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지리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GIS를 활용한 수질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자료구축을 위하여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31061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2011
한국어
GIS ; 수질관리 ; Reach File ; 네트워크 데이터
910.285 판사항(22)
인천
Development of GIS-Based Korean Reach File for Supporting Water Quality Management
xii, 182 p. ; 26cm
지도교수:김계현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지리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GIS를 활용한 수질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자료구축을 위하여 개...
최근 들어 지리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GIS를 활용한 수질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자료구축을 위하여 개발방법론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표준화된 지리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구축된 공간자료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질관리를 위한 지리정보체계는 하천의 흐름 특성, 연결 관계, 위상 관계 등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 유역 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물환경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흐름분석 및 공간분석 기능을 통해 수질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공간데이터 개발방법론을 정립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및 연결 관계, 공간분석을 위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하천망 네트워크 기반의 한국형 Reach File을 개발하였다. 또한, Reach File과 물환경정보 연계를 위해 DEM을 이용한 유역분할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질모델링 연계 적용을 통해 수질관리에 있어 한국형 Reach File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 Reach File 개발을 위해 최대내접원을 이용한 하천중심선 추출, 위상 정보 및 속성 정보의 구축, Reach File과 유역 환경정보 연계를 위한 집수구역 분할방안 검토, 수질모델링 연계를 통한 활용방안 제시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최대내접원을 이용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천중심선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6개 하천을 대상으로 이등분선을 이용한 중심선 추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한 중심선은 대상하천의 하천일람에 명시된 하천거리와 평균 0.83%의 상대오차를 보였으며, 이등분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심선을 추출한 결과는 평균 1.62%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또한, 한국형 Reach File의 위상속성 및 주제속성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실제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공간탐색(spatial navigation)과 공간추적(spatial tracing) 기법을 적용한 결과, Reach와 Node의 속성정보를 이용하면 하천의 길이, 분기 여부, 본류 방향, 시작 Reach 구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천의 형상을 모식화하고 관심 지역의 영향권역을 산정할 수 있었다. 공간역추적 기법 적용에서는 한국형 Reach File의 속성정보 및 위상정보를 이용해 오염사고 발생 시 최초 발생지점에 대한 공간추적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물환경정보와 연계할 한국형 Reach File 단위의 집수구역 분할을 위해 환경부 30m DEM(Digital Elevation Map)을 이용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와 AVSWAT(ArcView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해 유역을 분할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Agree burn DEM을 이용하여 AVSWAT에서 집수구역을 분할하는 방법이 기존의 표준유역 경계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분할된 유역의 면적은 측량 면적과 비교할 때 상대오차가 1.36%로 WMS를 이용한 방법보다 정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해 1차원 수질모델 수행을 위한 전처리를 자동화한 결과, 기존 수작업에 의한 모델링 과정에 소요되던 준비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동일 하천구간에 대해 표준화된 공간자료인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모델 수행을 위한 모식도 작성결과가 항상 같아 모델 결과의 신뢰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한국형 Reach File은 하천의 표준 지리학적 데이터베이스로 Reach별 고유 식별코드와 공간분석에 필요한 속성정보 및 위상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향후 물환경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할 경우 시․공간 자료연계를 통한 수리학적 검색체계를 제공하고 하천 네트워크에 대한 공통된 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적 기반의 수질관리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