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셩유록”의 서지와 언어 = The Bibliography and Language of “Gyeongseong-Yu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4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경셩유록”의 서지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고, “경셩유록”에 나타나는 1910년대 전후의 강릉 방언의 특징 몇 가지를 제시하며, 강릉 김씨와 그의 아들의 표기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셩유록”은강릉 김씨가 작성한 “셔유록”과 그의 아들이 작성한 “황셩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셔유록”은 1913년9월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 “황셩신문”은 1906년 1월 초중순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셩유록” 의 표기를 통해 당시 강릉 방언에 나타나는 구개음화, ‘애’와 ‘에’의 합류, 관형격조사 ‘어’, ‘이가’ 주격중가 현상, 연결어미 ‘-어더가’, ‘-더가’, ‘-더’와 종결어미 ‘-ㄹ너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셔유록” 과 “황셩신문”에 나타난 표기를 통해 강릉 김씨와 그의 아들의 표기 차이를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고는 “경셩유록”의 서지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고, “경셩유록”에 나타나는 1910년대 전후의 강릉 방언의 특징 몇 가지를 제시하며, 강릉 김씨와 그의 아들의 표기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본고는 “경셩유록”의 서지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고, “경셩유록”에 나타나는 1910년대 전후의 강릉 방언의 특징 몇 가지를 제시하며, 강릉 김씨와 그의 아들의 표기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셩유록”은강릉 김씨가 작성한 “셔유록”과 그의 아들이 작성한 “황셩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셔유록”은 1913년9월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 “황셩신문”은 1906년 1월 초중순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셩유록” 의 표기를 통해 당시 강릉 방언에 나타나는 구개음화, ‘애’와 ‘에’의 합류, 관형격조사 ‘어’, ‘이가’ 주격중가 현상, 연결어미 ‘-어더가’, ‘-더가’, ‘-더’와 종결어미 ‘-ㄹ너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셔유록” 과 “황셩신문”에 나타난 표기를 통해 강릉 김씨와 그의 아들의 표기 차이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GyeongsyeongYurok” in detail and to present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Gangneung dialect in the 1910s,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Gangneung Kim and his son in terms of their writing system. The “Gyeongsyeong-Yurok” consists of “Syeoyurok” written by Gangneung Kim and “Hwangsyeng Sinmun” written by his son. It is estimated that the “Syeoyurok” was written shortly after September 1913, and the “Hwangsyeng Sinmun” was written in early-mid January 1906. Through the notation of the “Gyeongsyeong-Yurok”, we examined the palatalization, the integration of [ɛ] and [e] into [E], the genitive case maker ‘eo(어)’ and subject marker ‘iga(이가)’, the connection ending ‘-eodeoga(-어더가)’, ‘-deoga(-더가)’, ‘-deo(-더)’, and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 ‘-rneora(-ㄹ너라)’. Finally, we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tation of Gangneung Kim and his son through the notation shown in “Syeoyurok” and “Hwangsyeng Sinmu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GyeongsyeongYurok” in detail and to present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Gangneung dialect in the 1910s,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Gangneung Kim and his son in ter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GyeongsyeongYurok” in detail and to present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Gangneung dialect in the 1910s,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Gangneung Kim and his son in terms of their writing system. The “Gyeongsyeong-Yurok” consists of “Syeoyurok” written by Gangneung Kim and “Hwangsyeng Sinmun” written by his son. It is estimated that the “Syeoyurok” was written shortly after September 1913, and the “Hwangsyeng Sinmun” was written in early-mid January 1906. Through the notation of the “Gyeongsyeong-Yurok”, we examined the palatalization, the integration of [ɛ] and [e] into [E], the genitive case maker ‘eo(어)’ and subject marker ‘iga(이가)’, the connection ending ‘-eodeoga(-어더가)’, ‘-deoga(-더가)’, ‘-deo(-더)’, and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 ‘-rneora(-ㄹ너라)’. Finally, we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tation of Gangneung Kim and his son through the notation shown in “Syeoyurok” and “Hwangsyeng Sinm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경셩유록』의 서지
      • 3. 『경성유록』에 나타난 1910년 전후의 강릉 방언의 몇 가지 특징
      • 4. 셔유록 과 황셩신문 에 나타난 남녀 간의 표기 비교
      • 5. 결론
      • 1. 서론
      • 2. 『경셩유록』의 서지
      • 3. 『경성유록』에 나타난 1910년 전후의 강릉 방언의 몇 가지 특징
      • 4. 셔유록 과 황셩신문 에 나타난 남녀 간의 표기 비교
      • 5.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