 라이카트 홈페이지"

      4 안영주, "뜨개질의 정치학: 공예행동주의를 통한 여성들의 정치적 참여와 사회적 개입"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8 (28): 219-229, 2022

      5 "What is DIY?"

      6 "What exactly is the Craftivist Collective?"

      7 Parker, Rozsika, "The Subversive Stitch : Embroidery and the Making of the Feminine" Bloomsbury Visual Arts 2019

      8 Sarah Corbett, "The Craftivist Collective Guide to Craftivism"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2 (22): 344-351, 2011

      9 Morris, William, "The Craft Reader" Berg Publishers 2010

      10 "PM Please quilt"

      1 "퀼트포키즈 홈페이지"

      2 "퀼트오브벨러 홈페이지"

      3 "캐리 라이카트 홈페이지"

      4 안영주, "뜨개질의 정치학: 공예행동주의를 통한 여성들의 정치적 참여와 사회적 개입"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8 (28): 219-229, 2022

      5 "What is DIY?"

      6 "What exactly is the Craftivist Collective?"

      7 Parker, Rozsika, "The Subversive Stitch : Embroidery and the Making of the Feminine" Bloomsbury Visual Arts 2019

      8 Sarah Corbett, "The Craftivist Collective Guide to Craftivism"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2 (22): 344-351, 2011

      9 Morris, William, "The Craft Reader" Berg Publishers 2010

      10 "PM Please quilt"

      11 Salmon, Marylynn, "No Small Courage: A History of Women in The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2000

      12 Eleanor O’Neill, "Knitting: The Destructive Yarn-Bomb" Informa UK Limited 1-10, 2022

      13 Hermanson, Tove, "Knitting as Dissent: Female Resistance in America Since the Revolutionary War" Textile Society of America 2012

      14 Goggin, Maureen Daly, "Knitting Social Identity : Yarn Grafitti in Transnational Craftivist Protests" 2 (2): 2013

      15 Black, Shannon, "KNIT+RESIST: placing the Pussyhat Project in the context of craft activism" 24 (24): 2017

      16 Corbett, Sarah, "How To Be A Craftivist: The Art of Gentle Protest" Unbound 2019

      17 Jackson, Andrew, "Extra/Ordinary: Craft and Contemporary Art" Duke University Press 2011

      18 Greer, Betsy, "Extra/Ordinary: Craft and Contemporary Art" Duke University Press 2011

      19 Robertson, Kirsty, "Extra/Ordinary: Craft and Contemporary Art" Duke University Press 2011

      20 "Don’t Blow It! Craftivist Collective’s Founder Sarah Corbett on Crafty Activism"

      21 Ratto, Matt, "DIY Citizenship: Critical Making and Social Media" The MIT Press 2014

      22 "Craftivism: Where Craft and Activism Meet"

      23 Fry, Rachel, "Craftivism: The role of feminism in craft activism" Saint Mary’s 2014

      24 Fitzpatrick, Tal, "Craftivism: A Manifesto/Methodology"

      25 Fitzpatrick, Tal, "Craftivism as DIY citizenship: The practice of making change" University of Melbourne 2018

      26 Van der Velden, Calina, "Crafting Protest: Craftivism as Soft Feminist Activism" Utrecht University 2019

      27 "Arpillera and Resistance"

      28 "Activism needs introverts"

      29 "A Craftivist’s Manifest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