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악학궤범』 향악7지 시용궁 지시 12음의생성 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Hyangak ch`ilchi Principle of Referring Twelve Pitches of the Modal Ton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0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악학궤범』(樂學軌範)에는 ‘향악7지’(鄕樂七指: 일명 鄕樂七調)라는 key이론이 나온다. 이것은 합주할 음악의 선법적 주음의 음고(音高)를 대금(大금)의 7공(孔)으로 내는 각 음으로 12음...

      『악학궤범』(樂學軌範)에는 ‘향악7지’(鄕樂七指: 일명 鄕樂七調)라는 key이론이 나온다. 이것은 합주할 음악의 선법적 주음의 음고(音高)를 대금(大금)의 7공(孔)으로 내는 각 음으로 12음을 지시하는 이론이다. 『악학궤범』 향악7지에는 7종의 key 이름이 제시됐고, 각 key 기준음의 음고를 대금 지공(指孔)이 내는 음으로 한 음, 또는 두 음씩 지시하게 되어 모두 12음을 지시하도록 되었다. 대금의 밑에서부터 제1공에서 저취(低吹)로 내는 음으로 시용궁(時用宮)을 지시하는 key는 ‘일지’(一指)라 하고 협종(夾鐘) · 고선(姑洗) 두 음을 지시한다. 제2공에서 저취(低吹)로 내하는 key는 ‘이지’(二指)라 하고 중려(仲呂) · 유빈(유賓) 두 음을 지시한다. 제3공에서는 ‘삼지’(三指)라 하여 임종(林鍾) 한 음을 지시한다. 제4공에서는 ‘사지’(四指: 일명 ‘횡지’(橫指))라 하고 이칙(夷則) · 남려(南呂) 두 음을 지시한다. 제5공에서는 ‘오지’(五指: 또는 ‘우조’(羽調))라하고 무역(無射) · 응종(應鍾) 두 음을 지시한다. 제6공에서는 ‘육지’(六指: 또는 ‘팔조’(八調))라 하여 청황종(淸黃鍾) 한 음을 지시한다. 하공(下孔)에서는 평취(平吹)하여 내는 key는 ‘칠지(七指: 또는 ‘막조’(邈調))라 하고 청대려(淸大呂) · 청태주(淸太簇) 두 음을 지시하여 모두 12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 『악학궤범』 향악7지의 12음 지시 원리에는 몇 가지 의문이 있다. 어찌하여 7음을 지시하지 않고 12음을 지시하며, 제1 key는 기준음(基準音)인데도 한 음을 지시하지 않고 두 음을 지시하며, 그 기준음이 12율 기준음인 황종(黃鍾)이 아니고 협종(夾鍾)이며, 제3, 6 key에서는 한 음만 지시하고, 제1, 2, 4, 5, 7 key에서는 두 음을 지시하는가? 지금까지 이 문제는 한국음악 및 중국음악의 이론으로는 풀리지 않았다. 향악7지(鄕樂七指)에서 key를 지시하는 대금(大금)이라는 악기가 서역(西域)에 기원을 두는 당적(唐笛)에서 나왔다고 하고, 향악7지 이론에 동원되는 계명(階名) 이론이 서역음악(西域音樂)에 보이는 동주음계명(同奏音階名: Cognat Syllable Names)으로 되었고, 향악7지 이론이 쓰이는 대금(大금) · 거문고가 서역음악에 보이는 7음 평균율(平均率)로 된 것으로 봐서, 향악7지라는 이론이 서역음악 이론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향악7지의 12음 생성 문제도 서역음악 이론으로 풀어야 풀릴 것이다. 서역음악인 인도음악 라가(Raga)가 향악7지(鄕樂七指)와 같이 동주음계명(同奏音階名)으로 되었고, 반수리(bansuri) · 고대 비나(veena)와 같은 음고(音高) 지시 악기가 향악7지에서 음고를 지시하는 대금 · 거문고와 같이 7음 평균율로 되었다. 향악7지의 12음 지시법과 같은 원리를 밝힐 수 있는 것이 서역음악에서 많이 보이지만 그 가운데 ‘북인도 음악의 12 타아트(ttat) 구성음 나열표’에서 선법(旋法)의 구성음 12음 지시법(指示法)을 찾아 본 것이다. 인도 Raga의 12 타아뜨 12음 지시법에서 각 선법의 구성음 음고를 악기가 지시하는 지공(指孔) 끼리 추려 보면 제1공 사(Sa)에서는 C 한 음이 나타나고, 제2공 리(Ri)는 D · D flat 두 음, 제3공 가(Ga)는 E · E flat 두 음, 제4공 마(Ma)는 F · F sharp 두 음, 제5공 파(Pa)는 G 한 음, 제6공 다(Dha)는 A · A flat 두 음, 제7공 니(Ni)는 B · B flat 두 음을 지시한다. 이 12 타아뜨 12음으로 지시되는 음고를 따져 보면 두 지공(指孔)에서 한 음, 다섯 지공에서 두 음을 지시하여 모두 12음을 지시하는 것이 한국의 향악7지 이론과 비슷함을 찾았다. 북인도 10 타아뜨가 12음 생성원리를 현대 음악이론으로 풀어보면 동주음계명(同奏音階名)으로 된 각 선법(旋法)의 12 구성음을 7음 평균율로 조율된 악기의 7지공(指孔)에서 내는 음으로 지시하는 원리로 풀어 보면, 제1공 제7공에서는 한 음을 제2공 · 제3공 · 제4공 · 제6공 · 제7공에서는 두 음을 지시하는 원리가 풀어진다. 북인도 10 타아뜨 12음 지시 원리가 여러 서역음악의 선법 구성음 12음 지시 원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원리가 수당대(隋唐代) 중국에 들어와 초기 연악(燕樂)에 쓰여 12음을 중국의 12율로 지시하게 되었다면, 밑에서 제1공에서 저취(低吹) 황종(黃鍾), 제2공에서 저취 대려(大呂)-태주(太簇), 제3공 저취 협종(夾鍾)-고선(姑洗), 제4 저취 중려(仲呂)-유빈(유賓), 제5공 저취 임종(林鍾), 제6공 저취 남려(南呂)-이칙(夷則), 하공(下孔) 평취(平吹) 무역(無射)-응종(應鍾), 제1공 평취 청황종(淸黃鍾), 제2공 평취 청대려(淸大呂)-청태주(淸太簇), 제3공 평취 청협종(淸夾鍾)-청고선(淸姑洗)이 지시됐을 것이다. 이것은 중국 연악(燕樂) 초기에 전해진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중국의 연악이 병행(竝行) 계명으로 변하여 그 흔적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중국 수당대(隋唐代) 초기 연악(燕樂)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초기 연악에 쓰이던 7음 평균율 악기 횡적(橫笛) 7공이 내는 음으로 12음을 지시하는 이론이 한국에 들어와 초기에는 그대로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한 · 중 양국의 횡적 12음 지시 원리도 같아 제1공의 음이 황종(黃鍾)을 지시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음악이 저음(低音) 지향 문화이기 때문에 음악의 음고(音高)가 저음으로 바뀌면서 횡적이 길이가 길어지고 음이 낮아져 대금(大금)이 되었다는 연구가 있다. 이 이론대로 대금의 음고가 낮아지면서 횡적의 12음 지시법을 그대로 두고 지시 음만 차례로 내려가 제1공에서 내는 음이 황종에서 무역-응종으로, 다음은 이칙-남려로… 차례로 내려 왔고, 15세기 『악학궤범』 시기에는 대금 제1공에서 내는 음고가 협종-고선까지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하여 대금 제1공 저취(低吹)에서 협종-고선, 제2공 저취에서 중려-유빈, 제3공 저취에서 임종, 제4공 저취에서 이칙-남려, 제5공 저취에서 무역-응종, 제6공 저취에서 청황종. 하공 평취(平吹)에서 대려-태주를 지시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되어 제1공이 협종-고선이 되고 또 제3공, 제6공에서 한 음을, 제1, 제2, 제4, 제5, 제7공에서 두 음을 지시하게 되는 향악7지 생성원리를 밝힐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ey theory called hyangak ch``ilchi 鄕樂七指 (also called hyangak ch``ilcho 鄕樂七調) was documented in Akhak kwebom,『樂學軌範』 (Guide to the Study of Music),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ongjong 성종(成宗 1469-1494). Th...

      The key theory called hyangak ch``ilchi 鄕樂七指 (also called hyangak ch``ilcho 鄕樂七調) was documented in Akhak kwebom,『樂學軌範』 (Guide to the Study of Music),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ongjong 성종(成宗 1469-1494). This is a theory in which the 12 pitches of the modal tonic for ensemble are referred to seven keys (ch``ilchi 七指), the sound produced from taegum 大금 (large transverse flute) with seven holes. It suggests 7 key names and refers 12 pitches to 7 keys by corresponding one or two pitches per each key. The key called ilchi 一指, produced by softly blowing taegum with the first hole from the bottom open, refers to two pitches called hyopchong 夾鍾 (chia-chung in Chinese) and koson 姑洗 (ku-hsien). The key iji 二指, with the first and second holes open, refers to chungnyo 仲呂 (chung-lu) and yubin 유賓 (jui-pin). The key samji 三指,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les open, refers to imjong 林鍾 (lin-chung). The key called saji 四指 (also called hoengji 橫指), with the first to the fourth hole open, refers to ich``ik 夷則 (i-tse) and namryo 南呂 (nan-lu). The key called oji 五指 (or ujo 羽調), with the first to fifth hole open, refers to muyok 無射 (wu-i) and ungjong 應鍾 (ying-chung). The key called yukchi 六指 (or p‘alcho 八調), with the first to sixth hole, refers ch``onghwangjong 淸黃鍾 (ch``ing-huang-chung). The key called ch``ilchi 七指 (or makjo 邈調), the sound produced by normally blowing taegum with the first to last hole open, refers to ch``ongdaeryo 淸大呂 (ch``ing-ta-lu) and ch``ongt``aeju 淸太簇(ch``ing-t``ai-ts``ou). The hyangak ch``ilchi 鄕樂七指 refers 12 pitches to seven keys in this way. Still, there remains some questions regarding to this hyangak ch``ilchi principle. Why does it refer 12 pitches but not 7 pitches? Why does it refers one pitch to the third and sixth key and two pitches to the first, second, fourth, and seventh key? Why does it refer two pitches to the first key, tonic, and why is that tonic hyopchong 夾鍾, but not hwangjong 黃鍾? These questions have not been solved until now in the music theory scholarship of Korea and China. The facts that taegum 大금 (large transverse flute) that plays a role in the hyangak ch``ilchi 鄕樂七指 principle comes from Soyok 西域, Cental Asia and west regions of China, including India, and the Central and west Asia, and that the hyangak ch``ilchi theory features cognate syllable names, the characteristic of Soyok music show that the hyangak ch``ilchi theory is from the theory of Soyok music. Therefore, the questions regarding the hyangak ch``ilchi principle may be solved with the theory of the Soyok music. Raga of Indian music, similar to hyangak ch``ilchi, is based on cognate syllable names. Instruments like ancient veena and bansuri, similar to taegum 大금 and komun``go 거문고 (six-strined zither), play heptatonic scales. Therefore, the hyangak ch``ilchi theory can be solved with Indian music theory. As one of the examples of Indian music, 10 ttat of North Indian music has the same way of referring 12 pitches to seven keys by corresponding one or two pitches per key to the Korean hyangak ch``ilchi: Sa refers C, Ri refers D and D flat, Ga refers E and E flat, Ma refers F and F sharp, Pa refers G, Dha refers A and A flat, and Ni refers B and B flat. To analyze the principle of making 12 pitches of North Indian 10 thaat with the contemporary music theory, 12 pitches are made when all pitches of 10 scale with cognate syllable names are referred with instruments tuned by heptatonic scale. When Chinese 12 pitches are referred with the principle of making 12 pitches of Indian thaat, ‘the first hole’ refers hwangjong 黃鍾, ‘the second hole’ refers taeryo 大呂 and t``aeju 太簇, ‘the third hole’ refers hyopchong 夾鍾 and koson 姑洗, ‘the fourth hole’ refers chungnyo 仲呂 and yubin 유賓, ‘the fifth hole’ refers imjong 林鍾, ‘the sixth hole’ refers namryo 南呂 and ich``ik 夷則, ‘the seventh hole’ refers muyok 無射 and ungjong 應鍾. Furthermore, ‘the first hole with py``ongch``wi 平吹’ (blowing normally) refers to ch``ong- hwangjong 淸黃鍾, ‘the second hole and py``ongch``wi’ refers ch``ong- daeryo 淸大呂 and ch``ongt``aeju 淸太簇, ‘the third hole and py``ongch``wi’ refers ch``onghyopchong 淸夾鍾 and ch``onggoson 淸姑洗. It seems that these were used in the early stage of yonak 燕樂 (localized Chinese music that came from Soyok), but there is little evidence now. It appears that when Chinese yonak was imported to Korea, the theory (referring twelve pitches out of seven key) related to the earliest yonak was also imported. Korea seems to have established the theory of referring hwangjong out of the sound with the first hole open. This is because hojok 胡笛 (lit. barbarian flute, i.e. Chinese sona) might have become longer and thus its sound might have become lower since Korea had the aesthetic culture of preferring low range of sound. Therefore, it seems that the hyangak ch``ilchi 鄕樂七指 of Akhak kwebom 『樂學軌範』(1493), with retaining the principle of referring 12 pitches to the sound of tangjok 唐笛 (small transverse flute of Chinese origin), was made by lowering the pitches such as hwangjong 黃鍾, muyok-ungjong 無射-應鍾, ich``ik-namnyo 夷則-南呂, and hyopjong-koson 夾鍾-姑洗 in the fifteenth centu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