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946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2.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 형태사항

        vii, 63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문영
        참고문헌 : p.

      •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371959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and empirical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and empirical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enrolled in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which was conducted as an untact survey due to Coronavirus(COVID-19). The questionnaire was drawn up, using Naver Form, and it was set up so that the questionnaire could be submitted only if all questions were responded. As for the measuring tool, a scale on two area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was used, and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sisted of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and sub-factor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consisted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5.0 Software, and as concrete statistical techniques, frequency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ANOVA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First, as for the general tendency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the mean of mastery approach was the highest, and as for the general tendency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at of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was the highest.
      Secon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r=.213, p<.01), between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r=.495, p<.01), and between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r=.185, p<.01).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of mastery approach with mastery avoidance (r=-.348, p<.01) and performance avoidance (r=-.242, p<.01).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sub-area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633≤r≤.795, p<.01). It turne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r=.795, p<.01) was the highest.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md performance avoida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 year, and genre). The mean of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while the mean of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e mean of mastery approach was the highest in seniors, the mean of performance approach was the highest in juniors, and the mean of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was high in sophomores. The mean of other genres was the highest in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while the mean of the genre of ballet was the highest in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Fifth,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 year, and genre). The mea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in all area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the mean of academic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was high in freshmen. In all area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e mean of other genres was the highest.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theoretical value that they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effective for the right university life adaptation by proposing the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focusing on sex, year, and gen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preventing university life mal adaptation and dropo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배경변인들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배경변인들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의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COVID-19(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비대면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모든 문항에 응답하는 경우에만 설문지제출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의 두 가지 영역을 알아보는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성취목표지향성 하위요인으로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으로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 통계기법으로 빈도분석, 피어슨적률상관관계 분석, 다분량 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일반적 경향은 숙달접근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일반적 경향은 대학환경적응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들(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간의 관계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그리고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수행접근과 수행회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달접근은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생활을 적응의 하위영역들(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장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 수행접근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에서는 4학년, 수행접근에서는 3학년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2학년 학생들의 경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에서 기타장르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서는 발레장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활 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장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이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 적응에서는 1학년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기타장르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장르에 초점을 맞춰 개인의 성취목표성향과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대학생활 적응에 유효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이론적 가치가 있다. 또한 대학생활 부적응 및 중도탈락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5
      • 3. 용어의 정의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5
      • 3.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성취목표지향성 9
      • 2. 대학생활 적응 16
      • Ⅲ. 연구방법 22
      • 1. 연구대상 22
      • 2. 연구절차 23
      • 3. 측정도구 24
      • 4. 자료처리 및 분석 27
      • Ⅳ. 연구 결과 28
      • 1. 성취목표지향성 28
      • 1) 성취목표지향성의 일반적 경향 28
      • 2) 성취목표지향성의 상관관계 28
      • 3) 성별·학년·장르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 차이 29
      • 2. 대학생활 적응 36
      • 1) 대학생활 적응의 일반적 경향 36
      • 2) 대학생활 적응의 상관관계 36
      • 3) 성별·학년·장르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차이 37
      • Ⅴ. 논의 및 결론 45
      • 참고문헌 50
      • Abstract 54
      • 부록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