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njo had been developed as a music having improvising with a fixed foam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from the Heotuen melody of Korean Shamanism music. Currently, this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has been loosed by adapting the West...

      Sanjo had been developed as a music having improvising with a fixed foam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from the Heotuen melody of Korean Shamanism music. Currently, this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has been loosed by adapting the Western music notation and approach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sidered Sanjo and Pansori had the same musical style by comparing Sanjo and Pansori influenc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njo, and aim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after comparing the musical style of Sanjo and Pansori.
      ․Both Sanjo and Pansori were based their origins on Korean Shamanism music.
      ․The names of Sanjo Jangdan, the constitution of the Jangdan by Ki․Kyung․ Kyul․Hae of Jinyangjo, and the Naedueruem of each Jangdan and the foam of Doseop Jangdan are the same with those of Pansori. However, Pansori used Jangdan by the contents of its texts, and the Sanjo Jangdan having no its texts had fixed the foam by the orders of tempo, like Jinyang‐Jungmori‐JungJungmori‐Jajinmori‐Hwimori.
      ․The musical mode of Sanjo used those of Pansori, like Utjo․Pyungjo․Gyemyunjo which had used in Gagok or Youngsanhwoesang, and had been developed by the content of its texts. However, the mode of Sanjo having no its texts expressed by subdividing that of Pansori.
      ․After the Sigimsae of Pansori considered the sound with combining its melody, and compared the sounds by the melodies of Sanjo, this paper concluded that Sanjo expressed the Sigimsae of Pansori using instruments.
      Consequently, since Sanjo is the music which absorbed and developed the musical style of Pansori, it is improper that this music has been taught, and played by the Western musical approaches for the simple reason of its convenience. Furthermore, the author argued that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Sanjo should be understood b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style although the music wrote by the Western notation. She also proposed that the learners of Sanjo need to be familiar to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Pansori by learning or deep listening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산조는 무악(巫樂)의 흩은 가락에서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정형적(定刑的)이면서도 즉흥성이 살아있는 음악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서양음악 형식의 채보와 교육방법에 의해 산조...

      산조는 무악(巫樂)의 흩은 가락에서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정형적(定刑的)이면서도 즉흥성이 살아있는 음악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서양음악 형식의 채보와 교육방법에 의해 산조가 지니는 전통적인 음악 특징을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조 형성과 발달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 판소리의 음악양식과 오늘날 산조의 음악양식을 비교하여 산조가 판소리와 동일한 음악양식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고, 산조의 전통적인 음악특징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고에서 산조와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소리와 산조는 음악적 근원을 무악에 두고 있음이 같다.
      ․산조장단의 ‘명칭, 진양조 기(起)경(景)결(結)해(解)에 따른 장단구성, 각 장단의 내드름, 도섭장단형식’ 등이 판소리의 그것과 같다. 다만 판소리는 사설 내용에 따라 장단이 사용되며, 사설이 없는 산조는 장단을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등 빠르기 순으로 정형화 하였다.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판소리의 악조는 이전부터 전해 내려 온 전통음악, 즉 가곡이나 영산회상 등에서 사용하던 우조․평조․계면조를 사용하되 사설의 내용에 따라 좀더 세분화시켜 발전되었고, 가사 없는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를 더욱 세분화 시켜 악상을 표현하였다.
      ․판소리의 시김새를 선율과 결합되어 있는 목으로 분류 고찰하고, 산조의 선율에 따른 성음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산조는 판소리의 시김새를 악기로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산조는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그대로 흡수 발전시킨 음악이다. 이러한 음악을 단지 편하다는 이유로 서양 음악의 리듬과 박자, 그리고 음 이름을 사용하여 교육하고, 또 서양음악 어법으로 이해하여 연주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본 연구자는 산조를 교육하고 연주하는데 있어 표기는 서양음악식 기보를 사용하더라도 음악의 장단․시김새․악조(樂調) 등은 국악어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산조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조 선행학습으로 판소리를 배우거나 많이 들어서 장단․시김새․악조(樂調)등이 익숙해지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성악 in: 한국전통음악대전집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2 "한국의 기악 in: 국전통음악대전집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3 이보형, "한국음악의 ‘시김새’연구방법 시론" 한양대학교 13 : 1-18, 1999

      4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민족대백과사전" 1991

      5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16) : 39-70, 1994

      6 백대웅, "판소리에 있어서의 ‘우조, 평조, 계면조’" (8) : 149-203, 1979

      7 조주선, "판소리 계면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0

      8 강한영, "판소리 in: 교양국사총서" 219-, 1977

      9 성애순,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138-, 1986

      10 김해숙,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선율분석-진양조를 중심으로" (12) : 1982

      1 "한국의 성악 in: 한국전통음악대전집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2 "한국의 기악 in: 국전통음악대전집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3 이보형, "한국음악의 ‘시김새’연구방법 시론" 한양대학교 13 : 1-18, 1999

      4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민족대백과사전" 1991

      5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16) : 39-70, 1994

      6 백대웅, "판소리에 있어서의 ‘우조, 평조, 계면조’" (8) : 149-203, 1979

      7 조주선, "판소리 계면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0

      8 강한영, "판소리 in: 교양국사총서" 219-, 1977

      9 성애순,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138-, 1986

      10 김해숙,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선율분석-진양조를 중심으로" (12) : 1982

      11 김해숙, "최옥산류 가야금산조 선율 분석" 12 : 46-64, 1982

      12 황병기,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이화여대출판부 151-, 1998

      13 국립국악원, "전통사회에서의 산조의참모습" 107-, 2004

      14 이재숙, "성금련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113-, 1986

      15 이보형, "산조의 장단과 리듬형의 원류" 서울대학교동양음악연구소 (18) : 131-148, 1996

      16 이지남, "국악가창용어 중 ‘목’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0

      17 "<함동정월산조> 김명환 북 함동정월 가야금"

      18 "<심청가>중 ‘범피중류’ 김명환 북 한애순 창"

      19 한국브리테니커, "<심청가> in: 브리테니커 판소리" 1990

      20 "<가야금산조명인들>"

      21 "<가야금 산조의명인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